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국무총리
손금
수여
수필
만필
물위
수면
뉴스
"
수상
"(으)로 총 3,583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공계 홀대하는 한국]“벤츠 타고온 의사동창… 이공계는 지하철…”
동아일보
l
2014.01.08
이과를 선택하는 비율이 줄어들고 과학계 우수 인재로 키워야 할 수학·과학올림피아드
수상
자들도 40% 이상이 의대로 간다. 이공계 대학생들은 쉽게 자퇴를 하거나 다른 길을 택하기 일쑤다. 민주당 이상민 의원이 전국 4년제 대학의 자퇴 실태(2009∼2011년)를 조사한 바에 따르면 매년 2만 명가량의 ... ...
과학자에게 약속한 상금조차 아까운 정부
동아사이언스
l
2014.01.08
문제라고 할 수도 있겠지만, 연구자의 사기를 꺾는 행위라고 비판했다. 1회 젊은과학자상
수상
자인 KAIST 이상엽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는 “젊은 과학자들에게 대통령이 직접 상을 준다는 상징적인 의미를 명심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림대 이기홍 사회학과 교수는 “예산 사정을 ... ...
“여성과학기술자상은 없어져야 할 상”
동아사이언스
l
2014.01.06
기술’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아 2013 제13회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공학부문
수상
자로 선정됐다. 보통 연료전지에는 ‘세라믹’을 사용하는데, 뜨거운 온도에서 사용하다가 조금이라도 온도가 내려가면 쉽게 깨져 상용화가 쉽지 않았다. 이에 손 박사는 나노기술을 이용해 온도를 ... ...
무너지지 않는 아성 ‘이기적 유전자’
동아사이언스
l
2014.01.05
에든버러대 교수와 프랑수아 앙글레르 벨기에 브뤼셀자유대 교수가 노벨물리학상을
수상
한 것이라 꼽힌다. 이 때문일까. 지난 해 과학 출판계에서도 물리학과 우주 관련 서적이 주목받았다. 1월 ‘빅세퍼레이션’(최차희著, 어드북스刊)을 시작으로 ‘시간의 지도: 빅 히스토리’ ... ...
"연구현장도 협동조합 개념 도입해 연구안정성 보장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3.12.29
” 전길자 이화여대 교수(우측)는 '2013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진흥 부문
수상
자로 선정됐다. 시상식은 이달 20일 서울 중구 세종호텔에서 열렸다. ● “위암 수술만 두 번···요즘은 경력단절여성들 채용해 연구자 복귀” - 행정적인 활동을 오래 하다보면 연구 활동에 악영향을 끼칠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
동아사이언스
l
2013.12.23
유명희 박사(1998년)과 서울대 생명과학부 김빛내리 교수(2008년)가 이 상을
수상
했다. 6. 조 파먼 (1930. 8. 7 ~ 2013. 5.11) 남극 오존층 구멍을 발견한 지구물리학자 영국남국조사단의 조 파먼(왼쪽)과 브리언 가디너(가운데), 존 샨클린의 1980년대 남극 성층권 오존수치 연구결과는 프레온이 오존층을 ... ...
"과학대중화 위해서라면 노벨상 없는 게 나아"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세계가 '노벨의 최면'에 걸려 있는 듯 하다"고 꼬집었다. 또 "언론도 노벨상처럼 큰 상을
수상
한 과학자만 집중조명 하다보니 대중과학자의 출현이 더 늦어지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장 교수가 거론한 대중과학자란 '쉽고 재미있게' 설명할 줄 아는 과학자다. 받아들이는 사람이 어려워하거나 ... ...
김대식·장석복·서영준 교수 3人 한국과학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13.12.18
매년 4명씩 격년제로 선정한다. 2013년 제13회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
수상
자로는 이정훈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42), 공학 부문에 손지원 KIST 고온에너지재료연구센터 책임연구원(42), 진흥 부문에 전길자 이화여대 분자생명과학부 교수(60)가 선정됐다. 올해의 여성과학기술자상은 ... ...
[기자의 눈] 과학자 나고 과학 났지, 과학 나고 과학자 났나
2013.12.17
가장 정통성 있는 ‘한국과학상’
수상
자가 발표된다. 하지만 홈페이지 하나 없이 역대
수상
자를 자료실 형식으로 운영하고 있는 이 상의 현실을 보며, 단신기사만 하나 늘겠구나 하는 한숨만 남는다. 대한민국 과학자에게 가장 영예가 되는 상. 온 국민이 그들의 이야기를 함께 듣는 축제의 ... ...
‘융복합 교육’ 내건 DGIST… 첫 학부생 모집 대박났다
동아일보
l
2013.12.17
교수들도 바짝 긴장했을 정도였다. 특히 2011년부터 정기적으로 마련하는 노벨 과학상
수상
자 초청 강연에 왔던 학생들의 지원이 많았다. 2004년 국책연구기관으로 출발한 DGIST는 2008년 관련법 개정으로 교육 기능이 신설되면서 학부 과정(융복합대학 기초학부)을 준비했다. 후발 주자지만 새로운 ...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