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끌미끌~! 초보 산타의 빙판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보통 얼음이 어는 온도인 0℃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빙판에는 물 층이 생기거든. 이건 실험으로도 확인한 사실이다. 이 현상의 이유는 크게 세 가지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지. 표면에 힘이 모이면 얼음이 물로?!1849년 영국의 캘빈은 물체가 다른 물체를 누르는 힘인 ‘압력’이 얼음을 녹인다고 ... ...
- 진정한 몬스터가 되고 싶나요? 몬스터호텔2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4호
- !” 어때? 좀 놀랐어? 난 겁주기 전문 프랑켄슈타인 ‘프랭크’야. 겁을 주기 위해 필요한 건 나처럼 멋진 목소리와 외모란다. 호랑이가 크르르릉 낮게 울면서 널 째려본다고 생각해 봐. 오금이 저리지? 호랑이의 포효에는 인간이 들을 수 없는 18Hz 이하의 초저주파 음파가 있어. 이 초저주파가 ... ...
- 영화를 더욱 생생하게! 비주얼 미디어랩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아까 모션 캡쳐를 통해 알아낸 표정은 A였는데 새로 모션 캡쳐된 표정이 B라면, 주어진 조건에서 다음에 확률적으로 가장 자연스러운 표정은 무엇일지 계산해서 예측하는 거예요.”설명이 끝난 뒤 유동철 명예기자가 직접 모션 캡쳐 슈트를 입어 봤어요. 슈트에 마커를 부착한 뒤 포즈를 취하자 ... ...
- 우주날씨의 비밀을 밝혀라~! 오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거예요.오로라는 태양의 흑점이 크고 많을 때 더 자주 나타나요. 흑점이 크고 많다는 건 태양 활동이 활발하단 뜻이거든요. 따라서 11년을 주기로 늘었다 줄었다 하는 흑점 수에 따라 화려한 오로라를 볼 확률도 함께 늘어났다 줄어들지요. 2013년에 극대기를 지난 뒤 지금은 조금씩 태양의 활동량이 ... ...
- 동물행동학자의 기록일지 잘 가! 반달가슴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않도록 하는 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인다. 예를 들어 곰들에게 접근할 때에는 서바이벌 건을 쏘고 소리를 질러 겁을 준다. 그러면 곰들은 사람이 위험한 존재라고 느끼고 나무 위로 도망간다.우리가 방사를 위해 자연적응훈련장에 접근하였을 때 곰들은 우리를 피해 나무로 올라가 내려오지 않았다. ... ...
- 그것이 알고 싶다! 소시지는 발암물질?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점점 더 많이 먹는 형태로 변하고 있어요. 식품의 약품안전처가 2010년부터 2013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가공육 섭취량이 두드러지게 늘고 있다고 밝혀졌거든요. 10~19세 남성이 먹는 가공육의 양이 2010년 하루 평균 12.6g이었다가 2013년이 되면서 18.2g으로 ... ...
- 물이 변하면 지구도 변한다?! 울퉁불퉁 지형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지형 변화를 일으키는 가장 큰 이유는 바로 물이에요. 물이 대체 무슨 일을 하고 있는 건지 함께 알아볼까요?1. 지구의 표면은 어떻게 변화할까?지표에 노출된 암석이 작게 부서지거나 성질이 변하는 과정을 ‘풍화’라고 해요. 풍화 작용은 암석의 입자가 잘게 부서지는 ‘기계적 풍화’와, 암석이 ... ...
- 기후변화의 비극 환경난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우리나라의 평균 기온은 지금보다 5.3℃ 오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거든요(환경부,2013a). 이건 세계 기온 상승 전망치에 비해 월등히 높아요. 이 때문에 우리나라는 앞으로 폭염이나 열대야 같은 이상 기후 현상이 더욱 극심해질것으로 예측되고 있어요.무서운 건, 인류가 지금 당장 온실가스의 배출을 ... ...
- 열 한 번째 대결 높이 높이 날아라~! 나만의 비행기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가장 똑바로 날까?드디어 섭섭박사님과의 대결이 시작됐어요. 멀리 날리기만 하는 건 재미없겠죠? 그래서 이번 대결은 비행기를 날려 주어진 원 안에 골인시키기! 골인시킨 사람이 아무도 없으면 가장 가까이 보낸 사람이 승리하는 것으로 규칙을 정했답니다. 도전자들은 두 명씩 짝을 지어 예선전을 ... ...
- 빛으로 꿈꾸다! All Light! All Right!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2호
- 뉴턴은 프리즘으로 무지개 같은 띠를 발견하고, 프리즘의 크기와 두께, 거리 등 실험조건을 다양하게 바꿔 연구했지. 그 결과 햇빛은 서로 다른 색의 빛이 섞여 있다는 것을 밝혀냈단다.물감은 서로 섞을수록 어두워져. 색의 삼원색인 빨강, 파랑, 노랑을 섞으면 검정색이 되지. 하지만 빛은 서로 ... ...
이전3343353363373383393403413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