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최초 우주실험실 '키보' 발사 성공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현상 1842년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J C 도플러가 이중성(二重性)의 빛에 관하여 별의 운동
방향
과 색의 변화를 연구하던 중 처음 발견했다 멘델의 유전법칙의 하나 2쌍 이상의 대립유전자가 존재할 때 각 쌍의 유전자 분리 · 재결합이 서로 무관하게 독립적으로 일어난다는 법칙이다 즉, 어떤 유전자가 ... ...
위성 격추하는 미사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양극(陽極) 전압보다 높이면, 양극에서 나온 2차 전자가 그리드나 가리기그리드의 역
방향
으로 흐름으로써 양극전압이 증가되어도 양극전류는 어떤 범위에서 반대로 감소된다 p-n-p구조인 Ge에 금속 전극 m을 붙여 p-n-p-m구조로 만들고 m에서 주입되는 전자가 전체 전류의 크기에 따라 변하는 것을 ... ...
만화 '포닭 블루스' 그리는 생명과학자 신인철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싶었다. 아쉽게도 이두호 선생님은 예전 작품의 원고를 갖고 있지 않아 내가 생각했던
방향
의 전시회는 이뤄지지 못했다.하지만 행사를 기획하면서 동물을 의인화 한 만화를 주로 그리시던 정운경 선생님, ‘달려라 벤’ 등의 동물 만화를 그리시던 이향원 선생님 등과 전화통화를 나눌 소중한 ... ...
개미의 그림자놀이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해 뜬 직후와 해 지기 직전 그림자의 길이가 가장 길다. 사진에서 개미는 빛과 스크린의
방향
을 적절히 이용해 자신보다 훨씬 큰 ‘거인 개미’를 만들었다. 우리도 태양과 지구의 자전을 이용하면 매일 다양한 그림자놀이를 할 수 있다 ... ...
태안의 자연을 찾아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의해 이 곳에 쌓인다. 모래는 천연 풍향계모래 표면에 나 있는 물결무늬를 보면 바람의
방향
을 알 수 있다. 바람에 날려 온 모래가 쌓여 언덕이 되면 바람이 불어오는 쪽은 모래가 쌓여서 완만한 경사를 이룬다. 반대로 뒤쪽은 모래에 막혀 바람이 약해지니까 경사가 급하다. 따라서 물결무늬를 보면 ... ...
2. 기업의 또 다른 힘 멘토링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밝혔다.쌍
방향
멘토링도 눈에 띈다. 2003년 말 월스트리트저널은 “미국에서 쌍
방향
멘토링이 유행하고 있다”며 “상사도 부하 직원에게 조언을 구하라”고 전했다. 상급자인 멘토가 후배를 지도하며 새로운 지식을 배울 수 있고 젊은 세대의 가치관이나 관점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이미 GE의 ... ...
봄을 부르는 겨울자나방의 세레나데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사는 활엽수 숲에 ‘사랑의 메시지’가 퍼지면 수컷 40~50마리가 일제히 한
방향
으로 모여든다. 이윽고 수컷 한 마리가 암컷의 근처 나뭇가지에 앉는다. 야행성 곤충은 시력이 약하기 때문에 페로몬의 화학적 자극을 따라갈 뿐 암컷의 위치를 정확하게 시각으로 파악할 순 없다. 수컷은 재빨리 가지를 ... ...
질병 진단의 신예 적혈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그러면 삼투압도 커지기 때문에 연전현상이 일어날 가능성도 높아진다.엽전처럼 한
방향
으로 붙는 이유는 무엇일까. 적혈구는 납작한 원반 형태이기 때문에 표면적이 넓은 위아래 부분이 가장 붙기 쉽다. 즉 적혈구 표면의 삼투압이 유발한 불안정한 상태를 극복하려면 아무래도 넓은 면적을 서로 ... ...
기네스북에 오른 괴물 포켓나이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직류전력으로 변환시키는 장치 순(順)변환장치라고도 한다 또 교류 · 직류 두
방향
의 변환기를 가리키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인 폴라로그래피의 직류전압에 대해 진폭이 미소한 교번 전압을 겹쳐 이것을 지시전극(보통은 適下水銀電極)에 인가(印加)하여 지시전극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 ...
생체분자 인지 기능 단백질 구조로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물론 선천성 면역질환의 비밀을 푸는 열쇠가 될 수 있어 학계의 주목을 받았다.
방향
알려주는 ‘단백질 우체부’X선으로 단백질의 구조를 밝히는 연구는 생명의 비밀을 푸는데 유용하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최근 세포 속에서 단백질이 이동하는 메커니즘도 밝혔다. 세포에는 핵, 미토콘드리아,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