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행"(으)로 총 8,61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별인터뷰]“지구사랑탐사대 덕분에 상 받았어요!” 열혈 탐사팀 프로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도심에도 꿀벌이 많이 살고 있단걸 알게 됐어요. 그래서 민욱이 형과 함께 서울 근교에서 진행한 꿀벌탐사가 의미 있다고 생각했죠. 저희 프로젝트의 결론이 ‘도심에 더 많은 꿀벌 정원을 만들어야 한다’니까요.2016년에 지구사랑탐사대가 되려는 어과동 친구들에게 한 마디 부탁드려요.고민욱 : ... ...
- [News & Issue] ‘아이스맨’도 못 피해간 헬리코박터균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사망과 이동경로, 사용했던 도구 등 다양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그러나 발견 당시 부패가 진행돼 있던 탓에, 외치의 식이를 연구할 수 있는 위장을 찾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렸다.연구팀은 헬리코박터균의 유전정보를 통해 현생인류가 유럽으로 이주하는 과정에 대한 단서를 찾아냈다. ... ...
- [News & Issue] 명절 보낸 아내를 위한 과학 노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호주 디킨대 카힛 구반 교수팀의 논문이 실렸다(오른쪽 그래프 참조). 연구팀은 2001~2007년 진행된 부부 관계 통계 자료를 이용해 독일과 영국, 호주 세 나라의 기혼자 총 14만6856명의 행복감과 이혼의 관계를 조사했다. 그 결과 남편과 아내가 느끼는 행복감에 차이가 클수록 부부 관계가 파탄에 이를 ...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사망·실종된 돌고래호(9.77t) 사고 조사에 투입됐다. 사고 원인을 밝히기 위해 수중감식이 진행됐다. 돌고래호 자체가 거대한 증거물이었다.“배가 뒤집힌 채 떠 있는 상태였는데, 언제 가라앉을지 모르니 위험할 수밖에요.” 그의 팀은 돌고래호 안에서 위치발신장치인 브이패스(V-PASS)를 수거해 ... ...
- [Knowledge] 고양이는 오늘도 당신을 사냥할 꿈을 꾼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주는 것 같다”고 추정했다.고양이 길들이기는 아직 진행 중?고양이 길들이기는 현재 진행형이다. 고양이는 개보다 인간과 함께 산 역사가 짧은 데다(개는 3만 년, 고양이는 9500년), 개나 다른 가축들과 달리 통 쓸모(?)가 없어서 의도적으로 교배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인위적인 선택압을 덜 받았다는 ... ...
- [지식] 세기의 매치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보면 체스의 필승법칙을 찾을 수 있을까? 체스는 두 명이 번갈아 가면서 순차적으로 진행하는 게임이기 때문에 이론상으로 역방향 추론이 가능하다. 하지만 영화 대사에서도 나오듯 체스는 단 네 번의 움직임만으로 이미 3000억 개가 넘는 경우의 수가 생긴다. 즉 현실적으로 기보를 추론해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실험실_단청 퍼즐 속 수학 찾기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전통 문양 속 수학단청은 목조건물에 여러 가지 색깔의 무늬를 그려 장식한 문양이다. 단청은 동양오행설의 영향을 받아 청색, 적색, 황색, 백색, 그리고 흑색으로 다섯가지 색을 사용한다. 단청은 장식용으로만 이용되지 않고 기능적인 용도로도 쓰이는데, 목조건물에서 비바람에 나무가 썩지 않도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체험활동_사라진 어진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6년 02호
- 내삼문에 들어서면 태조의 어진을 모신 전각인 정전이 있습니다. 가운데 길은 신이 다니는 길이기 때문에 일반인은 다닐 수 없다고 합니다. 정전과 직각을 이루는 건물은 ‘배례청’이라고 합니다. 절을하고 예를 올리는 집이라는 뜻인데, 위에서 보면 고무래 정(丁)자처럼 생겼습니다. 그래서 ‘정 ... ...
- [Editor’s Note] 고수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활발했다. 이번 2월호는 몸으로 만들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커버스토리(특집)를 진행한 변지민 기자는 수중시체를 연구하고 수사를 훈련하는 장면을 취재하기 위해 한겨울의 호수로, 바다로 달려갔다. 맨 정신으로 견디기 힘든 사연을 듣고 참혹한 사진도 봐야 했다. 국내에 아직 체계적인 ... ...
- [News & Issue] ‘인기 짱’이 나서면 왕따 사라진다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학교에서 손목밴드를 나눠주거나, 해시태그를 퍼뜨리는 등 몇 차례의 메시지 캠페인을 진행했다.1년 뒤 학생들 사이의 갈등은 30%나 줄어들었다. 특히 인기 있는 학생이 많이 속한 팀에서 이런 효과가 눈에 띄게 나타났다. 펠럭 교수는 “학생들의 사회적 규범을 변화시키는 가장 좋은 방법은 영향력 ... ...
이전3313323333343353363373383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