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뉴스
"
유전자
"(으)로 총 5,09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동일한 생존전략 택한 세 지역의 토끼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7
분석했다. 사는 곳과 환경이 달랐음에도 세 곳의 토끼는 DNA속 비슷한 위치의 면역 관련
유전자
가 변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로 인해 바이러스에 감염된 동물에게서 생산되는 항바이러스 단백질인 인터페론의 활성화 정도가 높아진 것이다. 연구팀은 “세 국가에서 바이러스 저항을 위한 진화가 ... ...
부부 과학자, 비브리오균의 생존전략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19.02.13
표적으로 삼아 선벽적으로 단백질을 합성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변이 rRNA가
유전자
발현을 조절해 온도 변화나 영양결핍 같은 환경 변화에 대응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번 연구를 이끈 이 교수와 배 교수는 부부 사이다. 제1저자 중 한 명인 신은경 박사는 “비브리오균 외에도 다양한 ... ...
EU, ‘1조2000억원 짜리’ R&D 빅프로젝트 본격 시동 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찾아낸다. 독일 베를린대 의대가 제안한 ‘리스토어(RESTORE)’란 프로젝트는 세포와
유전자
치료의 발전 속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암과 당뇨병과 같은 질병에 큰 희망이 될 수 있는 치료법이지만 복잡한 과정과 비싼 비용 탓에 잘 활용되지 못하는 한계를 넘어서겠다는 것이다. ... ...
암 유발 후성유전 인자 ‘히스톤 단백질’ 변성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2
조절에 깊이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히스톤 H3의 비정상적인 변성은 질환 관련
유전자
의 발현 이상을 유발해 암과 같은 난치성 질환을 야기할 수 있다. 히스톤 단백질의 화학적 변성을 조절하면 암 등 난치성 질환 발병을 막을 수 있다는 점에서 히스톤 단백질 변성 연구는 최근 많은 ... ...
[과학게시판] 카오스재단 '기원, 궁극의 질문들' 주제로 봄 정기강연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2.11
신청하면 된다. 추첨을 통해 청중을 선정한다. ■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시험·연구용
유전자
변형생물체(LMO) 연구시설 현장검사 사전 설명회를 이달 12일 오후 1시 30분 서울 서초구 aT센터, 14일 오후 1시 30분 대전 서구 대전무역회관에서 연다. 설명회에서는 시험·연구용 LMO를 개발하고 이용하는 ... ...
[프리미엄리포트]초콜릿 색깔의 완결판 '핑크 초콜릿'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루비 초콜릿 특허(EP2237677 (A1))에 따르면 루비 초콜릿은 다른 색소를 첨가하지도 않았고
유전자
변형 작물(GMO)도 아니다. 1g당 40~60mg으로 일반 카카오빈(보통 20mg/g)보다 폴리페놀이 많이 함유된 카카오빈만 골라, 발효시키지 않고 특별한 공정을 거쳐 만든다. 우선 카카오빈을 알코올에 넣어 불린 뒤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 이길 '감자 2.0'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칠레 등 6개국에서 현재까지 39종의 야생 감자를 수집했다. 다만 기후변화 적응
유전자
를 찾더라도 기존에 생산해왔던 감자들을 개량 품종으로 대체하기까지는 10년 이상의 긴 시간이 걸릴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 ...
암, 림프절 전이 과정 국내 연구팀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먹는다고 알려져 있었다. 연구팀은 유방암과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을 갖도록
유전자
를 변형한 생쥐에게 ‘지방산(지방을 분해한 물질)’ 산화를 억제하는 약물을 넣었다. 그러자 암세포가 림프절로 전이되는 확률이 크게 떨어졌다. 림프절에 간 암세포는 지방산을 먹는다는 뜻이다. 림프절에 ... ...
척수손상, 파킨슨병 줄기세포로 치료한다…日 잇따라 임상시험 승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2.08
iPS)세포 임상 연구에도 다시 박차를 가하고 있다. iPS세포는 성인의 피부세포에 특정
유전자
나 단백질을 주입해 원시 배아 단계로 되돌린 줄기세포다. 일본 교토대의 기쿠치 다카유키 교수(신경외과 전문의)와 다카하시 준 교수 연구팀은 iPS세포를 이용해 240만 개의 도파민을 분비하는 신경세포의 ... ...
퇴행성관절염 원인 알고보니 ‘콜레스테롤’
동아사이언스
l
2019.02.07
대사 결과물인 ‘옥시스테롤(oxysterol)’로 바뀌었다. 연구팀은 옥시스테롤이 세포 내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단백질 RORα를 활성화시켜 연골 기질을 분해하는 다양한 효소 발현을 유도, 연골 조직을 파괴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전장수 교수는 ”이번 연구는 퇴행성관절염이 단순히 노화에 ... ...
이전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