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세상을 말하는 숫자 빅데이터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부족하다고 확인된 곳에만 물을 줄 수 있어요. 빅데이터는 산불을 예방하기도 해요. 2020년 호주에서 대형 산불이 발생해 동물들이 삶의 터전을 잃었던 사건을 기억하나요? 산불 분석 회사 ‘테크노실바’는 낙엽에 수분이 포함된 정도와 날씨, 산불이 자주 나는 지역의 위성사진 등을 분석해요. ... ...
- [신비아파트] 오싹오싹 귀신, 수학으로 퇴치!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수 있어. 근육이 한 번에 최대로 내는 힘인 ‘근력’이 늘면 점프 거리도 늘어나거든. 2021년 1월 김선정 한양대학교 전기생체공학부 교수팀은 미국 텍사스대학교와 공동으로 사람의 근육보다 최대 30배 센 인공근육을 만들었다고 국제 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어. 김 교수팀이 개발한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수학을 배울 ‘권리’를 포기하지 마세요!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자신의 능력을 문제 풀이와 점수에만 가두지 않기를 바랍니다. 우리나라의 많은 청소년이 수학을 잘하면서도 스스로 잘하지 못한다고 생각해서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실제로 수학을 어려워해서 문과를 선택하는 학생도 많은데요, 남호성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교수 역시 수학이 싫어서 ... ...
- [기획] 백신의 효능이 궁금해?수학동아 l2021년 01호
- 비율이 얼마인지를 계산한 것을 ‘상대위험도’라고 부릅니다. 상대위험도는 1915년 콜레라와 장티푸스 백신의 효능을 계산하기 위해 영국의 역학자 브라이언 그린우드와 통계학자 우드니 율이 개발했습니다. 효능은 상대위험도를 이용해 구합니다. 만약 실험군에서 감염자가 아무도 발생하지 ... ...
- 마스크를 쓰느냐 마느냐 그것이 문제로다!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일상이 됐죠. 하지만 마스크 착용이 세계 모든 나라에서 당연한 일은 아니에요. 2020년 6월 29일자 미국 월스트리트 저널의 분석에 따르면 유럽과 아메리카 국가의 마스크 착용률이 아시아 국가에 비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거든요. 아시아 국가의 마스크 착용률은 90%를 넘지만, 미국은 71%, 영국은 31 ... ...
- [수학기자의 책장] 승부욕을 불태우는 100가지 퍼즐!수학동아 l2021년 01호
- 최고의 퍼즐북이라는 찬사를 받았던 ‘이 문제 풀 수 있겠어?’의 후속작이자, 2015년부터 매주 월요일 영국 신문 ‘가디언’에 퍼즐을 기고해 온 퍼즐 마스터이자 영국 과학 작가상을 수상한 대중 수학자 알렉스 벨로스가 쓴 책이에요. 이 책을 통해 고대 중국부터 중세 유럽, 근대 아시아까지 여러 ... ...
- [가상 인터뷰] 라디오돈트의 눈 덕분에 진화가 뿜뿜.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눈이 그렇게 좋다면서?호주 뉴잉글랜드대학교 존 패터슨 교수가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작년 12월 2일 호주 캥거루섬의 에뮤 베이에서 라디오돈트의 화석을 찾아내 화석의 겹눈*을 분석했어. 화석의 겹눈은 지름이 4㎝에 달하고 겹눈 중앙에 있는 눈의 수정체가 다른 위치에 있는 수정체보다 더 커. ... ...
- [슬기로운 동물원생활] 청주동물원에 찾아온 손님들, 붉은여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서식 현황은 보고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국립공원 생물종보전원 중부센터에서 2012년부터 소백산 붉은여우를 방사하는 등 여우 복원에 힘을 쓰고 있습니다. ※필자소개김정호 수의사. 충북대학교에서 멸종위기종 삵의 마취와 보전에 관한 주제로 수의학박사를 받았다. 청주동물원과는 ... ...
- 50년 동안 풀리지 않은 단백질 퍼즐, AI가 풀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존재! 도대체 누구죠? 누가 벌써 다 푼 거죠?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50년동안 풀리지 않은 단백질 퍼즐, AI가 풀었다Part1. 단백질 퍼즐 맞추기, AI가 대신한다! Part2. 단백질 구조 예측, AI는 어떻게 했을까? Part3. 코로나도 물리칠까? 단백질 구조 예측, 이렇게 쓴다 ... ...
- [에디터 노트] 공존과학동아 l2021년 01호
- 0.4°C 이내로 묶어야 합니다. 강력하고 전방위적인 대책이 필요합니다. 1997년에 채택돼 2005년부터 지난해까지 전세계 기후변화 대책의 골격을 이룬 교토의정서는 이런 면에서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기후변화의 책임을 일부 선진국의 과거 산업화 행위에 집중적으로 돌리고, 이에 따라 기후변화 ... ...
이전3333343353363373383393403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