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직접"(으)로 총 8,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참여] 혼자만의 상상이 모두의 눈앞에 국립과천과학관 무한상상실수학동아 l2015년 03호
- 미리 보낸 모델이 눈앞에 완성돼 있었다. 기자단은 말로만 듣던 3D 프린터의 실력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다. 기자단은 어렵게만 느껴졌던 3D 프린터가 일반인도 쉽게 쓸 수 있고 우리 생활에 생각보다 훨씬 가깝게 있다는 점이 놀라웠다는 소감을 남겼다.무한상상실은 언제나 여러분의 아이디어를 ... ...
- 보물을 찾아라! 두근두근 동굴탐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약 600종이 밝혀졌답니다.동굴에서 생물이 가장 많이 사는 곳은 ‘박명부’예요. 햇빛이 직접 비치지는 않지만, 동굴 입구가 보여 빛이 있다는 것은 알 수 있는 곳이지요. 동굴 생물의 60%가 이곳에서 살지요. 동굴 입구가 보이는 만큼 동굴 밖에서 들어오는 낙엽이나 흙같은 유기물이 많아요. 이 ... ...
- 2015 태국탐사대, 치앙마이를 접수하다! 꽃보다 와이룬!수학동아 l2015년 03호
- 3월, 새싹이 돋아나는 계절이다. 여기 아직 ‘청춘’이라 불리기엔 새싹 같은 10대들이 있다. 바로 청춘 못지않은 열정과 패기로 똘똘 뭉친 ‘2015 태국 ... 탐사를 가고 싶다는 마음이 생겼다면, 꼭 도전해 보세요! 사진으로만 보던 나라와 문화를 직접 만나게 되는 ‘보상’이 주어지니까요 ... ...
- [생활] 수학 문제로 신에게 축복을 빌다 산가쿠(算額) 찾아 떠나는 일본여행기 2수학동아 l2015년 03호
- 시간이 너무 늦어 산가쿠를 보관·전시해 놓은 건물은 문을 닫은 상태였다. 절의 주지를 직접 찾아가 실망이 가득한 모습으로 멀리서 찾아온 이유를 자세히 설명했다. 그는 내 여행의 목적에 감격하는 것 같았다. 잠시 후 닫힌 문이 다시 열렸고, 안으로 들어가서 마음껏 보아도 좋다는 허락을 받았다 ... ...
- [Hot Issue] “월성1호기 비상장치 보강해야”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아니었다. 단, 원전 내부구조와 안전문제를 이야기할 때는 거침이 없었다. 평생 원자로를 직접 보고 만지며 정비한 기술자였기 때문이다. 중앙대 기계공학과를 나온 이 대표는 1986년 원전의 유지보수를 담당하는 한전 KPS에 입사해 첫 직장생활을 시작했다. “방사선 두들겨 맞는 총 책임자였다”고 ... ...
- [Knowledge]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입자를 도입해서 암흑물질을 설명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특히 LHC에서는 암흑물질을 직접 만들어서 검출하고자 한다. 만약 성공한다면, 암흑물질의 성질을 구체적으로 알아내서 표준모형보다 더 근본적인 입자물리학 이론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데 중요한 걸음을 내딛을 것이다.과학자들이 LHC에서 ... ...
- [Hot Issue] 2015 프로야구 우승팀은 넥센 히어로즈?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남겼다. 이름하여 ‘피타고리안 승률’. 물론 2000년 전에 숨을 거둔 피타고라스 본인이 직접 만든 공식은 아니다. 피타고리안 승률은 세이버매트릭스의 대부 빌 제임스가 만들어낸 접근법으로 실점과 득점만으로 팀의 승률을 예측하는 공식이다. 득점과 실점에 붙은 지수가 원래는 2였기 때문에 ... ...
- PART2. 생명을 살리는 바이오 프린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사연에 수많은 응원 댓글이 달렸다. 3D 프린터용 소프트웨어를 만들면서 취미로 직접 제작도 하던 이 대표는 도움을 주기로 마음먹었다. “제가 아는 지식을 총동원하면 만들 수 있을 것 같았어요. 제가 제일 못하는 모델링은 다른 분의 도움을 받았고요.” 그는 미국 미주리주 소재 ... ...
- [Life & Tech] EXO직캠 찍어볼까?과학동아 l2015년 03호
- 고리가 있다는 걸 모르는 사람이 있나요? 하지만 그 고리를 사진으로 본 사람과 눈으로 직접 본 사람은 다릅니다. 눈으로 봐야 진짜 있다는 사실을 믿게 됩니다.”그동안 외계행성은 전문가의 영역이었다. 한국천문연구원에서 외계행성을 연구하고 있는 김승미 광학 천문본부 책임연구원은 ... ...
- [Knowledge] 인골의 비밀 사연과학동아 l2015년 03호
- 반문합니다. 생활과 문화에 대해서라면, 유물의 주인인 사람보다 더 정확히, 직접적으로 말해줄 수 있는 게 세상에 또 있을까요.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신 연구관은 작년, 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 이준정 교수와 함께 ‘호남고고학보’에 흥미로운 논문을 썼습니다. 연구팀은 전북 완주 은하리와 당진 ... ...
이전3333343353363373383393403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