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녹색화학, 에너지와 환경 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수소를 얻고 2단계에서는 일산화탄소와 수소를 반응시켜 메탄올을 얻는다. 전
박사
는 “각 단계의 반응에서 촉매가 중요한데 1단계에서는 수십 나노미터 크기로 만든 니켈과 마그네슘 촉매를, 2단계에서는 구리와 아연 촉매를 쓰고 있다”며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메탄올을 이 공정으로 ... ...
밤에 사냥했던 벨로시렙터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낮에 생활했지만 마이크로랩터 구이 같은 종류는 야행성이었다.제1저자인 라스 슈미츠
박사
후 연구원은 “공룡은 낮에, 포유류는 주로 밤에 활동했으리라는 생각은 바꿔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결과는 ‘사이언스’ 4월 14일 온라인 판에 소개됐다 ... ...
비싼 천연 바닐라 대량재배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노동력이 줄어 가격이 저렴한데다 원래 식물의 맛과 향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포안
박사
는 “바닐라 품종 가운데 우수한 것만 골라 대량으로 키울 예정”이라고 말했다.바닐라 콩깍지에 든 열매를 발효시키면 글리코시드가 효소에 분해 되면서 달콤한 향기를 내는 바닐린이 생긴다. 재배하는 ... ...
죽은 ‘알바트로스’가 수은 중독 역사 밝혔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심각해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미국 하버드대 비교동물학박물관 안 투 보
박사
팀은 멸종 위기종인 알바트로스(검은발신청옹)의 박제 깃털을 이용해 19~21세기 조류의 중금속 오염결과를 연구한 결과를 4월 1일자 ‘미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연구팀은 워싱턴대 버크 ... ...
“나의 영혼이 로봇 속으로 들어간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서러워 할 전문기관의 과학기술자들이 한 곳에 모였다. 이 곳의 단장이 유범재
박사
다.잉키 개발팀도 바쁘긴 마찬가지다. 지식경제부 프론티어사업의 지원을 받는 ‘지능로봇사업단’에 소속돼 잉키의 차세대 로봇인 ‘메로’의 개발을 마쳤다. 사람과 감성을 주고 받을 수 있는 실감형 로봇이다. ... ...
Intro. 화학-지구촌 구할 녹색 해결사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991년 미국 환경보호국(EPA)에 근무하던 화학자 폴 아나스타스
박사
(당시 28세)는 화학이 환경오염의 주범에서 벗어나 더 안전하고 더 깨끗하고 더 에너지 효율적인 방향으로 패러다임을 전환해야 한다며 ‘녹색화학(green chemistry)’이란 용어를 만들었다. 그 뒤 화학계는 녹색화학을 향한 치열한 ... ...
3D 시뮬레이션으로 재현한 태양폭발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폭발로 분출된 플라스모이드가 지구에 닿으면 자기폭풍을 일으킬 수 있다.아르콘티스
박사
는 “자기 덮개 주위에 새 자기장이 발생해 ‘자기선 재결합’을 일으키면 자기 덮개가 열려 플라스모이드를 밖으로 밀어내는 것”이라며 “자기장 자극이 없으면 플라스모이드는 자기 덮개 안에 남아 ... ...
턱이 귀가 된 사연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아래턱뼈에서 분리된 상태였다. 남은 뼈 하나는 오늘날 포유류처럼 중이에 가 있었다. 멩
박사
는 “이들 뼈는 이미 씹는 기능을 잃어버리고 귀로 이동하는 과정에 있다”고 밝혔다. 뼈를 둘러싼 연골이 뼈가 안정적으로 자리잡는 데 큰 역할을 했다는 사실 또한 밝혀냈다. 반면 2억 년 전에 살았던 ... ...
가장 무섭고 편안한 집짓기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기상천외한 건축술로 포식자의 눈을 피해 살아가는 애벌레들이 있다.‘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말벌 집에 숨어 살거나, 나뭇잎을 돌돌 말아 안전한 텐트를 만든다. 은밀한 작전을 수행하는 요원처럼 명주실을 나무에 걸어 재빨리 땅으로 내려갔다가, 포식자가 사라지면 다시 올라오는 녀석들도 있 ... ...
생태계 변화, 수학으로 미리 안다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예측하는 사례를 제시하며 연구의 장점을 설명하는 이상희 팀장. 그는 물리학으로
박사
학위를 받은 뒤 자연 현상을 통합적으로 보는 생태학의 매력에 빠져 다시 생물과 생태학을 공부했다. 이상희 팀장은 “수리연에 온 뒤 수학을 토대로 생태학을 연구하면 재미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며 ... ...
이전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