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패
단체
조합
인류
지역
공동 단체
스페셜
"
사회
"(으)로 총 4,04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에이즈 바이러스 퇴치할 수 있을까
2019.08.13
게 아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이런 억지가 통하는 게 HIV 보균자에 대한 오늘날 우리
사회
의 인식 수준이다. 그러나 생각해보면 이런 사람들을 비난할 수만도 없다. 1980년대 초 에이즈가 등장할 때 워낙 공포의 대상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병의 원인도 모르고 치료제도 없는 상태에서 면역력 결핍으로 ... ...
미세먼지 잡을 해법찾는 무박2일 끝장 개발현장 가보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8.10
쉬지 않고 새로운 소프트웨어 혹은 하드웨어를 완성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최근
사회
적 합의가 이뤄지지 않는 난제들을 해결하는 방법으로 많이 쓰고 있습니다. 이번 행사에서도 참가자들은 26일 오전 9시부터 다음날 오전 9시까지 미세먼지 문제를 풀 해법을 찾기 위해 머리를 맞댔습니다. ... ...
[박진영의
사회
심리학] 비대해진 자아는 자신을 위험에 빠뜨린다
2019.08.10
점점 평등해진다? 그러면 이들은 자신들이 부당하게 박해를 받는다고 느낀다. 높은
사회
적 지위와 권력이 주어지지 않는 현실에 ‘내 것을 빼았겼다’고 느낀다(Bushman et al., 2003). 그 결과 마치 세상과 남들이 자신에게 빚이라도 진 것처럼 맡겨놓은 대접과 인정 내놓으라며 때를 쓴다. 그 과정에서 ... ...
'과학'은 사라지고 '
사회
' 더 강조한 이상한 과학교육표준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교수는 “이번 표준에서 과학의 개념을 설명하는 분량은 NGSS의 20%에 그친다”며 “반면
사회
개념 단어의 빈도수는 NGSS의 10배에 달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송 교수는 “과학개념이 지나치게 작게 다뤄지지 않느냐는 지적은 이미 알고 있다”며 “지향점이 모든 시민이라면 이정도는 알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맛의 비밀 '침단백질'에 있다
2019.08.06
동시에 쓴맛에 둔감해지는 것이다. 연구자들은 이번 결과가 비만의 만연을 유발한 현대
사회
의 잘못된 식생활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희망했다. 채소를 많이 먹으면 건강에 좋다는 것은 잘 알지만 제대로 실천하지 못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맛이 쓰다는 것인데, 며칠 꾹 참고 먹다 보면 ... ...
[박진영의
사회
심리학] 세 살 아기도 알건 안다
2019.08.03
어린 아이들도 해로운 행동, 나쁜 행동을 구분할 수 있다고 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도덕성은 타고나는가 아니면 제로에서 시작해서 발달되는가에 대한 이야기들이 많다. 도덕성의 시작이라면 선악을 구분하는 능력일 것이다. 연구들에 의하면 적어도 옳고 그름을 구분하는 능력은 인간에게 어 ... ...
AI전문가 월시 교수 “한국, AI 자율살상무기 금지 협약에 반대하는 국가” 지목
동아사이언스
l
2019.08.02
있다”고 말했다. 그는 호주 국립정보통신기술연구소(NICTA)에서 과학국장을 맡고 있다.
사회
적 선택, 제약 프로그래밍, 명제 만족성 분야에 특화된 AI 전문가이다. 지난 2013년 4월 설립된 비정부기관연합인 ‘캠페인 투 스탑킬러로봇’의 활동을 주도하고 있다. 캠페인 투 스탑킬러로봇은 선제적으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맬서스의 학위공장, 그리고 과학기술인협회
2019.08.01
2011년 '네이'지에 '학위공장 PhD factory'이라는 제목의 보고서가 실렸다. 네이처 지면캡쳐 “과학자 라는 단어가 만들어지고서도 100년 가까이 과학 실천인들이 그 ...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학자가 바라보는
사회
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추억의 장소 가면 설레는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영화 '봄날은 간다' 스틸컷. 네이버영화 제공 어떤 곳에 가면 유독 설레거나 기분이 좋아지는 경험을 할 때가 있다. 아련한 기억에 남은 추억의 장소 ... 밝히고 치료법을 개발하는 데에도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에 참여한 인지 및
사회
성 연구단 인지 교세포과학 그룹. 사진제공 ... ...
[박진영의
사회
심리학] 울음이 주는 메세지
2019.07.27
게티이미지뱅크 실컷 울면 풀라는 이야기처럼 울음에 어떤 해소 기능이 있다는 건 사실처럼 받아들여지고 있다. 하지만 놀라운 사실은 의외로 그렇다고 볼만한 증거는 별로 없다는 점이다. 울음의 기능에 대한 가설들에는 크게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울음이 그 자체로 스트레스를 줄여주고 몸과 ... ...
이전
330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