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나
일
한사람
한개
d라이브러리
"
1
"(으)로 총 24,378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이 만든 독극물이라고요? 하지만 지금은 제 점심이죠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꽃에 뿌렸더니 수분매개율이 40% 늘어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doi:
1
0.
1
038/nature
1
44
1
4 마치 사람이 담배에 중독되듯 벌도 네오니코티노이드 성분에 중독됐기 때문으로 분석됐다.담배에는 꿀로 벌을 유인하는 향기 물질인 벤질아세톤도 들어있다. 꿀벌은 처음에는 향기에 홀리고, 이후에는 니코틴에 .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따라 축삭의 성장 원추가 자랄 수 있는 거리는 300~500µm(마이크로미터·
1
µm는
1
00만분의
1
m) 정도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이 논문에서 성장 원추가 그 5배 이상인 2.5mm 넘게 이동하는 것이 관측됐습니다.이 안내 신호의 정체는 에프린A이며, 귀쪽 망막 신경절 세포의 성장 원추에 이를 감지하는 ... ...
마스크로 가릴 수 없는 진심 '표정'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마스크를 쓴 얼굴을 마주할 때 얼굴 인식 방식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지난해
1
2월 2
1
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했다. doi:
1
0.
1
038/s4
1
598-020-78986-9연구팀은 남녀 참가자 293명을 두 그룹으로 나눠 낯선 남성 6명의 얼굴을 인식하게 했다. 한 그룹에는 마 ...
[과동 키즈]잘 살고 있지? 지켜 줄 연구는 내가 할게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1
0~
1
2시간씩 차를 타고 제주도 해안도로를 돌며 돌고래를 찾아다녔다. 3월부터
11
월까지
1
년에 약 8개월씩 몇 년을 돌고래를 따라다니다 보니 이제는 조금씩 제주 남방큰돌고래의 삶이 눈에 보이기 시작했다. 남방큰돌고래는 제주도 주변을 유영하며 살아간다. 다만 모든 공간을 동일하게 사용하지는 ... ...
존 필즈의 일기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살바토레 핀케를레, 독일의 오스카어 페론 등 유럽의 수많은 수학자를 만났다. 총
1
만 2875km의 긴 여정이었다. 나는 수학자들이 함께 이야기 나누며 수학을 더 깊이 이해하길 바란다.또한 전세계 젊은 수학자들이 더욱 수학에 매진할 수 있도록 상을 만들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미 뛰어난 성과를 낸 ... ...
[이슈] 위기탈출! 세 단어 주소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짝을 이루도록 했는지는 일급 비밀이랍니다. Q. 위치를 나타내는 일은 왜 중요한가요?
1
0~
1
5년 전에는 모바일 지도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없으면 안 될 정도로 일상생활에 꼭 필요해졌어요. 앞으로는 드론 배달이나 무인 자동차 같은 기술이 발전할 것이고 여기에는 디지털 지도 기술이 ... ...
소행성 흙 배달이요! 하야부사 2호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보낸 걸까요? ▼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 Intro. 소행성 흙 배달이요! 하야부사 2호Part
1
. 하야부사2호, 너는 류구에서 어떤 탐사를 했니?Part2. 하야부사2호, 왜 류구를 찾아갔을까?Part3. 하야부사 3호, 아직 끝나지 않았다 ... ...
[하야부사 2호] 왜 류구를 찾아갔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2호
하야부사 2호는
1
호보다 수백만 배나 많은 류구 샘플을 보내왔습니다. 류구는 하야부사
1
호가 탐사한 소행성보다 더 많은 물과 유기물을 지니고 있습니다. 특히 류구에는 상당수의 아미노산이 포함되어 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지요. 그래서 류구의 샘플을 분석하면 태양계 생성 및 진화 과정에서 ... ...
[특집] AI가 바라보는 세상은 온통 행렬! 이미지 인식 AI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특집] AI가 바라보는 세상은 온통 행렬! 이미지 인식 AIPart
1
. [특집] 몽골인보다 정확하다! 이미지 인식 AI의 쓰임새 Bridge.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Part2. [특집] 몽골인보다 정확하다! 이미지 인식 AI의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영상은 이미지를 시간에 따라 나열해 만든 데이터인데,
1
초당 5~60장의 이미지로 이뤄져 있습니다. 합성곱신경망 안에서 이뤄지는 모든 계산 방식은 행렬의 형태이기 때문에 초당 수십 장에 이르는 많은 데이터를 한꺼번에 나타낼 수 있고, 복잡한 연산도 빠르게 할 수 있죠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