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1. 검은 황금 찾는 한국심해자원 개발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70%를 차지하고 있는 바다로 눈을 돌리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귀결일지 모른다. 자원
전문가
들은 세계의 육상광물자원이 20-30년이 지나면 고갈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고, 자원빈국인 한국도 해양자원을 개발해야 한다는 점에서 똑같은 상황에 처해 있다. 나이테 그리며 자라는 망간단괴한국은 2백3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망원경과 보현산천문대 1.8m 망원경 등을 이용해 이 혜성을 계속 추적하고 있다. 아마추어
전문가
들 역시 히야쿠타케혜성을 관찰하기 위해 밤잠을 설치는 중이다 ... ...
3. 전통과 첨단의 앙상블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브레인 오페라는 음악가 디자이너 해커 발명가 등 창조적 활동에 종사하는 25인의
전문가
들이 모여 각각의 경험과 능력들을 음악이라는 매개로 흡수하려는 프로젝트다. 그밖에 아티스트 학생 교사 등 예술 관련 정보가 필요한 사람들에게 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케네디 센터에서 진행하는 '아트 ... ...
무명청년과 대발명가의 승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한 독일인이 이미 전화의 가능성을 제시했다) 실제로 응용될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전문가
들의 견해도 크게 다르지 않았다.부정적인 여론에 낙심한 그레이는 나머지 두가지 영역을 집중적으로 탐구해 곧 중요한 결실을 얻었다. 우선 그는 수신기 성능을 증대시켜 두 옥타브의 음역을 낼 수 있는 ... ...
1. 컴퓨터에서 맥 못추는 '과학 한글' 왜 그럴까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차이를 극복하는 것이 한글코드 논쟁을 종식시킬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이라는 것이
전문가
들의 지적이다.한글 코드 문제의 츨발점 컴퓨터는 자료 처리시 정보를 표현하거나 기록할 때 글자의 모양을 기억시키는 것이 아니라 0과 1의 2진 부호로 코드화해 저장한다. 2진수는 1과 0만 사용하므로 ... ...
3. 통합과학문제 이렇게 출제됐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콩의 생장에 필요한 양분이 많다는 것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답은 ⑤이다.
전문가
들이 말하는 공통과학 학습법암기는 필요없다문수한(교육부 자연과학편수관실 연구사)과학이 그동안 너무 어렵다는 말을 많이 해왔다. 그래서 공통과학은 중학교때 배운 기본적인 개념과 지식으로 ... ...
3. 지능측정의 허와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가진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훨씬 유리하다는 것이다.심리학자를 비롯 여러 분야의
전문가
들이 인간의 능력을 규명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제는 지적 능력을 포함한 감성이나 성격까지도 인간의 능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현대는 사화구성원들에게 다양한 능력을 요구한다. ... ...
한글3.0b VS MS워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진략 때문이다.국내에 한글윈도3.1이 나온 지 2년이 넘던 지난 93년, 당시 윈도는 극소수의
전문가
들만이 그래픽이나 전자출판 미디(MIDI) 작업등에 사용하고 있었다. 그 외 대부분의 사용자들은 여전히 도스환경에 머무르고 있었던 것이다.한국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일반인들이 윈도를 사용하지 않는 ... ...
2. 환경지배론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조차도 지능이 과연 무엇인가하는 문제에 대해 의견의 일치를 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전문가
일수록 IQ검사 결과와 지능은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고 인정하는 경향이 강하다.지능이 유전적 결과인가, 아니면 주위환경의 산물인가하는 논쟁은 지능을 측정하는 척도로 IQ검사가 도입된 이후 본격적으로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역시 해당학과 교수만이 아니라 타학과 교수, 그리고 산업계 문화계 예술계 등 폭넓은
전문가
가 참여가 절실하다.끝으로 KAIST는 일반대학과는 달리 국가가 대부분의 재정을 부담하는 국가 공공교육기관이다. KAIST 학생은 자신의 목표와 자아실현도 중요하지만 국가와 나, 과학기술계와 나를 함께 ...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