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량
수량
액수
부피
강도
정량
수
d라이브러리
"
양
"(으)로 총 6,999건 검색되었습니다.
분자로 비휘발성메모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마련이다.“현재 메모리 시장을 지배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앞으로도 선두를 지키려면 다
양
한 차세대 비휘발성메모리 소자를 개발해야 합니다. 이 과정에서 저희 기능성 분자메모리 연구단도 한몫을 해야겠지요 ... ...
광통신 구현한 광섬유 디카의 핵심 CCD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구멍을 통해 수술하는 경우 수술 부위를 보는 데 유용하게 쓰인다. CCD가 장착된 캡슐 모
양
내시경을 삼키면 캡슐이 소화기관을 따라 내려가면서 CCD가 몸속을 촬영하고 그 영상을 몸 밖으로 무선 전송하는 방법도 현재 이용되고 있다.대한민국은 자타가 공인하는 IT 강국이다. 지금까지의 IT가 전자의 ... ...
남성이 매력녀 앞에서 활발해지는 이유 밝혀져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정신이 번쩍 들게 만든다.연구팀은 실험을 시작하기 전 남학생들의 침을 채취해 호르몬
양
을 측정했다. 그 뒤 일부 남학생은 5분 동안 여학생과 대화를 나눴고 나머지는 남학생끼리 대화를 나누도록 했다. 실험에 참가한 여학생들은 18~22세로, 실험 전 남학생들에게 호감도 점수를 매기게 한 결과 7점 ... ...
진도 울돌목에 국내 최초 조류발전소 떴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조류의 흐름이 차단막에 막혀 발전효율이 떨어지고, 난류가 생겨 생산되는 전기의
양
이 불규칙한 2차적인 문제가 나타났다”고 말했다.취재가 끝날 때쯤 발전소에 근무하는 주병곤 선장의 배를 타고 발전소 주변을 둘러 볼 수 있는 기회가 생겼다. 거센 조류를 온몸으로 느낄 수 있는 절호의 ... ...
한국 10대(代) 과학자들의 연구결실 뽐낸다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학생들은 대부분 장학금을 받고 국내외 이공계대에 진학했다. 지난해 논문을 낸 이단비
양
은 올해 고려대 생명과학계열 학부에 진학했는데, “당시 논문심사과정에서 받은 질문이 대통령과학장학생 심사 때 받은 질문과 비슷했다”며 “논문 덕분에 대통령과학장학생에 뽑혀 전액 장학금을 받게 된 ... ...
몸속 나노로봇, 돌돌 말리는 디스플레이 가능하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만든다. 메모리 소자는 걸어주는 전압에 따라 커패시터에 전하가 쌓이고 방전되는
양
을 기록한다. 커패시터는 전하가 방전되는 속도가 빨라 일정한 전압이 계속 가해져야만 전하(정보)가 유지된다. 따라서 커패시터로 구성된 메모리는 전압이 차단되면 저장했던 정보가 지워지는 휘발성 메모리다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당시 마타 하리는 독일과 프랑스의 이중간첩으로 활동했다. 마타 하리는 악보를 이용해
양
국에 정보를 제공했다. 각각의 음표에 알파벳을 대응시켜 만든 암호문은 완벽하지 않았다. 음악에 대해 조금이라도 아는 사람은 단번에 악보가 잘못되었음을 알 정도로 허술하게 만들어진 암호였지만 악보로 ... ...
한국 과학계, ‘외계생명체 찾기’ 나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끝나면 각각의 KVN 관측 원자료는 일정 기간 보관한 뒤 폐기 처분한다.그 이유에는 막대한
양
의 자료를 계속 보관할 저장장치를 유지할 수 없는 사정도 한몫한다. 세티 코리아 프로젝트에서는 이렇게 폐기 처분되는 KVN의 관측자료를 확보해서 재활용하는 전략을 통해 기존 KVN 과학 관측 프로그램에 ... ...
세포 수명 조절하는 원리 규명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염기 약 150개가 매듭구조를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세포 차원에선 노화와 암은 동전의
양
면텔로미어도 결국 염기서열로 이뤄진 DNA이므로 세포가 분열할 때마다 복제되는 길이가 점점 줄어든다면 언젠가는 텔로미어가 모두 사라져 DNA 유전정보도 손실되진 않을까. 과학자들은 텔로미어의 길이가 ... ...
보통 사람에 우주의 꿈 씨앗 뿌린 국제우주대회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볼든 국장은 먼저 “우주청 문제는 한국 정부가 결정할 일”이라면서도 “한국은 우주인
양
성, 위성 개발 같은 훌륭한 프로그램을 이미 진행하고 있으며 다른 나라와의 공동 연구에도 적극 나서고 있기 때문에 현재 두 기관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볼든 국장은 NASA의 국제협력에 대해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