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공룡 멸종 이유가 어둠이 무서워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발달한 포유동물은 어둠에 적응한 반면, 공룡은 어둠 속에서 먹이를 찾지 못해 멸종했을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김정웅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는 안구질환 치료나 기초 생명과학 분야에 널리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 ...
- [News & Issue] 초록 은하는 변신 중?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별 생성이 빠르게 억제되고, 결과적으로 파란 은하가 매우 급격하게 빨간 은하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다.가설만 많을 뿐, 답은 아직 명확하지 않다. 은하의 색깔 변화를 결정하는 여러 현상 가운데 무엇이 가장 중요한지, 그리고 어떤 조건에서 어떤 현상이 작동하는지 아직 연구가 더 필요하다. 다만 ...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대다수는 그 기능이 밝혀지지 않았다. 윤 교수는 “반복된 DNA 대부분이 이동이 가능한 전이인자면서 레트로바이러스와 관련돼 있어 바이러스로부터 전달받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인간의 DNA 중 레트로바이러스와 관련된 부분은 전체의 8%이고, 레트로전이인자 계열의 유전정보까지 ... ...
- Part 1. 북극, 빙하기 동해 닮은 비밀의 얼음 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침강하는 표층수가 약해지고 그 결과 북극으로 올라오는 멕시코 만류도 약해질 가능성이 있다. 남 박사는 “동해는 크기가 북극해에 비해 훨씬 작기 때문에 북극에서 1000~2000년 주기로 일어나는 일이 50~100년 사이 벌어진다”며 “동해가 북극해의 비밀을 밝히거나, 반대로 북극해의 환경변화가 ...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버마비단구렁이도 많다. 중국에서 이번에 적발된 7만여 점 중에도 야생개체가 포함됐을 가능성이 높다.땅과 미래를 빼앗기다미국의 고퍼육지거북은 등딱지 길이가 약 30cm 되는 중간 크기의 거북이다(104쪽 사진 참조). 겉보기에는 그저 평범한 육지거북처럼 생겼다. 하지만 이들은 미국 동남부 지역의 ... ...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사람의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해 가계도를 그려볼 수도 있다(한국에선 아직 법적으로 불가능하지만). 비슷한 방법으로 맥주 발효에 사용된 미생물의 종류를 확인할 수도 있다. 우리가 먹는 식품의 유전자조작 여부도 외부 유전자의 흔적을 PCR로 증폭해 알아낼 수 있다.실험에 필요한 장비를 노트에 ... ...
- [매스미디어] 우주복 있음, 출장가능수학동아 l2016년 07호
- 해야 할 문제다.다행히 이 소설, 미국의 SF 작가 로버트 하인라인의 속에서 달이 아예 갈 수 없는 곳은 아니다. 이미 수백 명이 일하는 달 기지가 있는 세상이다. 다만 쉽지 않을 뿐이다. 부자라면 큰 돈을 내고 여행을 다녀올 수 있겠지만, 클리퍼드에게는 87센트(약 1000원)밖에 ... ...
- [수학동아클리닉] 큰 수 만들기 대회수학동아 l2016년 07호
- 예를 들어, 아래와 같이 9를 300개 적은 아이가 있다고 하면, 그 수는 10300 -1과 같이 표현이 가능하다. 이는 지수법칙을 활용해 수를 표현하면 같은 공간 안에 훨씬 더 큰 수를 쓸 수 있다는 뜻이다. 큰 수 만들기 대회를 여러 반에서 실시했다면 모든 반의 큰 수를 모아 큰 종이에 정리해 붙인다. 그런 ... ...
- [과학뉴스] 우주팽창, 예상보다 빠르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있는데, 이번 연구로 암흑에너지 외에 우주팽창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힘이 존재할 가능성이 제시됐다. 우주팽창이 예상보다 빠르다는 것은 우주의 나이가 138억 년보다 어릴 수도 있다는 뜻도 된다. 연구결과는 6월 9일 논문 수집 웹사이트 ‘아카이브’에 처음 공개됐고 학술지 ‘천체물리학’에 ... ...
- Part 2. 무수한 기체 먹고 은하 ‘비만’ 막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지금은 잠자고 있는 비활동성 은하핵도 과거엔 AGN이었을 가능성이 제기됐기 때문이다. AGN에서 쏟아진 막대한 에너지가 모은하(host galaxy)의 진화에 영향을 미쳤을 터였다.모은하의 ‘몸집 키우기’에 제동을 걸다?시작은 1998년, 천문학자 존 마고리안이 발표한 ... ...
이전3333343353363373383393403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