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1,894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연료전지 나노 기술로 상용화 앞당긴다
과학동아
l
201205
연구자에게 글쓰기 능력이 필요한 이유는 바로 논문 작성 때문이다. 아무리 연구
결과
가 좋다고 하더라도 연구자는 논문으로 자신의 연구를 마무리 짓는다. 논리 정연한 글 실력은 좋은 논문을 만드는 기초가 된다.“글쓰기나 글을 읽고 이해하는 능력은 대학에서 배우는 것이 아닙니다. 어렸을 ... ...
나는 과학고로 대학간다!
과학동아
l
201205
입학하는 과학고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재학 중 성적 향상도와 관계없이 서울대 입시
결과
만으로 과학고의 순위를 정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일반 학교와 비교하면 과학고의 위상은 더욱 높아진다. 서울대 합격자를 가장 많이 배출한 고교 10개 중 과학고가 4개다. 게다가 연세대, KAIST, 포스텍, ... ...
Part3. 정신건강까지 책임지는 장내미생물
과학동아
l
201205
사실이 확실해졌다”고 전했다.장내미생물로 똑똑해진다장내미생물이 똑똑하게 한다는
결과
도 있다. 지난해 미국 미생물학회에서 미국 세이지대 도로시 매튜 교수는 마이코박테리움 박카이(Mycobacterium vaccae)가 뇌의 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고 발표했다. 이 균 역시 불안과 우울증세 완화 ... ...
Part3. 비판과 한계
과학동아
l
201205
수축해 버려 다중우주 논의에서는 다룰 이유가 없다. 이 교수는 “음수 우주상수 계산
결과
중 일부를 수학적인 방법을 이용해 양수로 만드는 방법이 세계적으로 연구되고 있다”고 말했다. [피니 교수팀이 찾은 인플레이션 다중우주의 ‘충돌 흔적’ 후보 분석
결과
. 맨 위가 온도로, 커다란 원 ... ...
흉터 없이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1205
수술할 수밖에 없다. 다빈치가 세계 수술로봇 시장을 장악할 수 있었던 이유다.이
결과
다빈치는 전 세계에 날개 돋친 듯 팔려나가고 있다. 다빈치 제작사인 인투이티브 서지컬에 따르면 2011년 기준으로 다빈치 수술로봇은 전 세계에 1700대 이상 팔렸다. 1300대가 미국에, 300여 대가 유럽에 있다. ... ...
지구에서 가장 ‘핫(hot)’한 곳은
과학동아
l
201205
이 지역이 항상 가장 더운 것은 아니다”고 지적했다. 또 이번 측정
결과
를 90년 전
결과
와 직접 비교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주장했다. 기존 기록은 지상 1.5~2m 상공에서 온도계를 이용해 측정한 기온이고, 랜드샛 위성이 측정한 온도는 지표면 자체의 온도기 때문이다. 마이크 카를로비츠 지구관측소 ... ...
초콜릿 복근을 원하는가!
과학동아
l
201205
나눠 8개월 간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하게 한 뒤 내장지방 감소량을 조사했다. 그
결과
유산소 운동을 한 그룹이 다른 그룹보다 내장지방 연소량이 평균 67%나 많다는 것을 발견했다. 김창근 교수는 “적절한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면 복근 밖을 싸고 있는 피하 지방은 물론 내장에 숨어있는 ... ...
바이오 전자 현미경
과학동아
l
201205
70도까지 시료를 움직일 수 있다.연구진은 알츠하이머병에 걸린 생쥐의 뇌세포를 분석한
결과
, 미토콘드리아의 대부분이 손상돼 있는 것을 발견했다. 미토콘드리아는 한정된 공간에서 면적을 최대로 넓히기 위해 ‘크리스테’라는 주름 구조를 이루고 있는데 알츠하이머병에 걸리면 이 부분에 ... ...
‘부바’와 ‘키키’는 어떻게 생겼을까
과학동아
l
201205
본다. 다시 말해 뇌가 가상의 팔이 있다는 자각을 포기해 버렸다.인지과학과 심리학 연구
결과
는 언제나 흥미를 끄는 대상이지만, 구체적인 연구 사례가 없으면 가설이나 추정이 되기 쉽다. 실제로 그런 막연한 설명으로 가득한 책도 대중과학서의 이름으로 많이 출간됐다. 물론 이 책에도 가설과 ... ...
뉴로피드백
과학동아
l
201205
fMRI) 기술이 발전하면서 자가뇌조절 또는 자기치유 기술의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
들이 계속 발표되고 있는 것은 매우 긍정적이다. 2010년 독일 튀빙겐대의 안드레아 카리아 박사는 실시간 fMRI를 이용해서 실험 대상자가 뇌의 오른쪽 섬엽의 활동을 스스로 조절하게 하는 실험을 했다. 뇌의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