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알아두면 더 재밌는 월드컵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이긴 우루과이가 마지막 본선 티켓을 거머쥐었다. 우리나라는 1954년 스위스 월드컵 이후 9회째 월드컵 본선 티켓을 따내, 아시아에서 가장 많이 월드컵에 진출한 나라가 되었다. POINT2014 월드컵에서 아시아 출전국이 3개인 이유는?이번 월드컵의 본선 진출국을 살펴보면, 아시아 나라가 3개밖에 없는 ... ...
- 삼각형 소용돌이 스피드론 만들기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보라며 제자를 격려했다.루빅 교수의 조언 덕분이었는지 에르데이는 대학교를 졸업한 이후에도 수학자와 물리학자, 예술가들과 협력해 스피드론을 연구했고 다양한 성과를 냈다. 수학에선 스피드론의 대칭 연구가 진행됐고, 3차원 스피드론은 물론 쌍곡기하에서 구현이 가능한 스피드론도 ... ...
- 6회 캠퍼스에서 수지의 흔적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보았다. 그 결과 10년 전 음대를 다니고 있었던 수지는 어느 날 갑자기 실종되었고, 그 이후로 수지를 본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K와 수지가 뭔가 관련이 있을 거라고 추측한 왕 반장 일행은 곧바로 수지에 대한 흔적을 찾기 위해 수지가 다니던 캠퍼스로 향했다. 정말 수지는 K와 ...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식으 로 간간히 이상한 궤적을 보이는 위성이 발견됐다. 삐딱 위성의 절정은 20세기 말 이후였다. 초정밀 관측 기술 이 발달하면서, 작은 위성 발견이 폭발적으로 늘었다. 현재 이런 ‘천방지축’ 위성은 100개가 훌쩍 넘는다(5월 15일 국제천문연맹 왜소행성센터 자료 기준 목성 59개, 토성 39개, 천왕성 ... ...
- 백년 묵은 시계를 꺼내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탑시계는 1980년대 초 새로운 전자시계와 임무를 교대했다. 역사 속으로 은퇴한 탑시계는 이후 30여 년간 조용히 잠들어 있었다. 그러다 서울대병원 의학역사문화원이 1970년대 말 철거된 대한의원 본관 서쪽 날개채를 정밀 조사하다가 이 시계의 가치를 재발견하게 됐고, 서울대병원이 탑시계를 ... ...
- 아르키메데스의 기구한 운명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것을 밝혀냈다. 배열의 개수인 536으로부터 5월 36일을 연상한 수학자들은 36일이 5월 31일 이후 다섯 번째 날이므로 6월 5일을 아르키메데스의 날이라고 부르자는 제안을 내기도 했다. [이탈리아의 줄리오 파리지가 1599~1600년 사이에 그린 벽화. 아르키메데스가 포물면 거울로 햇빛을 모아 로마의 목조 ... ...
- 말레피센트 사악한 요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못했던 7번째 요정이 마법을 걸어, 공주는 죽는 대신 100년 동안 깊은 잠에 빠지게 된다. 이후 공주는 100년의 시간이 흘러 저절로 깨어난다.이 동화는 그림형제에 의해서도 1812년 출판되는데, 여기서는 요정이 아니라 마법사가 등장한다. 그 수도 무려 13명이나 된다. 나머지 이야기는 페로의 동화와 ... ...
- 게임, 내손으로 디자인한다! 수학동아-넥슨 게임 카페수학동아 l2014년 06호
- 2005년부터 서비스된 모바일 게임은 다운로드 횟수가 10억 회를 훌쩍 넘었다. 1984년 출시된 이후 30년 간 전세계적으로 큰 사랑을 받은 셈이다.그런데 이런 테트리스를 개발한 사람은 수학자다. 그것도 자신의 연구를 게임으로 옮겨 놓은 것이라고 한다. 어떻게 된 걸까?"테트리스에 등장하는 도형을 ...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때가 있다. 물론 씨까지 함께 먹는 참외도 있고! 작년 여름에 수박씨를 삼켰는데 그 날 이후에 배가 많이 나오는 거 같다고? 혹시 배 속에서 싹이 튼 게 아니냐고? 걱정할 필요 없다. 씨앗은 단단한 껍질로 둘러싸여 있는데 온도, 물, 산소가 알맞은 환경에서만 껍질을 뚫고 싹을 틔울 수 있다. 사람의 ...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아티야의 수학이 물리학과 밀접한 관계가 있으리라고 짐작할 수 있다.1980년대 이후로는 끈 이론을 연구하는 에드워드 위튼을 비롯한 여러 이론 물리학자들의 활약에 힘입어서 지표 정리뿐 아니라 아티야가 개발한 다양한 이론들이 빛을 보게 된다. K이론, 이차원 양-밀즈 이론, 인스탄톤 이론 등 거의 ... ...
이전3323333343353363373383393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