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어린이과학동아
"
결과
"(으)로 총 3,512건 검색되었습니다.
쏴아아아~ 강이 거꾸로 흐른다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111
말을 잇는다. “이거참 씨 논 옆을 흐르는 강의 물길이 갑자기 좁아지고 있어요. 이 때문에 밀물 때 바닷물의 흐름이 더 빨라져요. 그
결과
상류 쪽으로 엄청난 속도로 흐르게 되어 논으로도 바닷물이 흘러들었던 겁니다. 게다가 논에 물길을 내려고 둑의 높이를 낮춘 곳이 있어 쉽게 흘러넘친 거죠.” 그러자 이거참 씨가 고개를 갸우뚱한다. “흠…. 하 ...
“다 비켜~!” 거대한 우주 쓰레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111
부모님이 게임 그만하라고 하면 게임이 지능개발에 도움이 된다며 계속하는 친구도 있을 거예요. 그런데 이런 속설이 틀렸다는 연구
결과
가 발표되었습니다.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연구팀은 평소 게임을 하지 않는 사람에게 세 개의 비디오 게임 중 하나를 골라 하도록 시켰어요. 사람들은 평균 20시간 이상 게임을 했고, 이 과정에서 기억력을 비롯한 인지능력 ...
화성의 생명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111
착륙하면 물을 발견할 가능성이 낮아지지요. 우리는 둘 다 만족시킬 수 있는 적당한 곳이 북위 70° 부근이라고 판단했어요. 그리고
결과
는 아시다시피 성공이었답니다. 피닉스는 임무를 수행한 지 20솔(화성의 하루로, 지구의 24시간 39분에 해당)만에 지하에서 얼음을 발견했어요. 얼마 뒤에는 화성의 흙을 가열해서 물을 뽑아 내는 데 성공했지요. ...
백두대간 종단 열차를 타다!(2)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111
체계적으로 알기 위해서 시작됐습니다. 현재 전체 구간 중 절반 정도가 끝났는데 조사
결과
중에는 백두대간의 자연을 위협하는
결과
도 있었답니다. 우리의 긴 여행을 마치기 전에 백두대간 현장을 직접 발로 뛰며 조사한 과학자들이 전해 온 백두대간 생태계의 문제점들을 들어 보겠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최신 기술과 지식으로 새로운 산줄기 ...
꿈꾸는 로봇들의 축제, 로보월드 2008!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31
보이지 않기 때문에 로봇이 없는 줄 알지만, 명예기자 앞에 보이는 모의 화면이 다 제가 명예기자의 동작을 하나하나 읽고 분석한
결과
랍니다. 이번 취재를 통해 얼마나 다양한 로봇들이 우리와 함께 지내고 있는지 알게 됐어요! 사람과 비슷한 로봇에서부터 눈에 보이지 않는 로봇까지, 그 모습은 모두 달랐지만 사람과 친해지고 싶어하는 마음만은 모두 같았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1)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31
바이킹 1호의 사진기는 가로세로 250m의 지역을 점 하나로 인식했다. 하지만 최근 화성 궤도 정찰선이 고해상도 사진기로 다시 찍은
결과
사람의 얼굴과는 전혀 다른 모양을 하고 있다는 게 밝혀졌다. 사람에게는 특별한 형체가 없는 물체에서 자신이 아는 모양을 찾아내려는 심리가 있다. 마치 구름 속에서 사람 얼굴 모양을 보듯 모호한 영상에서 어떤 ...
스트레스 해소법은 아스피린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31
만나 바람의 방향이 바뀌게 돼요. 그러면 크레이터를 중심으로 남극의 동쪽에는 고기압이, 서쪽에는 저기압이 만들어지지요. 그
결과
화성이 가을에서 겨울로 넘어갈 때 저기압 지역에서는 이산화탄소가 얼어 눈처럼 내리고, 고기압 지역에서는 눈은 내리지 않고 서리만 내려 극관이 비뚤어졌다고 하네요. [소제시작]가상 인터뷰[소제끝] “으악~, 솜다리 살려 ...
비글 호 2008 진화섬으로 떠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31
자손을 남기는 과정이라구. 즉 적합하지 않는 부분이 퇴화하는 과정도 자연선택에 따른 진화인 거지. 그럼 사라진 부분은 나쁜 진화의
결과
일까? 어떤 진화의 방향을 더 좋거나 나쁘다고 할 수는 없단다. 자연환경이 변하면 적합했던 모습이나 특징도 적합하지 않게 될 수도 있어. 진화에서 진짜 중요한 건 변화하는 자연환경에 맞게 유전적으로 ‘생존’할 수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2)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31
언젠가 자신도 아무 이유 없이 혼란에 빠질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그럴 듯한 이유를 찾으려 애쓴다. 그
결과
허구의 원인이 만들어지고 사람들 사이에 퍼져 음모론이 된다. 또한 믿기 어려운 사건이 일어났을 때도 사람들은 음모론을 찾는다. 달 착륙 조작설이 좋은 예다. 일반인들에게 달 착륙은 상식적으로 믿기 어려운 사건이다 ...
'어린이과학동아' 제3기 명예기자 모집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014
있다고요? 어린이과학동아를 보고 시험에 100점을 맞았다고요? 모두모두 좋아요. 어린이과학동아를 보면서 겪었던 특별한 일이나 그
결과
달라진 자신의 모습이 있다면 사연을 보내 주세요. 열혈 독자로 뽑힌 친구의 사연은 11월 15일자 100호 특집에 실리게 된답니다. 마감이 얼마 남지 않았으니 서둘러 주세요! 1. 누가 응모할 수 있나요? ‘어린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