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d라이브러리
"
새로운
"(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안경점 주인 ‘수이비라 아리비싸’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맞추는 겁니까?”썰렁홈즈가 요상한 시력검사에 불만을 나타내자 수이비라 아리비싸는
새로운
시력 검사판을 가지고 왔다.“성격 급하시긴! 자자, 이제 썰렁홈즈님께 딱 어울리는 안경 디자인을 골라봅시다.그런데 말입니다…. 규칙에 딱 맞는 디자인이 썰렁홈즈님께 가장 잘 어울린다는 말씀! ... ...
가위바위보로 진화의 비밀 풀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시간에 따라 전체 도마뱀 중에서 각 전략을 사용하는 비율은 주기적으로 달라졌습니다.
새로운
세대가 탄생하고 돌연변이가 나타날 때마다 우세한 경쟁 전략이 바뀌는 셈입니다. 이 연구 결과로 동물의 진화 과정을 이해하는 데 한 걸음 다가섰습니다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줬죠. 요즘엔 여기저기서 절 찾는 과학자들이 많아서 바쁘답니다. 이제 곧 평면으로 만든
새로운
스마트폰을 만날 수 있을 거예요. 어때요? 아직도 제가 평면적으로만 보이나요 ... ...
바다 밑에서 만난 동화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정직하게 말하자면, 제 예술 작업은 자연에 의해 완성됩니다. 저는 늘 전에 없던 완전히
새로운
장면을 창조하고 싶습니다. 작품에서 느껴지는 낯선 신비로움은 깊은 바닷속의 자연환경이 없었다면 표현할 수 없었을 겁니다. 수중 전시회가 진행되는 동안에도 주변을 떠다니는 물고기들이 작품에 ... ...
확산 모형으로 메르스 길목 막는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인플루엔자와 사스, 에볼라 바이러스의 공포가 완전히 잊히기도 전에
새로운
신종 바이러스가 우리나라에 퍼졌다. 사스와 같은 코로나바이러스인 메르스-코로나바이러스는 예상보다 빠르게 퍼져 온 나라를 불안하게 하고 있다. 전염병에 대비할 방법은 없는 걸까?우리나라를 찾은 불청객, 메르스 ... ...
시계 또는 반시계? 노인 또는 젊은 여인? 아리까리한 그림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이미 알고 있는 것을 인지하는 과정이다. 이때는 감마파가 활발하다. 반대로 바텀업은
새로운
것을 감각적으로 느껴서 인지하는 과정이다. 이때는 알파파가 활발하다.연구팀은 실험참가자에게 ‘아내와 장모’를 보여 준 뒤 밀리초(ms, 1000분의 1초) 단위로 뇌파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했다. 그 결과 ... ...
PART 4 의도는 없다, 그러나 인간을 위협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지식을 학습하는 인공지능이 의사를 대체한다는 건 거짓말에 가깝습니다. 어디까지나
새로운
의학 지식을 빨리 습득하고 오진율을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보조자일 뿐이죠. 인공지능이 개발되면 사라질 직업 1순위가 기자라는 말을 많이 하지만, 저는 그렇지 않다고 봅니다. 단신은 로봇이 쓰고 인간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특수상대성이론을 속도가 일정치 않은 비관성계에까지 확장시켰다. 중력에 관한
새로운
해석을 제기했던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이론 연구는 맥스웰의 전자기 이론과 고전역학 사이의 모순을 해결하려던 특수상대성이론으로부터 시작됐다. 아인슈타인은 코일과 자석을 움직여 코일에 유도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이 자리에서 NASA측은 “화성 탐사 환경을 가정하고 DRC보다 훨씬 더 어려운 임무로 구성된
새로운
로봇 대회를 개최하겠다”고 밝혔다.휴보팀 관계자는 “아직 확정한 것은 아니지만 출전을 검토하고 있다”면서 “일본에서 2020년 개최 예정인 ‘로봇월드컵’ 대회도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만약 ... ...
PART 2 두 번의 암흑기와 세번째 봄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단 몇 분만에 찾아내는 등 충실한 의학 조언자로 변모하기 위해서다. 인공지능의
새로운
황금기가 도래한 것이다. 이미 대중과 언론은 터미네이터 같은 초지능의 가능성을 진지하게 점치고 있다. 두 번의 암흑기를 겪은 과학자들의 입장은 다소 조심스럽다.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