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리"(으)로 총 4,485건 검색되었습니다.
- 2. '오즈마'에서 '페닉스'까지 본격탐사 발자취과학동아 l199505
- 11.8광년 떨어진 거리에 있는 별로서 태양질량의 0.87배이며, 엡실론 에리다니는 10.8광년 거리에 질량은 태양의 0.81배이다. 이 두별이 지구밖문명의 후보로 떠오른 것은 궤도가 진동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행성계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오즈마팀은 먼저 타우 세티에 초점을 맞추고 3개월에 ... ...
- 사냥명수 카멜레온의 눈은 고배율 렌즈과학동아 l199505
- 잴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대상이 되는 사냥감이 망막상에 보다 큰 상을 맺으면 거리를 재기 쉽다. 그때문에 카멜레온의 렌즈는 높은 배율을 가졌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오토 연구진이 새로이 개발한 시력검사법에 따라 카멜레온과 거의 같은 크기를 가진 생후 25일된 병아리 눈을 비교했다. ... ...
- 1. 별 10만개, 지능가진 생명체 있을 가능성과학동아 l199505
- 30% 이상이 넘어서면 지구의 기후와 같은 절묘한 균형을 이루지 못한다. 이를 모성에서의 거리로 환산한다면 0.85-1.05AU. 아주 좁은 영역이라 할 수 있다. 이 계산대로라면 태양계내에서는 지구밖에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는 행성이 없다(금성 0.72AU, 화성 1.52AU).태양계 전체의 크기가 40AU이므로 앞에서 ... ...
- 2 우주의 지름길 웜홀 통해 과거여행과학동아 l199504
- 있을 수 있으나 그 존재가 확인된 것은 아니다.보통 웜홀은 (그림1)과 같이 내부적으로는 거리가 아주 짧아 바깥으로 가는 것보다 시간이 훨씬 적게 걸리는 구조를 말한다. 그런데 이 구조를 간단하게 하기 위하여 (그림2)처럼 내부의 길이를 거의 없게 하여 왼쪽으로 들어가는 즉시 나오는 구조를 ... ...
- 국내 첫 컴퓨터 바이러스 연구소 세운 의학박사 안철수과학동아 l199504
- 없이 할 수 있는 일을 찾기 힘든 요즘의 세태를 고려한다면 이같은 현상은 별 이야기거리도 못될 것이다. 범용성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가 한 두 '천재'에 의해 오늘날처럼 정보사회의 중심으로 우뚝 선 것은 아닐 것이기 때문이다. 사용자가 다양하다보니 이 매력적인 기계에 특별한 관심을 가진 ... ...
- 4월15일 부분월식, 대풍년 예고과학동아 l199504
- 부분월식이 있다.4월의 천문현상 13일 해가 뜨기 30분 전, 금성과 토성이 불과 1˚의 각거리를 두고 떨어져 있다. 쌍안경을 가지고 동쪽하늘을 잘 살펴보자. 물론 밝은 별이 금성이다.14일 수성의 내합.15일 부분 월식. 이번 월식은 최대식분이 0.117. 우리가 보는 달 면적의 11.7%가 지구 그림자 속으로 ... ...
- 150억년 우주 역사 한눈에과학동아 l199504
- 사진이다. 이 은하는 지구로부터 8백만광년 떨어져 있으며, 오른쪽 모습은 약 1천광년 거리에 해당한다. NGC 253(또는 M82)과 같은 별탄생은하(starburst galaxy)에서는 은하 전체에서 별들이 폭발적으로 탄생하고 있다.이 사진에는 HST의 높은 분해능 덕분에 밝은 성단과 먼지로 이루어진 띠, 그리고 밝게 ... ...
- 1 유전자지도 완성, 생명의 신비 밝힌다과학동아 l199504
- 하나는 매 10만번 정도의 위치에 표지를 해놓는 물리적 지도작성이다. 이는 수학적인 거리 개념이 도입된 방법이다. 또다른 것은 유전적 지도작성이다. 이는 인체에서 특정 기능을 하고 있는 유전자의 상대적인 위치를 표기하는 작업이다. 이는 마치 관광지도와 같이 특정위치만을 표시해 놓는 ... ...
- 최무선과학동아 l199504
- 날개를 만들어 달았다. 종이 약통의 아래에 뚫려있는 분사 구멍의 크기는 4㎜이며, 사정거리는 1백-1백50m 내외이다.신기전 중에는 길이가 5.5m이며 2㎞ 정도를 비행할 수 있는, 초대형 로켓인 대신기전도 있다.화약을 이용하여 제작한 화전으로 믿어지는 기록중 가장 빠른 것은 '고려사'에 등장하는 ... ...
- 1 시간은 비대칭, 미래로만 일방통행과학동아 l199504
- 때문에 빛의 속도에 관측자가 존재하는 우주의 나이를 곱하면 관측자가 볼 수 있는 최대 거리가 된다. 이를 우리는 '우주 지평선'(space horizon)이라고 부른다. 린데가 말한 딸우주들은 모두가 이런 자기 자신들의 지평선 밖에 존재 한다. 그러므로 하나의 딸우주에서 다른 딸우주로 여행하자면 이런 ... ...
이전3313323333343353363373383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