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징후
징조
조짐
증후
병상
용태
병세
뉴스
"
증상
"(으)로 총 4,189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박에 갈고리 패턴이 보이면 무조건 먹지 말아야 하나?
과학동아
l
2017.07.28
때문에 그 부분이 도드라지게 되는 거죠. 병에 감염된 수박을 먹으면 설사나 구토와 같은
증상
이 일어납니다. 바이러스가 사람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감염된 수박이 쉽게 상하면서 악영향을 끼치는 겁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수박을 갈라보기 전에 수박모자이크병에 걸렸는지를 ... ...
단 한번의 치료로 알레르기 근절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8
알레르기를 가진 실험쥐에게 비피더스균 50억 마리를 매일 먹이자 설사 등 알레르기
증상
이 35% 완화됨을 확인했다. 비피더스균에서 분리한 단백질을 직접 주사했을 경우엔 40% 완화됐다. 단 한 번의 치료로 평생 동안 알레르기 걱정을 없앨 수 있는 치료법도 나왔다. 레이 스텝토 호주 퀸즐랜드대 ... ...
스마트폰으로 질병을 진단하는 해외 앱들
과학동아
l
2017.07.27
이용한 의료 진단은 참고 정도만 해야 한다”고 신중한 사용을 당부했다. 인공지능이
증상
에 따라 의료적인 조언을 하고, 의사와 화상 진료도 할 수 있는 앱이 출시됐다. - Babylon-Health 제공 ● 스마트폰으로 식물 질병도 진단한다! 사람의 질병뿐만 아니라 식물의 질병을 진단하는 앱도 있다. ... ...
백신을 못 믿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7.07.26
자폐아 12명 중 8명이 MMR(홍역·유행성이하선염·풍진) 백신을 맞은 며칠 뒤부터 자폐증
증상
이 나타났다는 영국 로열프리병원 앤드루 웨이크필드 박사의 논문이 실렸다. 언론은 이 내용을 앞다퉈 보도했으며 백신접종 반대 운동이 시작됐다. 영국의 MMR 백신 접종률은 급격하게 낮아졌으며(위 그래프), ... ...
지카 바이러스 치료제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6
예상했고, 실제로 임신한 쥐와 태아에게 복강을 통해 Z2를 투여했한 결과, ZIKV의 감염
증상
이 완화된 것을 확인했다. 태반을 통해 태아에도 Z2가 전달돼 효과를 보인 것이다. 유펑 연구원은 “임신 쥐와 태아 쥐 모두에서 Z2 단백질로 인한 부작용이 발견되지 않은 게 의미가 크다”며 “임상을 거쳐 ... ...
영화 47미터, '상어' vs '깊은 바다 밑바닥' 뭐가 더 무서울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23
10m보다 깊은 곳은 잘 가지 않는다), 스쿠버 장비를 차고 있는 두 주인공은 사실 잠수병의
증상
을 겪어야 한다. 이들이 살아서 올라온다고 해도 특별히 고안된 기압탱크를 사용해 기압을 서서히 낮추면서 적응시킨 뒤 올라가야 할 것이다. 이 영화의 원제는 ‘47 meters down’으로 직역하면 ‘47미터 ... ...
[카드뉴스] 비타민, 꼭 복용해야 하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7.23
예방 효과도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다고 결론 나고 있습니다. 흡연자와 노인에게 감기
증상
을 조금 더 개선해주는 효과 정도만 인정하지요. 수용성이라 무조건 안전하다고 알려졌지만 비타민 C는 철분 흡수를 돕기 때문에 혈색소증이 있는 환자에게는 오히려 병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VITAMIN D 햇빛 ... ...
인류는 전염병과 전쟁에서 승리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16
배정된 환자들의 경우 ‘치료 효과가 있을지도 모르는 약물’을 투여 받지 못해
증상
이 악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립시츠 센터장은 “이런 단점에도 불구하고 무작위 배정 시험은 특정 백신의 효능을 확인하는 가장 빠른 방법”이라며 “백신의 효과가 확인되는 즉시 신속하게 모든 사람들에게 ... ...
[카드뉴스] 식중독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와 세균
동아사이언스
l
2017.07.13
모양의 황색포도상구균입니다. 부패된 음식에서 잘 자랍니다. 잠복기가 2~4시간으로 짧아
증상
이 바로 나타납니다. 황색포도상구균이 음식에 장독소를 배설해 음식을 먹을 때 균과 장독소가 몸에 들어오기 때문입니다. 장독소는 장의 상피세포에 있는 나트륨 같은 무기 이온을 장속으로 빠져나오게 ... ...
드라마 속 '충격으로 인한 기억상실증' 왜 생기나
동아사이언스
l
2017.07.11
JNK가 많이 활성화된다는 것을 발견했다. JNK가 활성하지 않도록 억제하자 외상성 치매
증상
이 억제되는 것도 관찰했다. 김 교수는 “외상성 치매의 원인이 알츠하이머성 치매로 악화될 때도 중요한 영향을 끼친다”며 “치매를 예방하고 이를 제어하는 새로운 치매 치료제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 ...
이전
333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