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난"(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반중력, 인공중력은 가능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어려울까. 앞에서 언급한 아이디어인 중력으로 중력을 상쇄하는 방법을 이용하면 된다. 지난 1월호 신간 소개에 실린 ‘블랙홀에서 살아남기’의 서평을 보자. 저자는 기조력을 상쇄하기 위해 훌라후프 같은 고리를 두르면 된다고 설명했다. 물론 이 고리의 질량이 매우 커야 해서 쉬운 방법은 ... ...
- 북핵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작은 폭발을 유도해 플루토늄에 집중시켜야 비로소 폭발시킬 수 있다. 그럼에도 북한은 지난 1, 2차 핵실험에서 플루토늄탄 개발을 시도했고, 미흡하나마 성과를 거뒀다.만약 북한이 이번에 고농축우라늄탄을 개발해 실험했다면 기술적으로는 퇴보한 게 아닐까. 그렇지 않다. 재료를 따져보면 ... ...
- 나로호 볼 때마다 ‘고맙다’ 말했죠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성공이 확실해지자 박수를 두 번 치고는 자리에 앉아 안경을 집어드는 모습이 나온다. 지난 10여 년의 긴장이 풀리는 순간이었으리라).”“1차 발사에 실패했을 때였어요. 일이 힘든 건 얼마든지 할 수 있었어요. 동료들이 있잖아요. 그런데 첫발사가 실패하자 조사단이 와서는 우리를 죄인 다루듯이 ... ...
- DNA CAFE과학동아 l2013년 03호
- 2013년 새로 마련한 ‘과학자와 독자와의 만남’, 그 첫 번째 기회인 ‘DNA 카페’가 지난 1월 28일 서울대 의대 유전체의학연구소에서 열렸습니다. 2013년 1월호 신년특집 ‘네오 DNA’의 필자이자 취재원이었던 서정선 서울대 의대 교수가 광주, 부산, 전북 김제, 경기 수원 등 전국에서 온 독자 20명과 ... ...
- 과학도 풀지 못한 미스터리 조각, 흑피옥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측정 결과는 워낙 민감하다. 누구의 말이 맞을지 알 수 없다. 하지만 분명한 건, 4년이 지난 지금 당시 상황을 측정 현장에서 다시 확인할 가능성은 희박해졌다는 사실이다. 흑피옥을 둘러싼 가늘고 가는 끈 하나가 또 끊어졌다.검은 칠을 한 미스터리 옥 조각품, 흑피옥. 까맣고 탁한 외관은 이 ... ...
- 새 학기 어떻게 시작할까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잘못 보낸 것에 남은 인생의 전부를 저울질했다는 것에 헛웃음이 나올 것입니다. 물론 지난 시간을 착실히 보낸 사람이 그렇지 못한 사람에 비해 몇 발짝 앞서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당연합니다. 말하고 싶은 것은 뒤처진 것이 꼭 나쁘다는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인생을 폭 넓게 멀리 보세요. ... ...
- 미래 꿈나무 과학캠프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3호
- 지난 12월 21일부터 23일까지 충남 국립중앙청소년수련원에서특별한 과학캠프가 열렸어요. 이번 한국과학캠프는 폐광지역에 사는 어린이들에게 과학교육과체험의 기회를 주기 위해 한국광해관리공단 주최로 열렸답니다. 강원도 태백과 정선, 영월, 삼척,경북 문경, 충남 보령, 전남 화순에 사는 ... ...
- [수학뉴스] 수학 시뮬레이션으로 알아 본 커피 고리 현상수학동아 l2013년 02호
- 타원형 입자를 사용하면 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사실을 실험으로 밝혀냈다. 그리고 지난 1월 커피 고리의 성장 과정을 수학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시 알아봤다.연구팀은 우선 일정한 모양의 블록을 설정하고, 이 블록들이 다른 이웃한 블록들과 관계없이 독립적으로 쌓인다고 가정해 ... ...
- 오류를 잡아라! 확률 법정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얻었어도, B정당이 캘리포니아주에서 더 많은 표를 얻었다면 선거인단 수는 3대 55가 된다.지난 2000년 미국에서는 상대 후보보다 무려 53만 표나 적게 득표하고도 대통령이 되는 상황이 일어났다. 주인공은 미국 43대 대통령인 조지 부시 대통령으로, 이 사건은 지금까지도 미국 대통령 선거 제도가 ... ...
- [체험] 소행성 접근, 수학으로 예측한다!수학동아 l2013년 02호
- 지난 1월 9일 오후 8시 43분, 소행성 ‘아포피스’가 지구 가까이에 모습을 보였다. 다행히 큰 문제없이 지구를 빗겨갔지만, 전문가들은 만일의 사태를 꾸준히 대비해야 한다고 말한다. 그런데 이런 소행성의 접근을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수학’이 필요하다. 한국천문연구원 ... ...
이전33233333433533633733833934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