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내아이
보이
남자아이
소년
아들자식
꼬마
동자
d라이브러리
"
남아
"(으)로 총 3,766건 검색되었습니다.
동물한테 배우는 비만치료법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비만했던 사람은 체중이 줄어든 이후에도 LPL과 기타 관련효소들의 농도가 상승된 채로
남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과학자들은 약물로 이 효소의 농도를 조절해 비만을 퇴치할 수 있는 방법을 구상하고 있다 ... ...
PARTⅣ 생명과학자들의 최대고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남아
의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장년이 되면 저절로 평형이 잡혀지게 돼 있다. 또 전쟁후엔
남아
의 출생률이 자동적으로 현저히 높아져서 전몰희생으로 생긴 성비의 불균형이 교정되는 현상 등이 바로 자연의 내재율을 보여주는 산 증거다. 분자생물학에 기반을 둔 유전공학기술은 이러한 자연의 ... ...
자장(磁場)이 여아(女兒) 출생비율 높여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연구원 1백9명에 대해 그들 자녀들의 성비(性比)를 조사했다. 그 결과 여아 1천명에 대한
남아
의 비율은 9백18명이었다. 일본인의 평균치가 1천60명(
남아
)인 점을 감안하면 엄청나게 여아의 비율이 높은 셈이다.가메이 실장은 이어 유엔의 인구통계자료를 이용해 나라마다 지자기(地磁氣)의 강약이 다른 ... ...
1402년의 세계지도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1년 전인 태종1년(1401년)에 박돈지(朴敦之)가 일본에서 일본지도를 가지고 왔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이 사실만으로도 당시의 조선학자가 일본의 지형을 제대로 알지 못해 거꾸로 그렸다고는 생각할 수 없다.이 세계지도는 언제나 그 당시의 최신자료를 활용해 정확한 지도를 만들고자 했던 조선 ... ...
낭성섬유증에 유전자 치료 효과보여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인체에 해가 없는 바이러스가 이용된다.그러나 이 치료법에는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다. 첫째는 어떻게 세포의 결함이 유전자복제를 통해 바로 잡히는지 그 메커니즘을 규명해야 한다는 것이다. 주입된 유전자들이 낭성섬유증 치료외에 다른 기능을 함으로써 인체에 위험한 영향을 ... ...
PARTⅡ 최고의 명예와 상금 걸린 노벨상 수상자 어떻게 결정되나?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발생학자인 이반즈(1882~1974)가 노벨상에서 제외된 것은 아직도 이해할 수 없는 일로
남아
있다. 그는 내분비학을 하나의 학문으로 정착시켰으며 불임방지효과가 있는 비타민E를 발견한 공적이 있다. 이반즈의 업적은 높은 평가를 받아 33세의 젊은 나이에 미국 과학아카데미회원으로 선출됐고 줄잡아 ... ...
하마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하마는 현재 아프리카의 여러 곳에서 살고 있으나 옛날에는 유럽에서도 서식했던 흔적이
남아
있다. 유럽의 여러 지역에서 가끔 화석이 발견되는 것이다.볕이 뜨거울 때는 온종일 물속에서 사는 하마지만 그렇다고 수중생활의 전문가는 아니다. 눈과 콧구멍이 높이 돌출한 점은 개구리와 흡사해 ... ...
도도새 같은 죽음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전에 몇이라도 구제할만한 동물원같은 제도도 없었다. 1698년에 이르자 마지막으로
남아
있던 도도까지 죽음을 당했으며 정말 훌륭하고 흔치 않은 이 동물체는 영원히 사라져 버린 것이다. 근처의 섬에 있던 연관이 있는 새조차도 그후 몇십년이 지나지 않아 멸종돼 버렸다.이제 도도새는 우리가 흔히 ... ...
제주도 남쪽과 동해 남부지역에 관심 집중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이유가 아닌 정치 군사적인 요인으로 석유값이 뛰고 공급불안이 야기되었다. 현재
남아
있는 전세계의 석유매장량은 최소한 38년간은 쓸 수 있는 양이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새로운 유전이 발견될 것이고, 석유 채굴기술의 진보에 따라 회수율(매장량에 대한 실제 채굴량의 비율)이 높아지게 되면, ... ...
은행 잎 속에 담긴 「비방」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수령이 1천1백27년으로 이 부문에서 가위 세계 챔피언급이다. 이 나무에는 전설도 많이
남아
있다. 그중 신라의 마지막 왕인 경순왕의 세자였던 마의태자가 나라를 잃은 슬픔을 달래기 위해 금강산에 가면서 짚고 가던 지팡이를 꽂았는데 그 지팡이가 뿌리를 내려 오늘에 이르렀다는 전설이 널리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