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로
d라이브러리
"
꼭
"(으)로 총 3,763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금부터 20년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불안이 반드시 그런 멸망 시나리오의 탓만이 아닌 것은 분명하다. 이대로 가다가
꼭
파국이 기다리고 있을 것만 같은 막연한 불안감의 근원에는 인간의 욕망과 이기가 저지른 무분별한 지구파괴 행위에 대한 죄의식이 잠재해 있기 때문일지도 모른다.만약 인간이 인간으로서 더 이상 이 지구상에서 ... ...
(2) 새로운 시도 착실한 기능향상 돋보여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 21세기워드프로세서를 발표, 통신인들 사이에 갑자기 유명해진 EST그룹에 이 말이
꼭
들어맞는다.1년동안 매달려 개발한 워드프로세서를 데이콤의 PC서브에 올려놓고 여름휴가를 다녀왔더니 그새 유명인이 돼 버렸다는 것. 한국 PC통신에서 이 워드프로세서를 하이텔(HITEL)에 옮겨놓자 첫날밤에 ... ...
도형의 마술
과학동아
l
1992년 10호
최대가 되려면 모든 내각은 1백50°가 돼야 하며 변의 개수는 12개가 된다. 3 ③크기가
꼭
같다는 조건은 없었다. 그러므로 네조각을 크기가 같게 자르려고 애썼다면 풀기 어려웠을지 모른다. 다시 만든 깃발은 다음과 같다. 4 ④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직각삼각형에서 빗변의 길이의 제곱은 다른 ... ...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
과학동아
l
1992년 09호
놓치지 않고 비디오에 담아준 성의에 대해 고마움을 느낌니다. 앞으로도 자연탐사시에는
꼭
비디오를 지참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노조현…도감에는 곰풀이라는 식물이 습지나 냇가에 자생한다고 적혀 있어요. 그런데 이번에 보니까 해발 1천4백20m 지점에서도 곰풀이 자라고 있었어요. 이렇게 ... ...
별은 어떻게 탄생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골짜기에 들어온 양성자는 절대로 다시 밖으로 못 빠져 나갈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꼭
그렇지만도 않은 것이 원자핵 물리학의 세계다. 우라늄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 원자핵에서 핵력의 골짜기를 탈출해 나오는 헬륨원자핵들이 바로 우리가 α선이라고 부르는 방사선이다. 포텐샬 장벽을 넘어 1개의 ... ...
기초부터 다시 시작하는 PC교실① 286 386 486의 행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이루어진다.그런데 여기서 주목해야 할 사실은 8비트 16비트 32비트에서 보듯이 숫자는
꼭
두배씩 늘어나고 있는데, 이를 속도가 두배씩 차이나는 것으로 이해한다면 잘못이다.모든 양적인 차이가 그렇듯 양적인 차이는 질적인 차이로 변화할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다. 아무리 유인원이 교육을 받아서 ... ...
광공해 피해 선명한 밤하늘 보려면 도심 별관측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아파트 옥상은 좋은 장소이지만 바람이 맞닥뜨리는 베란다는 좋은 편이 못된다. 이 점은
꼭
들어맞는 것이 아니므로 정원 베란다 옥상 등 가능한 지역을 몇군데 정해 관측해보면 별의 상이 안정된 곳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관측시기의 선택도 중요하다. 비가 온 후나 바람이 몰아치다 잔잔해지는 ... ...
마이클 화이트·존 그리븐 「스티븐호킹의 삶과 사랑」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선생 학부모라면 이 책을 읽어야 한다. 반드시 많은 것을 얻으리라 믿는다.그렇다고 해서
꼭
그런 사람들만 이 책을 읽어야 한다는 말은 물론 아니다. 제목 그대로 운명을 넘어 감동적으로 전개되는 호킹의 삶과 사랑이 모든 독자들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달하게 될 것이다. 특히 호킹이 부인 제인과 ... ...
5. 잠과 뇌파, 그 신비의 관계
과학동아
l
1992년 08호
진행하고 있다. 또한 수면은 삶에 있어서 기본적인 요소이며 인간이 생존하는데 있어
꼭
필요한 부분이기도 하다. 수면은 기본적으로 24시간의 리듬을 가지고 있는데 이러한 24시간 주기의 신경조절은 뇌하수체의 앞쪽에 위치한 특정 부분에서 관장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만일 이 부분에 병소가 있는 ... ...
오늘날의 로봇
과학동아
l
1992년 07호
의 대학원생이다. 그는 로봇의 팔을 만들었는데 우리의 손과 모습이나 활동면에서
꼭
닳아 사용법을 배우기가 아주 쉽다. 약간 떨어진 곳에서 조종되는 이 로봇손은 인간의 손처럼 흉내내며 움직이지만 중요한 점은 인간이 안전할수 없는 장소에서 활동한다는 점이다. 어쩌면 언젠가 알리씨의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