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주택
인가
가옥
홈
저택
가정
사옥
d라이브러리
"
집
"(으)로 총 4,003건 검색되었습니다.
1. 대기과학 장기 일기예보가 불가능한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대기현상은 장기적인 예측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해냈다.에드워드 로렌츠는 어릴 적부터
집
에 온도계를 걸어놓고 매일 최고기온과 최저기온을 기록할 만큼 기상광이었다. 또 수학퍼즐을 푸는 것도 주요한 취미였다. 제 2차 세계대전이 일어났을 때 그는 기상예보관으로 활약하면서 기상예측에 대한 ... ...
유아·아동기 두뇌개발교구, 품질보다 활용이 중요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종류가 무척 다양하다. 블럭은 아이의 상상력과 창의력, 공간개념, 손발의 운동능력,
집
중력 등과 함께 수나 언어에 대한 학습에도 효과적이다. 게다가 사회성과 긍정적인 자아개념도 길러줄수 있다.블럭을 선정할때 블럭의 재질과 견고성은 어떤가, 모서리가 날카로와 아이들이 다칠 염려는 ... ...
건전지 손목시계부터 우주왕복선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전기는 수력 화력 원자력 발전을 이용해 대량으로 공급된다. 그런데 전기는
집
에서만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들고 다니면서 사용한다. 휴대용 전원이 바로 전지다. 볼타전지로 시작한 화학전지는 휴대용 전자제품의 에너지원부터 자동차, 우주왕복선의 동력원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게 이용되고 ... ...
인간 버금가는 낙농의 대가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있다. 아무 때나 일률적으로 단물을 뿜어내는 것이 아니라 개미의 보호를 받을 동안
집
중적으로 만들어내느 것이다. 그 기원은 확실치 않지만 개미와 진딧물은 오랜 세월 동안 공진화해온 동반자들이다.뿔매미 중에는 간혹 개미의 서비스 정신을 교묘하게 이용해 그들로 하여금 자기 자식들까지 ... ...
아마추어천문 단계별 입문법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수 있는 좋은 대상은 이중성과 성단이다. 멋진 색깔의 대조를 이루는 이중성이나 별이
집
단으로 모여 있는 성단은 초보자들도 쉽게 찾아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다. 사진 촬영하려면 고가 장비 필요사진 속에서 보는 멋진 하늘의 모습을 상상하고 망원경을 구입하는 사람들이 있다. 사실 ... ...
고기능 사운드카드 옥소리 VS 사운드블라스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구입하고 말았다. 거금 50만원을 주고 말이다.
집
에 돌아오며 후회에 후회를 거듭했지만,
집
에 와서 들어본 미디장비의 데모음악은 내 마음을 가라앉혀 주기에 충분하고도 남았다. 최고급 신시사이저요즘 나오는 32폴리사운드카드는 필자가 컴퓨터 업그레이드를 포기할 당시에 듣던 그 아름다운 ... ...
2. 우리가 만들어야 할 홈웨어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손이 가기 때문일 것이다. 가정에서 아이들 만큼 소중한 것이 또 있을까? 어린이가 있는
집
이면 동화책 장난감 홈비디오 등이 있게 마련이다. 그렇다면 홈PC를 가지고 있는 가정이 어린이를 위한 홈소프트웨어를 필요로 하는 것은 당연하다.제품화돼 판매되는 어린이용 홈소프트웨어들은 멀티미디어 ... ...
방황하는 SF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어디 개인의 망상뿐이겠는가! 기술제국주의의 근원은 광기어린 개인의 망상이나 편
집
증에 있다기 보다는, 맹목적인 기술에 의존하는 거대사회의 구조에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그 자체로는 가치 중립적인 과학기술의 막강한 힘을 우리는 과연 어떻게 써야할까. 과학의 발전으로도 쉽게 답할 수 ... ...
20년만의 대장관 햐쿠다케혜성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쌍안경이다. 망원경을 갖고 있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지만 쌍안경은 요즈음 웬만한
집
이라면 하나씩 있을 것이다. 프로야구를 볼 때 경기장에서 선수의 모습을 조금이라도 자세히 보기 위해 눈에 들이대는 쌍안경이면 혜성관측에 충분하다. 아마추어들이 흔히 사용하는 7×50이나 8×50 정도의 ... ...
1. 홈웨어 없는 홈PC 속 빈 강정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0
집
에 4
집
이 PC를 가지고 있는 세상에 아직도 컴맹이 적지 않은 이유는 무엇일까. 결론적으로 말해 사회 최소 구성단위인 가정에 '컴퓨터 마인드'가 형성되지 않은 탓이다. 그러나 일반 가정에서 컴퓨터를 보다 편리하고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해주는 소프트웨어가 개발 · 보급된다면 이 문제는 ...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