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보통일"(으)로 총 3,580건 검색되었습니다.
- 대륙붕 천연가스층 발견의 숨은 주역 강주명 교수과학동아 l198801
- '6광구서 천연가스층 발견'―지난 12월8일 각종 매스컴을 통해 일제히 보도된 대륙붕 6-1광구에서의 가스 발견뉴스는 많은 사람들의 귀를 번쩍 띄게 하는 청량제였다. 이제서야 산유국에의 오랜 꿈이 현실화되는 것으로 느껴지기도 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대통령선거의 막바지 고비에서 이같은 ... ...
- 과학기술계에도 대전환 있어야과학동아 l198801
- 아시안게임에서 금메달 따는 식의 과학기술정책을 지양, 민주적인 정책결정과정이 요청된다. 과학기술정책의 과학화가 시급 현원복 88년의 새해가 이제 막 시작되려는 순간입니다. 이 시점은 새로운 한해의 출발점이기도 하고, 대통령선거를 치른 후 맞는 새시대의 출발점이기도 합니다. 비록 정 ... ...
- 시베리아에서 있은 폭발과학동아 l198801
- 과학자들은 80년전 중앙 시베리아에서 발생하였던 한 사건에 대해 여전히 미심쩍어 하고 있다. 그들은 아직도 이 지역을 조사하며 다니고 있고, 오늘날까지 그것에 관한 새로운 증거를 발굴하고 있다. 1908년 6월 30일, 퉁구스카강 근처에 있는, 중앙 시베리아의 하늘이 밝아지면서 무시무시한 폭발이 ... ...
- 극지(極地)의 장관 오로라 AURORA과학동아 l198801
- 영하 섭씨60도의 극한지대, 고도 1백㎞~5백㎞의 고공에서 펼쳐지는 빛의 향연 오로라. 지구의 자기위도(磁気緯度) 65~70도 부근에서 가장 잘 볼수있는 초고층 대기의 발광 현상을 극광이라고 한다. 오로라는 원래 로마신화속의 새벽의여신의 이름인데 프랑스의 물리학자 '가상디'(Gassendi)가 1621년 그의 ... ...
- 세계에서 가장 키큰 사나이 엉덩이뼈 수술받고 더 커져과학동아 l198801
- 지금 살아있는 사람가운데 가장 키가 큰 사람은 '가브리엘 몬잔'이라는 모잠비크국적의 사나이. '가브리엘'의 키는 2미터45.7센치.기네스북에 따르면 역사상 2미터44센치를 넘는 사람은 11명이었다고 한다. 그런데 '가브리엘'은 20년동안 매우 불편하고 괴로운 생활을 해야만 했다. 이유는 20년전 미끄 ... ...
- 1천여점의 유물도 찾아냈어요과학동아 l198712
- KAL 007 잔해도 쉽게 찾을 수 있어최근 이른바 거대과학에서 프랑스가 두각을 나타내고 있음은 많이 알려져 있다. 항공·우주산업에서 그렇고 원자력등 에너지분야에서도 프랑스는 독자의 능력을 보이고 있다. 해양연구에서는 어떨까. 이 분야에서 프랑스는 '최근에'가 아니라 오래전부터 선두의 위 ... ...
- 제3의 산업혁명이 불붙기 시작했다과학동아 l198712
- 생산성 향상의 수단, 저임금시대의 탈피를 위한 도구로 각광받고 있는 공장자동화가 어떻게 전개되고 있나.1920년 체코의 희곡작가 '칼 차팩'은 처음으로 '로봇'이란 표현을 썼다. 그의 희곡에 등장하는 로봇은 요즘 어린이들이 좋아하는 '매칸도'나'피노키오'와 같이 좋은 일만을 골라하는 정의의 사 ... ...
- 한국과학기술대학 과학영재의 산실로 뿌리내리다과학동아 l198712
- 설립 당시부터 숱한 화제를 뿌렸던 한국과학기술대학은 설립 3 년째를 맞아 과학영재양성의 산실로서 그 틀을 완비해 나가고 있다.'미래 고도 산업사회가 요구하는 정예 과학기술 인재 양성'을 목표로 설립된 한국과학기술대학이 85년 6월 개교 이래, 3번째 신입생 선발을 완료했다. 일반대학과는 달 ... ...
- 미생물학은 생명과학의 총아과학동아 l198712
- "생명의 본질에 대한 호기심과 인류에 기여한다는 신념에서 이 분야를 택했다."우리나라의 미생물학은 그 역사가 짧은 탓인지 아직도 꽤 많은 사람들에게 생소하게 느껴지는 학문이다. 그러나 지금으로부터 41년전 필자가 미생물학에 흥미를 갖게되고 기초 학문의 한 분야로서 미생물학을 전공으로 ... ...
- 책의 혁명과학동아 l198712
- 16세기 만에 처음으로 책의 겉모습에 있어서 혁명의 시기가 도래했다. 여러분은 그 변화가 책의 겉모습에서이지 책 그 자체의 변화가 아님을 명심해야 한다. 책에 대한 본질적인 관념은 5천년동안 변화하지 않을 것이다. 어느 정도 휴대가 가능하고 다소간 영구적인 형태로서, 손에서 손으로 전달될 ... ...
이전3313323333343353363373383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