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상
패
단체
조합
인류
지역
공동 단체
d라이브러리
"
사회
"(으)로 총 5,043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정보통신 : 남쪽 기술과 북쪽 인재의 결합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차단하기 위해서다. 이런 상황에 있는 북한과, 초고속통신망을 구축하며 정보화
사회
를 추진해가는 남한은 서로 많은 차이를 가진다. 즉 정보통신 격차가 점점 더 심화되고 있어서 이런 상태로 통일이 된다면 결국 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한국을 방문한 독일의 한 통신 기술자는 ... ...
국경과 시간을 초월하는 인터넷 방송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있는 것은 엄연한 사실이다.시공간 제약 없어인터넷의 활용 분야가 일상 생활에서부터
사회
, 경제, 문화 등 다양한 영역에 걸쳐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초고속 통신망이 빠르게 보급돼 인터넷 접속 환경이 향상되면서 최근에는 인터넷을 이용해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제공하는 서비스도 ... ...
레이첼 카슨의 침묵의 봄(Silent Spring)
과학동아
l
2000년 07호
현혹하고 있다고 비판하기도 했다.미국 환경운동의 기폭제'침묵의 봄'의 출판은 미국
사회
에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다. 출판일인 1962년 9월 27일 이미 4만부의 선계약이 이뤄졌으며 이달의 책(the Book of the Month) 클럽은 15만부를 구입하기도 했다. 그리고 그 해 가을에만 60만부가 판매됐다. 이 책은 미국 ... ...
③ 추론 : 주인 취향 맞춰 비서 노릇 척척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경우 우리는 큰 경제적 손실을 입거나 몸을 다쳐 때로는 생명을 잃기도 한다. 우리의
사회
가 복잡할수록 우리의 판단과 사고 능력은 더욱 중요해진다.기본은 논리적 추론컴퓨터 기술이 발달하면서 인간의 사고 기능을 컴퓨터에 부여하기 위한 노력이 오래 전부터 진행돼 왔다. 이와 같은 추론기능이 ... ...
스노우의 두 문화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또 과학기술자들이 과학정책결정에 참여하더라도 역사적 안목과
사회
적 의식이 결여돼 있어 여러 문제점들을 초래하고 있다. 더군다나 인문학을 배경으로 하는 정책입안자들과 과학기술자들 간의 의사소통 단절은 스노우가 지적한 그 이상으로 심각한 상황이다. 따라서 ... ...
곤충진기명기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수명이 늘어난 곤충도 있다. 가장 오래 사는 곤충이라면 여왕개미를 꼽을 수 있는데, 개미
사회
가 한마리의 여왕개미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므로 가능한 오래 살면서 알을 계속 낳을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기록에 따르면 실험실에서 키운 여왕개미(Lasius niger)가 28.75년을 산 것이 최고 기록이다. 물론 이 ... ...
① 시각 : 도로 상태 보며 핸들 조절하는 무인자동차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지능시스템의 지원으로 윤택하게 사는 인류! 이것이 뇌연구자가 보는 21세기의 인류
사회
이다.그런데 여기서 ‘인공’의 의미를 확실히 파악할 필요가 있다. 사실 ‘인공’이라는 말은 분야에 따라 매우 다르게 사용된다. 의학에서 사용되는 ‘인공장기’는 손상된 장기 대신 이식수술을 할 수 있는, ... ...
인터넷과 휴대폰 최강국 핀란드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정부의 추진력이 발전의 걸림돌로 작용해 왔다. 게다가 외국 업체에 대한 부정적인
사회
인식도 신기술을 도입하거나 배울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하는데 한몫 했다.하지만 IMF 이후부터 추진한 벤처에 대한 적극적인 지원과 정보통신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 등이 지속적으로 추진돼 점차 상황이 ... ...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프톨레마이오스의 지구중심 체계에 대한 많은 사람들의 의심과 달력의 개혁이라는
사회
적 필요가 더해지면서 가능했던 것이다. 하지만 코페르니쿠스의 태양중심 체계가 제시하는 대로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라 태양을 도는 평범한 행성에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도 쉬운 일이 ... ...
아프리카를 떠난 최초 인류의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0년 06호
노스텍사드 대학의 리드 페링 교수는 “석기 기술은 뒤떨어졌지만, 나무를 사용하거나
사회
적 행동을 발달시켜 충분히 난관을 극복했을 것”이라고 말했다.하지만 이번 발굴에 대해 영국 자연사박물관의 크리스 스트링거 박사는 “드마니시에서 발견된 두개골 화석은 우리의 직계 조상이 아니다”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