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랑우탄은 훌륭한 건축가과학동아 l2012년 05호
- 바깥은 튼튼하고 안은 안락한 집. TV에 나오는 아파트 광고가 아니다. 바로 오랑우탄이 나무 위에 지은 집의 구조다. 로널드 에노스 영국 맨체스터대 생명과학부 교수팀은 오랑우탄이 집를 지을 때 지능적인 건축공학을 이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내고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4월 16일 발표했 ... ...
- 불타는 얼음 정말 불내나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이곳에서 생산되는 가스하이드레이트는 석유를 대체할 차세대 에너지원입니다. 전 국민이 최소 100년 간 전기세 걱정 없이 사용할 수 있는 양이지요.”가까운 미래에 동해에서 가스하이드레이트를 생산하는 이야기를 그린 드라마 ‘한반도’가 최근 전파를 탔다. 드라마처럼 되려면 사실 아직 갈 ... ...
- 바이오 전자 현미경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초고전압 투과전자현미경(HVEM)은 아파트 4층 높이인 14.5m의 거대한 위용을 자랑한다. 큰 덩치에서 강력한 전자빔을 물체에 투과시켜 반도체나 세포 속의 원자 구조까지 생생하게 관찰할 수 있다.] ‘어디에 쓰는 물건인고?’공 모양의 물체에 전통 가옥에서 보던 육각형 문양이 새겨져 있다. 파란 ... ...
- '머리 큰 아기' 엄마는 괴로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35월이 되면 많이 부르는 노래 ‘어머니의 마음’은 이렇게 시작합니다.“나실 제 괴로움 다 잊으시고….” 아기를 낳는 일은 여자의 일생에서 가장 크고 긴 고통을 동반합니다. 현대 의학이 발달하기 전까지 아기를 낳는 일은 젊은 여자의 생명에 가장 큰 위협이었죠. 아기를 낳다가 죽는 경우가 허 ... ...
- 진화심리학-레밍, 그들은 왜 자살할까?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쥐의 한 종류인 레밍은 스칸디나비아에 서식한다. 별명은 자살쥐, 방랑쥐, 여행자쥐 등이다. 1년 정도면 개체수가 엄청나게 늘어난다. 개체수가 늘어나면 집단 대이동은 자주 일어난다. 이동을 하는 중 강물이나 절벽을 만날 때, 그들은 투신자살을 한다. 아직 왜 그렇게 행동하는지 이유는 정확히 ... ...
- 기관총 명사수 '막쏘니 퀸'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5호
- “지금부터 제150회 게틀링배 세계 기관총 사격 대회를 시작하겠습니다. 빰바빠빠빠, 빠~바. 빠라바 빠라바 빠라바 빠 빠~바.”미국의 발명가 리처드 게틀링은 1862년에 기관총을 발명했다. 자신의 이름을 따서 ‘게틀링건’이라고 불렀다. 게틀링의 발명을 기리기 위해서 세계 기관총대회가 열렸다. ... ...
- 3D 쿵푸버스터 레전드 오브 래빗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달리기 시합에서 느림보 거북에게 진 잠꾸러기 토끼, 용궁에서 거북과 용왕을 속였던 간 큰 토끼,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시계 토끼처럼 지금까지 알고 있던 토끼는 이제 잊어주세요. 철 없고 웃긴 허당 ‘투’가 토끼의 전설을 새롭게 선보입니다. 올해는 3차원(3D) 애니메이션이 대세랍니다. 1월 ... ...
- 점자 점으로 쓰고 손으로 읽는다!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손끝에서 느껴지는 작고 볼록한 점 6개. 서로 다른 위치에 놓인 이 볼록한 점은 시각장애인을 위한 글자인 ‘점자’다. 그런데 왜 점으로 문자를 만들었을까? 또 점은 왜 6개일까?점자는 비장애인에게 낯선 글자지만, 엄연히 우리 사회 구성원들이 사용하는 또 하나의 문자다. 4월 20일 장애인의 날을 ... ...
- 4화 위기일발! 폴의 추락수학동아 l2012년 04호
- “으아악! 도대체 어디까지 떨어지는 거야?”폴과 폴리스는 모일러 저택에서 추락하기 시작해 끝도 없이 떨어지고 있었다. 그렇게 계속 떨어지기만 하니 폴은 지겹다 못해 주변을 둘러볼 여유까지 생겼다. “응? 벽면에 수학 기호들이 있네? 윽! 저건 얄미운 모일러 녀석 얼굴이잖아?”폴리스는 ... ...
- 길을 잃었을 땐 ‘똥춤’ 춰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4호
- 지구 정복을 위한 은신처를 새로 마련한 닥터 그랜마예요. 그런데, 흑흑…. 은신처로 가다가 그만 길을 잃고 말았어요. 오늘도 은신처를 찾아가려고 나섰다가 갈림길에서 이쪽 방향이 맞는지, 저쪽 방향이 맞는지 헷갈려 하다 그냥 돌아왔답니다. 길을 잘못 찾아 길치라는 별명도 생겼지만 은신처까 ... ...
이전3323333343353363373383393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