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호
옹호
방어
방위
수호
후원
찬조
뉴스
"
보호
"(으)로 총 4,294건 검색되었습니다.
뭉게뭉게 구름을 만들어 날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6.14
대기가 흘러간답니다. GIB 제공 실험 방법 구름을 만들어 날려보자!※ 실험할 때는 꼭
보호
장비를 착용하고, 안전에 유의하세요! 의 독자들이 섭섭박사님을 위해 구름을 만들어 날리는 여러 가지 아이디어를 내주었어요. 섭섭박사님은 블로그와 홈페이지에 올라온 다양한 방법 ... ...
종이 칩으로 수은 오염 10분 내 알아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13
각종 화학물질 및 음식 속에 포함된 중금속에 노출될 위험이 커진 소비자 건강
보호
에 일조하리란 기대다. 권요셉 한국 기초과학지원연구원 바이오융합분석본부 생물재난연구팀장은 종이와 금 나노 입자를 이용한 저비용 고감도 수은 현장 검출 키트를 개발했다고 13일 밝혔다. 연구진은 ... ...
알파고가 전부가 아니다…구글의 인공지능(AI) 기술 TOP 7
바이라인 네트워크
l
2017.06.12
이용자 개개인이 즉각적인 딥러닝 혜택을 입는다는 정점도 있지만, 개인의 정보
보호
측면에서도 유리한 점이 있다. 중앙 클라우드에서 학습을 해야 할 때는 이용자 개인의 데이터를 클라우드로 전송해야 한다. 그러나 연합학습은 개개인의 데이터를 전송하는 대신, 단말장치에서 이용자 개인의 ... ...
사람을 문 치타의 최후
팝뉴스
l
2017.06.11
동물
보호
소에서 촬영되었고 5일 유튜브에 공개되었다. 치타에게 물린 남자는 동물
보호
소의 직원이었다. 갑작스러운 치타의 공격의 당황하고 화가 났던 것 같은데 그는 터프한 사람이었다. 입에서 풀려나자 치타의 뒷다리를 잡고 빙글빙글돌리다가 땅에 패대기쳤다. 그래도 분이 풀리지 않았던지 ... ...
[수(獸)페셜리스트] “동물도 사람처럼 미리 암을 조기에 발견해야 치료가 됩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11
슬퍼하기만 하다가 정작 치료할 수 있는 시기를 놓치거든요. 그렇게 되면
보호
자 입장에서는 힘들어하는 모습이 마지막일 수 있어요. 수의사로서 손쓸 수 없는 ‘아이’를 만났을 때 가장 마음이 아픕니다.” ... ...
[반려동물 정책제안 ③] 동물병원 진료비를 결정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06
보험의 특성상 최대한 많은 가입자가 있어야 혜택을 많이 받을 수 있는데, 얼마나 많은
보호
자가 보험에 가입할지 알 수도 없다. 동물의료보험 제도를 시행하려면 반려동물 수를 명확하게 파악해야합니다 자동차 보험처럼 반려동물을 키우기 시작하는 것과 동시에 등록을 하고, 보험에 ... ...
소방관, 내년부터 방화복 대신 아이언맨 수트 입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05
강한 탄소 및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고 방화복과 충격흡수 소재를 덧입혀 소방관을
보호
한다. FRT는 2016년 실용화 가능한 수준의 소방관용 웨어러블 로봇 ‘하이퍼 R1’을 개발해 현재 각급 소방서 보급을 추진 중이다. FRT는 파이언맨 개발에 하이퍼 R1의 성능을 그대로 유지하고 무게를 더 줄인 ... ...
[표지로 읽는 과학: 네이처] “생물다양성 위해 효율적 국제 정책 마련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7.06.04
것이 좋을지 논의해 판단하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가넷 교수는 “생물다양성
보호
를 위해서는 세계적으로 통일된 구분 기준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 ...
“기후변화, 장기적으로 대응해야… 특정 정부에 흔들려선 안돼”
동아사이언스
l
2017.06.02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1일(현지 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과 미국 시민을
보호
해야 할 대통령으로서의 의무를 다하기 위해 파리기후협정에서 탈퇴하기로 결정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그러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에 공평한 방식으로 파리기후협정을 다시 맺는 재협상을 ... ...
[반려동물 정책제안 ①] 동물에 대한 국가 철학이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01
것도 같은 이유다. 올초 동물
보호
법 개정안 일부가 통과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다만 동물
보호
법 개정안이 당초 안대로 통과된 것이 아니라 수정을 거쳐 일부가 통과된 것은 아쉬움을 남겼다. 동물과 관련된 법이 쉽게 바뀌지 않는 것은 우리나라에서 근본적으로 동물을 어떻게 분류하고 ... ...
이전
332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