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반사경이 반짝반짝! 표준연구원 우주광학센터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1층에는 진공 챔버가 있는 커다란 방이 따로 마련돼 있어요. 연마가 끝난 유리
위
에 얇은 금속막을 입히거나 완성된 반사경의 변화를 시험하는 곳이지요. 금속 막을 입힐 유리면을 아래로 향하게 진공 챔버 안에 넣고, 같이 넣은 고체 상태의 금속에 열을 가해요. 진공 챔버 안은 기압이 0인 상태이기 ... ...
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번개를 사냥할 일이 더 많아질 거라고 기뻐했다. 우리는 번개가 치는 지점까지 가기
위
해 코뿔소에 올랐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눈앞이 번쩍~! 번개 특종을 잡다Part 1 번개에 대한 진실 BEST 3Part 2 번개 사냥의 수학Part 3 특종 인공번개 쏴라 ...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이어져 있기 때문에, 어떤 물질과 겹쳐도 쉽게 붙고 상처도 잘 생기지 않아요.샌드
위
치를 한 입 베어물면 재료가 한데 어우러져 새로운 맛이 느껴지는 것처럼, 서로 다른 2차원물질을 겹쳐놓으면 그 표면에서 신기한 현상이 일어난답니다. 반도체와 부도체를 차례로 쌓은 구조에서 초전도현상이 ... ...
흥부가 제비를 만난 건 우연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은 착하게 사는 사람이 복을 받는다는 교훈을 담고 있어요. 또한 동시에 농사를
위
해 집안에서 둥지를 트는 제비를 보호하라는 숨은 뜻이 담겨 있기도 하답니다 ... ...
바다 밑에서 만난 동화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컨셉트를 완성하기 때문입니다. 촬영 날엔 미리 완성된 계획을 그대로 이미지에 담기
위
해 노력합니다. 스튜디오에서 각 장면을 촬영한 뒤, 사전에 골라둔 깊은 바닷속 풍경을 배경으로 사진을 합성합니다.예술과 자연의 관계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정직하게 말하자면, 제 예술 작업은 자연에 ... ...
수학이 불러온 생물학 혁명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유지되는지의 3가지를 들수 있습니다. 생명을 이해하고 질병 문제를 해결하거나 멸종
위
기에 놓인 생명체들을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그렇다면, 수학 분야에서 생물학에 대한 관심은 얼마나 되나요?아마 5% 이하일 겁니다. 수학이 다룰 수 있는 분야가 워낙 넓기 때문이기도 하죠. 수학자들은 ... ...
[생활] 장바구니 속 신선한 수학 유통기한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결과로 유통기한을 정할 때는 수학적인 방법을 쓴다.레토르트 식품★ 알루미늄 따
위
로 만든 주머니에 넣어 밀봉한 다음 고온 살균해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게 만든 식품유통기한을 구하려면 먼저 품질 지표별 ‘반응속도식’과 ‘반응속도상수’를 구해야 한다. 가속실험에서 관찰하는 품질 ... ...
인천축구전용경기장 그라운드
위
에 수학을 펼쳐라! 2015 수학축구교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박 교수는 축구 감독이 승리를
위
해 전략을 세우듯 일상생활 속에서도 수학을 발견하기
위
한 전략이 필요하다고 설명하며 강의를 마쳤다. 6개의 바람개비 조각으로 만든 브라주카인천 인항고 홍석만 교사는 공인구를 주제로 두 번째 강의를 이어갔다. 보통 축구공하면 떠올리는 이미지는 대부분 1 ... ...
트리케라톱스의 쌍둥이 공룡은 헬보이?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때 몸길이가 5m, 키가 1.5m 정도였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또 트리케라톱스와 유사하게 코
위
에는 작은 뿔이 있고, 눈 쪽에 큰 뿔이 나 있었을 것으로 분석했다. 연구팀은 ‘커런트바이올러지’ 6월 4일자에 연구 결과를 발표하며 이 공룡을 SF 영화의 주인공인 ‘헬보이’에 비유했다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앞으로도 로봇기술 진전을
위
해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휴머노이드 로봇의 발전을
위
해 밤낮없이 노력하는 KAIST 연구진이 앞으로 더 큰 기술진보를 이루길 기대해 본다 ...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