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이"(으)로 총 9,894건 검색되었습니다.
- 2050년엔 메시도 이긴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쿠봇’을 조작하고 있다.➋ 브라질 현지에서 촬영한 쿠도스 팀의 기념사진.➌ 어덜트 사이즈 리그에서 우승한 팀 토르윈(THORWin) 멤버들의 시상식 모습.➍ 로봇 ‘똘망’이 붉은 색 공을 몰고 골대로 전진하고 있다.➎ 로보티즈가 시합장에 전시했던 로봇 ‘똘망’의 모습. 재난구조용으로 개발한 ... ...
- 뇌과학으로 해결하자! 굿바이 학교폭력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어떤 학교에서는 아이들이 모두 공감하고 행복해지는 프로그램을 하기도 한단다. 하지만 사이버폭력이 날로 증가하는 것처럼 학교폭력은 보이지 않는 곳에서 점점 교묘하게 자라고 있지. 실질적으로 학교폭력을 줄이는 방법은 무엇일까?긍정적으로 전두엽 발달시키는 ‘명상’지난 2012년에 열린 ...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증명한 행복의 공식수학동아 l2014년 09호
- 받은 보상의 양(Certain Reward)이고, EV는 보상에 대한 기대치(Expected Value), RPE는 CR과 EV 사이의 차이를 나타낸다.이후 연구팀은 이 공식의 신뢰도를 입증하기 위해, 1만 8,420명을 대상으로 두 번째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참가자들은 첫 번째 실험 데이터를 토대로 만든 스마트폰 게임 ‘What makes ...
- [만화뉴스] 승부차기에서는 앞 선수와 같은 방향으로 슛을 날려라!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 런던(UCL)의 인지신경과학과 패트릭 해가드 교수팀은 1976~2012년 사이의 A매치(국가대표 간의 경기)에서 벌어진 37건의 승부차기에서 골키퍼들이 보인 다이빙 패턴을 분석했다. 그 결과, 골키퍼들은 첫 번째 킥에서 공이 왼쪽으로 날아오면 두 번째 킥에선 오른쪽으로 몸을 ... ...
- 미래 세상의 공통어, 코드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운영할 수 있는 기능도 비슷하다. 이뿐만 아니라 인터넷 쇼핑 홈페이지나, 포털 검색 사이트도 그 겉모습과 기능들이 비슷하다. 물론 각 회사마다 특징을 살려 기능을 더 추가하거나, 필요 없다고 여기는 기능을 과감히 삭제하기도 한다. 하지만 기본 구조는 같다. 왜 그런 걸까? 그 이유는 바로 ... ...
- 알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9호
- 난 친구들이 좋아하는 ‘솔이의 신 나는 과학교실’의 초정밀이야! 뭐든지 정확해야 직성이 풀리는 내 성격 알지? 그런데 이런 나를 안절부절 못하게 하는 게 생겼어. ... 뭔가 일치하지 않아 문제가 생긴다면 다투지 말고 기준을 정해 봐. 그럼 문제가 풀리고 한결 사이도 좋아질 거야 ... ...
- [생활] 수학으로 상대방의 마음을 꿰뚫어 본다고?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친구인지 연인인지 헷갈리는 미묘한 사이를 부르는 ‘썸남썸녀’라는 말이 크게 유행하고 있다. 지금 이 시간에도 상대방이 보낸 애매한 문자메시지 한 통을 붙들고 마음앓이 하고 있을 전국의 썸남썸녀들. 이들을 위한 희소식이 생겼다. 바로 상대방이 쓴 글로 그 사람의 감정을 분석하는 것이다. ... ...
- EPILOGUE. 에볼라 대재앙 앞으로 어떻게? 대유행 팬데믹은 아직 일러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그럼 어떻게 된 일일까. 그는 최근 자신의 연구를 뒤집는 논문을 발표했다. 7월 25일자 사이언티픽 리포트에는 “연구자들이 동물우리를 물로 청소하다가 체액이 튀었을 것”이라는 추정이 담겨 있다.2 치료제와 백신 피하는 변종 “당분간 없을 것” 독감을 일으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 ...
- 5억 년 전 ‘지네 동물’, 뒤늦게 족보 찾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특이한 데다, 앞과 뒤, 위와 아래가 잘 구분되지 않는 희한한 생김새 때문에 연구자들 사이에서 큰 화제를 모았다. 연구자들조차 위아래를 혼동해 반대로 복원했다가 뒤바꾸는 등 우여곡절이 많았다. 그동안 고생물학자들은 이 동물이 과연 어떤 현생 동물과 친척일지를 두고 논란을 벌였다. ... ...
- 명량, 이순신 그리고 란체스터 법칙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조선 수군의 판옥선은 좌우 폭이 약 12m로, 이 정도로 좁은 바다라면 이론적으로 약 10m씩 사이를 두고 일자 진을 펼칠 수 있었다. 폭이 약 4.8m로 작은 왜군의 세키부네도 한 번에 20척 이상은 들어오기 어려운 지형이었다. 즉 이순신 장군은 울돌목의 좁은 지형을 활용해 란체스터 법칙을 뒤집었다 ... ...
이전3343353363373383393403413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