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숫자
자수
넘버
번호
수단
방법
꾀
뉴스
"
수
"(으)로 총 47,952건 검색되었습니다.
"양자컴 산업 참여 가능 시간 5년 남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 국내 양자기술 기업 SDT의 윤지원 대표도 "우리나라만 잘할
수
있는 게 뭔지 들여다봐야 한다"며 한국의 제조업 역량에 기회가 있음을 강조했다. 윤 대표는 "국내에서 국가 주도로 QPU를 만들고는 있지만 상업화를 전제했다고 보기는 어렵다"며 양자컴퓨터에 필요한 ... ...
[동물do감] 개미도 원한 품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있다는 새로운 증거를 제시한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개미가 학습한 내용을 후각
수
용체
수
준에서 어떻게 반영하는지를 밝혀내는 후속 연구를 계획 중이라고 밝혔다. - 10.1016/j.cub.2024.11.05 ... ...
매일 한 잔의 우유, 대장암 위험 최대 17% 낮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흰 우유가 큰 병과 큰 컵에 각각 담겨 있다. 게티이미지뱅크 매일 큰 컵에 우유 한 잔을 따라 마시면 대장암 위험을 최대 17% 낮출
수
있다는 ... 과일, 채소, 통곡물을 많이 섭취하는 것도 대장암 위험을 줄이는 식단의 일부가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 doi.org/10.1038/s41467-024-55219- ... ...
[과기원NOW] KAIST, (주)에이티앤씨와 치매 정복 연구협력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있다. KAIST의 웨어러블 기술을 활용해 가정에서도 뇌 기능을 향상하고 치매를 예방할
수
있는 휴대용 장비를 개발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에이티앤씨는 3년 내 첨단 디지털 장비 개발을 목표로 약 30억원 규모 연구 인력 및 연구비를 지원해 KAIST에 디지털헬스케어 연구센터를 구축할 계획이다. ... ...
수
면 보조제, 뇌 속 노폐물 제거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주목했다"며 이번 연구의 의미를 밝혔다. 그러면서 "최적의 뇌 기능을 위해선 자연적인
수
면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 10.1016/j.cell.2024.11.02 ... ...
정부, 새 의협 회장에 "조건 걸지 말고 만나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핵심 보직 인선은 결정된 것으로 전해지며 나머지 인선안 중 전공의 목소리를 대변할
수
있는 인물을 뽑을 가능성이 있다. 의료계 단일화를 이끌기 위한 집행부 구성 작업이 완료되면 김 회장은 의협 회장 취임 후 첫 과제인 의대 정원 문제를 두고 정부와 협상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3월 새 ... ...
[SW가 여는 의료의 미래]① 의식 희미한 환자, 회복 치료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디렉터는 “의식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의식 상태를 평가하는 도구인 CRS에서 의미 있는
수
준의 의식 기능 회복이 일어났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내년에는 보다 많은 환자군을 대상으로 임상시험을 진행해 의식장애 환자의 회복을 돕는 치료법으로서의 근거를 더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
"中 학술성과가 美 추월 '골든 크로스' 진행중…과대평가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오해보다는 오히려 실제에 가까움을 확인했다"며 "향후 중국의
수
퍼 파워가 더욱 강화될
수
있음을 경계해야 한다"고 밝혔다. '중국 학술적 성과의 영향력 변화: 헤게모니와 효율성을 중심으로' 보고서 표지. KISTI ... ...
이노스페이스·스페이스린텍·인터그래비티, 우주의학 사업화 '맞손'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우주를 활용한 신약개발 치열한 글로벌 경쟁에서 한국이 주요 플레이어로서 인식될
수
있는 교두보를 마련하는 의미도 크다”라고 말했다. 이기주 인터그래비티 대표이사는 “국내 우주기업 3사가 공동으로 우주바이오에 관한 솔루션을 만들어내고 신속하게 기술을 시연함으로써 미래 먹거리를 ... ...
잘 모를 땐 남 따라 한다…지름길 택하는 '뇌'
동아사이언스
l
2025.01.09
아직 확립되지 않은 청소년기에도 두드러지게 나타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정 교
수
는 “개인 선호도가 뚜렷하지 않은 사람들이 때때로 주위 사람들 의견에 더 민감하게 휘둘리는 이유를 설명한 연구”라며 “개인의 선호를 확립하는 교육적 접근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