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위치
지위
장소
좌석
처지
신분
공간
d라이브러리
"
자리
"(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전자잉크 시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대립인자라고도 한다상동염색체(相同染色體)가 서로 대응하는 부위인 상동의 유전자
자리
를 차지한다대립유전자는 기호화하여 표시하며 우성은 알파벳의 대문자로, 열성은 소문자로 표시한다천체 망원경에 2~4개의 접안경을 회전식으로 조립한 장치 접안경들의 초점거리가 모두 다르므로 ... ...
미래 정보저장기술의 주인공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11Mbps를 넘어 오디오와 컴퓨터 보조 저장장치로 기능이 확장되면서 저장매체의 새 주류로
자리
잡았다.그러나 21세기에 디지털 방송이 도입되고 고화질의 HDTV 영화 녹화를 위해 15~22GB의 저장용량이 필요하게 되면서 DVD 이후 차세대 기술에 대한 요구가 늘어나기 시작했다.하지만 CD나 DVD와는 달리 세대 ... ...
기계를 꿈꾸는 인간, 인간을 꿈꾸는 로봇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예술과 과학이 서로를 ‘가까이 하기엔 너무 먼 당신’으로 여기기 시작한 것은 대체 언제부터일까. 1797년 1월 28일자 영국의 배스 헤럴드지에 실린 작자 불명의 시는 다 ... 새로운 영역을 개척하려는 이런 시도가 미술계는 물론 과학계에서도 유용한 방법론으로
자리
잡기를 기대해본다 ... ...
부끄럼 많은 태양계의 외톨박이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다. 점성술에서 전갈
자리
의 운명을 좌우하는 명왕성이 행성의
자리
에서 밀려나면 ‘오늘의 운세’를 파악하기도 난감해질 것 같다.제라드 카이퍼가 처음 카이퍼 벨트의 존재를 제안했던 이유는 핼리 혜성처럼 공전주기가 200년보다 짧은 혜성들이 모여 있는 공급처라는 ... ...
PART2 과학동아가 걸어온 20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했다.‘보고 즐기는 과학잡지’라는 과학동아의 컨셉이 1990년대 중반 들어 확고하게
자리
를 잡았다. 이해하기 쉬우면서도 흥미로운 일러스트, 연구의 핵심을 전달하는 사진, 눈길을 끄는 편집 등은 과학을 더욱 알기 쉽고 재미있게 전달했다. 2001~2006 한국의 과학 저널리즘을 주도하다21세기 들어 ... ...
5. 나랏말씀이 두뇌에 좋아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넘어 ‘세계 공감’을 얻고 있다. 이유가 뭘까.1996년 프랑스에서 세계 언어학자들이 한
자리
에 모이는 학술회의가 있었다. 그 회의에서 한국어를 세계 공용어로 쓰면 어떻겠냐는 토론이 있었다고 한다. 안타깝게도 한국의 학자들은 참석하지 않았다.유명한 언어학자인 영국 리스대 제프리 샘슨 교수 ... ...
김희선이 중국에서 인기 있는 이유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이가 있다.김희선은 유독 중국에서 인기가 높고, 보아는 몇 년 째 일본에서 최고 스타의
자리
를 지키고 있다. 나라마다 ‘먹히는’ 얼굴이 따로 있는 걸까.에뜨 성형외과 박흥식 원장(서울대 의대 성형외과 외래교수)은 “나라마다 선호도의 차이가 분명히 있다”고 설명했다. 시대가 변해도 ... ...
PART1 과학잡지가 바꾼 세상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끝에 결국 1894년 미국과학진흥협회(AAAS)가 잡지를 인수하면서 현재의 사이언스로
자리
를 잡게 되었다.에디슨과 벨이 후원한 사이언스의 초창기 역사는 영국 과학자들이 창립한 네이처와 대조적이다. 여기에는 엘리트보다는 ‘대중’의 힘이 상대적으로 강했던 당시 신대륙 미국사회의 분위기가 ... ...
과학 대중화에 뛰어든 블랙홀 박사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관측’을 성공적으로 진행시켰던 것이다. 전국의 도시에서 밤하늘의 직녀성(거문고
자리
으뜸별 베가)을 관측해 그 도시의 대기오염 정도를 측정하는 행사로 학계와 일반인의 비상한 관심을 모았다.1992년 천문연구원에 들어온 뒤에도 그는 연구실에만 틀어 박혀 있지 않았다. ‘블랙홀 박사’의 과학 ... ...
4. 디지털 한류 이끄는 '별의 전사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이들이 있다.낡은 것들이 변화에 의해 절멸되면 새로운 것들이 마치 봄의 새 잔디처럼 그
자리
를 메우고, 창조적인 부활의 순환은 역사보다 깊고 세대를 초월한다.레이 브래드버리의 역작 ‘화성인 연대기’(Martian Chronicles)라는 책은 발견을 향한 인간의 원초적 욕망을 제대로 포착했다. 이 책의 ... ...
이전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