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로
길거리
거리
가로
노선
항로
경로
d라이브러리
"
길
"(으)로 총 5,256건 검색되었습니다.
갯벌은 숨쉬어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학생들을 데리고 갯벌탐사에 나서겠다”며 “이처럼 다양한 갯벌이 앞으로도 잘 보존되
길
바란다”고 소감을 밝혔다. 대전 동대전고 임은순 교사는 “4박5일간 함께 하며 갯벌생태계에 대해 많은 것을 배울 수 있었다”며 “이제부터는 갯벌에 대해 살아있는 교육을 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 ...
우리는 왜 잠을 자야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때문이라고 한다. 수면이 부족하면 내분비계나 면역계에 이상이 생겨 각종 피부질환이 생
길
수도 있다. 몸짱 미인이 되려면 실제로 잠꾸러기가 돼야 하지 않을까.사회적 붐에 편승해서 억지로 ‘아침형 인간’ 이 되기 위해 일찍 일어나 활동하려고 노력하는 것 보다는 자신에게 알맞은 시간 동안 ... ...
여드름균 게놈 해독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가장 큰 고민 가운데 하나인 여드름을 치료할 수 있는
길
이 열렸다. 여드름 원인균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Propionibacterium acnes)의 염기서열이 완전히 해독됐기 때문이다. 독일 게오르그-아우구스트대 게르하르트 고트샬크 교수팀은 2백56만개의 염기쌍으로 이뤄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 ...
1. 인터넷 시대 심리를 알아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가서는 안된다”며 “사이버 세계의 독특한 성질을 반영하는 언어로 나아갈 수 있도록
길
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한다. 세 교수의 이론은 게임 중독과 외계어 문제에 대해 부정성만을 강조했던 지금까지의 분석과는 사뭇 다른 주장이다.심리학자들이 이처럼 사이버 세계에 대한 발언의 강도를 ... ...
만약 배낭로켓 메고 하늘 난다면?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모르게 조심스럽게 잉태되고 있다.문득 어깨에 멘 가방이 유난히 무겁다고 느껴지는 하교
길
엔 그 가방이 로켓이 되어 함께 날아가는 상상을 해보자. 집 앞까지 멋진 비행을 도와줄 나만의 로켓이라는 즐거운 상상. 무거웠던 가방이 가벼워지면서 낯선 설렘으로 발걸음이 가벼워지지 않을까 ... ...
5. 검색능력이 경쟁력이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탐색 과정에서 겪게 되는 실수를 대개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방향상실(disorientation) 또는
길
잃음(lost-in-hypertext) 하이퍼텍스트로 된 문서들의 구조에 익숙하지 않을 때 겪게 된다. 메뉴 디자인이 잘못 설계됐거나 인간의 기억인지기능이 저조할 때 일어난다.방향이탈(embedded digression) 원래 목적을 ... ...
'꿈의 차세대 원자로' 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태우고 남은 폐기물. 방사능이 많이 나와 고준위라고 한다. 플루토늄 등 반감기가
길
고 위험한 물질이 많이 들어있다.원자로 세대, 어떻게 달라졌나원자력 발전이 처음 성공한 것은 50년전인 1954년 6월이다. 이후 50년대 상업적으로 개발된 원자로를 1세대라고 부른다. 미국의 잠수함용 원자력 엔진을 ... ...
중국 과학혁명의 산실, 칭화대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있다. 이곳은 1980년대 이후 건설된 남동쪽 캠퍼스로 마치 최첨단 도시를 보는 듯하다.
길
가운데 높이 솟아있는 깃대에서 펄럭이는 오성홍기가 인상적이다.“이 건물들은 대부분 기업이나 개인의 기부를 받아 지어졌다고 들었습니다.”친구들과 졸업사진을 찍던 키안준(錢駿)씨의 설명이다. 이번에 ... ...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최재천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아마도 한국 과학자 가운데 최재천이란 인물만큼 사회적 논란의 중심에 서있는 이는 없을 것이다.동물행동학자 최재천 서울대 교수. 그는 실험실 밖에서 연구하는 ‘현장형’학 ... 특권입니다. 그래서 학창시절의 방황은 아름답죠. 원하는 일이 있다면 악착같이 그
길
에 매달려보세요 ... ...
계란에 유전자 주입, 형광닭 생산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닭을 생산하는데 처음으로 성공해 계란에서 인체에 유용한 물질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길
을 열었다.대구가톨릭대 의대 김태완 교수는 7월 12일 “수정란에 해파리의 녹색 형광유전자를 주입한 후 21일만에 부리, 머리 등 여러 부위에서 형광을 내는 ‘형질전환 닭’ 을 생산하는데 세계 최초로 ...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