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d라이브러리
"
100
"(으)로 총 3,859건 검색되었습니다.
차세대 전투기 격돌 F-15K vs 라팔
과학동아
l
200204
차이는 근본적으로 탑재된 엔진이 다르기 때문이다. F-15K는 플랫 앤 휘트니사의 F
100
-pw-
100
엔진 2기가 장착돼 있다. 이 엔진은 F-15K를 최대 마하 2.5라는 엄청난 속도에 도달시킬 만큼 강력한 추진력이 자랑이다. 엔진은 둘 중 하나가 꺼졌을 때 기동이 불안정해지는 것을 줄이기 위해 가깝게 위치하고 ... ...
아이스크림 튀겨 먹는 비법
과학동아
l
200203
가령 공기의 열전도율은 물의 열전도율과 비교했을 때 약 1/25배를 나타낸다. 우리가
100
℃가 넘는 사우나실에서 화상을 입지 않는 이유도 내부에 채워진 수증기(공기층) 덕분이다.따라서 찬 아이스크림이 튀김옷의 열기를 느끼는데는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하지만 아무리 튀김으로 ... ...
3. 토네이도 추적하는 기상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03
올 시각을 정확히 예측할 수 있지만, 1주일 후 비가 올지 안올지 예측한 것은 영원히
100
% 맞힐 수 없다. 이 때문에 물순환 컴퓨터 모형에서 기상은 고려할 수도 고려안할 수도 없는 천덕꾸러기 신세였다. 토네이도 따라다니며 분석그러나 과학기술이 발달하면서 상황이 달라지고 있다. 완벽한 ... ...
과학논술로 미래 내다보는 안목 형성
과학동아
l
200202
큰 괴수의 걸음걸이를 찍는다면, 괴수로 분장한 사람이 걷는 모습을 촬영속도를 $\sqrt{
100
}$ =10배 빨리 해서 찍으면 된다. 즉 평소에 초당 36프레임의 사진을 찍는다면 이번에도 초당 3백60프레임의 사진을 찍으면 된다. 여기에 덧붙여 흙먼지는 발바닥 위로 조금만 올라오도록 하는 것도 자연스런 ... ...
정월대보름 달 크기를 재보자
과학동아
l
200202
노출을 많이 주고, 보름달일수록 노출을 줄여야 한다(표).일반사진용 필름(필름감도ISO
100
)을 기준으로 구경비(초점거리/구경)와 달 모양에 따른 표준 노출시간을 초로 나타냈다. 이를 참고로 사용해 주어진 노출에서 전후로 한두 단계씩 찍어보면 적정 노출을 찾을 수 있다.달을 촬영한 다음 어떻게 ... ...
과학의 역사 읽기
과학동아
l
200202
변화만큼이나 빠른 속도로 발전하면서 사람들의 생활양식을 바꿔갔다.‘우리 과학
100
년’은 근현대 한국 과학사를 정리한 책이다. 개항을 전후한 시기에 활약했던 실학자들을 비롯해 한국 과학 발전의 산실이라고 할 수 있는 카이스트와 포항공대까지, 한사람 한사람의 인물과 그 인물을 포함한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01
영원히 ‘브레이크’를 당하는 꼴이 됐다. 따라서 화성 오디세이의 성공여부도 현재까지
100
% 단언하기 어렵다.최근 10년 간 세계의 여러 우주기구에서 단행한 20회의 탐사선 발사 중 50%에 가까운 8회가 화성을 겨냥한 것이다. 이렇게 화성에 매달리는 이유는 무엇일까. 바로 태양계의 행성 중 화성에서 ... ...
ST - 우주개척의 시대 서곡 울린다
과학동아
l
200201
조립을 진행하고 있다. KSR-III는 1997년 말부터 개발에 착수한 액체 추진제 로켓으로
100
% 부품을 국산화한 과학관측 로켓이다. 로켓엔진에서 만드는 힘은 최대 13t이며, 로켓의 최대 지름은 1m, 전체길이는 13m, 무게는 5.5t이고 아래에 4개의 날개가 있다.우리나라는 KSR-III의 독자적인 개발에서 쌓은 설계와 ... ...
01 황사와 산성비 없애는 차세대 발전소
과학동아
l
200112
낮아졌다. 값싼 전기를 이용해 도시의 생활 쓰레기는 초고온 플라스마 소각로에서
100
% 재활용된다. 오폐수도 1급수 수준으로 정화돼 이제 주요 도시의 하천은 청정 1급수 수질 지역으로 탈바꿈됐다. 또한 발전소와 공장지역은 온실가스 제로의 청정지역으로 변화됐다. 폐쇄후 50년 지나면 ... ...
① '수능 프리즘'을 통해 본 과학
과학동아
l
200112
전류의 양’이 나와있다. 1백10V일 때 소비전력이 1백W인 전구에는, P=VI 식에 의해 $\frac{
100
}{110}$ A의 전류가 흐르는 것이 정상이다. 즉 이 정도의 전류가 흘러야 전구가 깨지지 않고 견딜 수 있다. 그런데 이 전구를 2백20V에 연결하면 전압이 2배가 됐으므로 2배의 전류인 $\frac{200}{110}$A의 전류가 흐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