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871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2000년 전 가야시대에 정말 차나무가 들어왔을까
2018.12.11
FR은 어린 열매다.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차나무 게놈 얘기로 돌아와서 먼저 게놈
크기
는 중국종이 31억4000만 염기이고 아삼종이 30억2000만 염기로 사람 게놈과 거의 같다. 차나무는 게놈에서부터 사람과 인연이 있는 걸까. 하지만 유전자 개수는 크게 차이가 나서 2만여 개인 사람보다 훨씬 ... ...
나노입자로 리튬이온전지 용량 30%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10
그쳤다. 연구진은 수 ㎚(나노미터·1㎚는 10억 분의 1m)
크기
의 이산화티타늄 나노입자의
크기
와 구조를 바꿔가며 다양한 구조를 합성하면서 리튬이온수송 과정을 분석했다. 그 결과 용량이 극대화 되는 최적의 구조를 찾아냈다. 이산화티타늄 입자가 속이 빈 구 형태를 이루는 집합체를 형성할 때 ... ...
화성의 노래를 들어라…NASA, 첫 화성 바람 소리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9
측정할 수 없기 때문에 두 가지 간접적인 방법을 써서 소리를 측정했다. 먼저 경차
크기
의 인사이트는 좌우로 지름이 약 2.2m인 태양광 패널 두 개를 펼쳐 전기를 얻는데, 북서풍이 초속 5~7m로 불면서 태양광 패널을 미세하게 흔들었다. 인사이트에는 나중에 화성의 지진을 측정하기 위한 정교한 ... ...
호주 연구진 10분만에 암 진단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12.09
흡착력은 1~2% 수준이었던 반면 암 DNA의 흡착력은 21%였다. 연구진은 나노미터(10억 분의 1m)
크기
의 금 입자를 활용했다. 이 입자를 녹인 물은 분홍색으로 변한다. 여기에 정상 DNA를 넣자 DNA끼리 엉겨 붙으며 물의 색깔은 푸른색으로 변했다. 반면 암 DNA를 넣자 DNA가 금 입자에 달라붙으며 물은 ... ...
[프리미엄 리포트]한없이 가볍고 따뜻한 패딩 깃털 얼마나 알고 입나
과학동아
l
2018.12.09
가능성이 크다. 전문가들은 패딩 구입 시 몇 가지 팁을 귀띔했다. 김 대표는 “같은
크기
의 패딩이라면 무조건 가벼운 게 좋은 것”이라고 말했다. 충전성이 큰 충전재는 적은 양만 넣어도 패딩이 부풀어 오른다. 하지만 충전성이 낮은 충전재는 그보다 더 많은 양을 넣어야 같은 부피를 만들 수 ... ...
[여기에 과학] 퀸 기타리스트 브라이언 메이 '태양의 길'에 빠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메이가 하고자 했던 것은 황도광을 통해 저 먼 우주에 존재하는 먼지나 천체의 분포와
크기
를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자신이 직접 얻은 자료와 함께 관측소에서 2007년까지 축적한 자료를 바탕으로 먼지구름이 일으키는 변화에 관한 모델을 논문으로 작성했습니다. 1971년 ... ...
[노벨상 시상식]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
2018.12.08
항체는 그동안 노벨상의 단골 연구주제였다. 인류의 건강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매우
크기
때문이다. 그중 백미는 하나의 항원 결합 부위에 특이적으로 반응하는 항체인 단클론항체(monoclonal antibody)로, 이 기술은 치료나 진단 목적에 널리 쓰이고 있다. 파지 디스플레이 : 파지 디스플레이는 ... ...
[노벨상 시상식]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
2018.12.08
연구원은 레이저로 빛의 힘을 잴 수 있는 실험 장치를 고안했다. 그리고 이 장치 내에서
크기
가 약 2.68μm인 유리 입자들을 고루 퍼뜨린 뒤 파장이 약 514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인 레이저를 쐈다. 그러자 유리 입자들이 레이저의 축(중심부)으로 끌려가면서 빛이 진행하는 방향을 따라 ... ...
외국 발사체 빌려탔던 ‘우리별 1호’… 3년내 독자기술로 쏜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8
개발한 ‘우리별 1호’가 최초로 우주로 간 한국 위성이었다. 무게 48.6kg에 어른 책가방
크기
의 초소형(마이크로) 위성으로, 실용적인 목적보다는 지표면 촬영과 음성자료 교신 등 과학 및 기술 실험 성격이 강했다. 당시 한국은 우주 개발 경험이 전혀 없던 우주 개발 후진국이었고 위성을 만드는 ... ...
한해 70만명 죽는데…항생제 발굴 연구 133건 출구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2.06
대형 제약사의 연구개발비가 1000억 원 안팎인 상황에서 실패할 경우 감수해야할 위험이
크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적극적으로 국제 협력에 뛰어들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용동은 연세대 진단검사의학교실 교수는 “항생물질을 발견해도 어디로 가져가야 할지 막막하다”며 “해외의 개발 ... ...
이전
331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