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골몰
열중
몰두
몰입
통합
집중생산
생산
d라이브러리
"
집중
"(으)로 총 3,492건 검색되었습니다.
쇠붙이 지녔다고 반드시 나쁜것 아니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높은위치의 것이 있으면 낙뢰를 맞기 쉽다. 또 직격뢰는 한 사람에게 낙뢰전류가
집중
하여 주위사람은 경상으로 끝나나 수목에 떨어지면 주위의 사람에게 재방전이 일어나 2명이 동시에 죽거나 중상을 입기도 한다는 것도 밝혀졌다. 평지에서는 엎드린다. 몸에서 높이 물건을 쳐들지 않는다 ... ...
PARTㆍ1 「기르는 어업」의 이모저모를 살핀다 민물고기의 천국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호소의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잉어 피라미 붕어 미꾸라지 동자개 가물치 등 어종을
집중
적으로 육성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내수면 개발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한편 학계일부에서는 이같은 지적에 대해 도입어종의 방류로 호소생태계가 파괴됐다고 단정할 수는 없으며 오히려 새로운 생태계의 ... ...
Ⅲ바다의 폭도-해일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주변의 천해(淺海ㆍ얕은바다)가 볼록렌즈와 같은 역할을 하여 파도를극동 쪽으로
집중
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하나 중요한것은 칠레해일의 파도원은 대륙 가까운 경사면 위에 있었으나 굴절관계로 해안선 내지 등심선과 직각인 방향에 보다 많은 에너지가 방출되고 있은 것이다. 그림에서는 ... ...
아직도 정확히 알려지지 않는 하늘의 전기현상 규명위해 인공 번개를 만들다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구름의 낮은 층을 뚫고 들어갈때 으례(100%는 아니다)전압을 발생시키며 구름에
집중
된 음전기를 대량 흡수, 지상으로 보내는데 전류가 워낙 강하기 때문에 줄은 타버리고 만다. 땅에 도달한 음전기는 양전기와 연결되며 이때 회로를 완성해 밝고 큰 소리를 내는 섬광을 발생시킨다. 여하튼 계속되는 ... ...
마이크로프로세서 어떻게 응용되나 장난감에서 고속컴퓨터까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앞을 다투어 마이크로프로세서를 해부하고 이것이 앞으로 영향을 미칠 미래사회에 대해
집중
적으로 논의하였다. 매스컴이 가세하면서 잠재돼있던 마이크로프로세서의 무서운 힘이 폭발되기 시작했다. 그중의 대표적인 것이 컴퓨터전문가들의 통념을 뒤바꿔 놓은 것이다. 호프가 마이크로프로세서 ... ...
뉴미디어란 어떤것인가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대체되어 시험적으로 운영되고 있다. 현재 4개의 총괄국, 19개의 중심국, 1백25백의
집중
국으로 이루어져 있는 PSTN의 구성은 (그림1)과 같다.데이타통신망으로는 공중패켓교환망(PSPDN)형식의 DACOM-NET가 1984년 7월 개통되어 현재 세계 52개국과 연결돼 각종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패켓교환방식이란 ... ...
유닉스 교육과정 마련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관심이
집중
되고 있는 UNIX ADM NISTRA-TION과정을 8월24일부터 5일간 개최한다. 이 과정은 UNIX에 과심이 있는 자와 기초지식이 있는 실무자를 대상으로 교육하게 되며 강사로는 UNIX에 경험이 많은 전문강사가 맡게 된다. 이 교육의 특징은 UNIX에 효율성을 증대토록 하기 위해 파일시스팀, UUCP관리 등 ... ...
부설 연구소 설립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그동안의 연구개발 실적을 기초로 4백억 시장인 마그네틱 스트립 리더의 헤드 개발을
집중
연구하여 MSR을 이용한 종합안전시스팀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미개척분야인 레이저 카드리더 개발에도 주력하여 국산산업발전에도 기여할 예정. 한편 시스팀소프트웨어 분야의 연구개발을 위하여 ... ...
한글유닉스 개발
과학동아
l
1987년 08호
탑재시켜 행정전산망사업에 본격 참여할 것으로 보인다. 이제까지 연구소 대학 등에
집중
적으로 공급되었던 선워크스테이션은 한글기능이 강화됨에 따라 데이타프로세싱 분야에서도 강세를 보여 보급영역의 확대될 전망. 현대는 앞으로 한글유닉스기능을 보완해 타기종 유닉스와도 연결하는 ... ...
토리노의 수의는 이렇게 찍었다
과학동아
l
1987년 07호
의문점을 밝혀주는글과 함께 수의를 통해 예수의 이미지를 사진으로 형상화시켜 관심을
집중
시켰다. 이에 따라 이번호에서는 수의를 촬영한 사진술의 자세한 내용을 다루어보았다. 사진은 직접 수의촬영에 참가한 브룩스사진대학의 번 밀러(Vern Miller) 교수가 찍은 것이고, 글은 그의 제자인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