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먼지는 작을수록 폐 속 깊숙이 침투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잘 오지 않는다. 보통 사람들의 머리카락 평균 굵기는 70μm 정도다. 즉 머리카락 단면보다
작은
크기를 총먼지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미세먼지는 머리카락 지름의 1/7보다, 초미세먼지는 1/20보다 작아서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다. 입자가 굵은 미세먼지(PM10)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 호흡할 때 ... ...
그리는 대로 만들어진다! 3D PEN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라이브스크라이브사는 2012년에 ‘오디오 잉크’라는 개념을 특허로 등록했다. 펜 안에
작은
컴퓨터가 있어서 펜의 카메라가 인식할 수 있는 전용지에 적으면 쓴 내용과 주변 소리를 같이 녹음해 저장한다. 저장된 내용은 무선인터넷을 이용해 e메일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 펜으로 적어 놓은 ... ...
항성 VS 행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지구를 도는 위성이랍니다. 혜성은 태양이나 큰 행성을 타원 또는 포물선 모양으로 도는
작은
천체를 의미해요. 길게 꼬리를 내리면서 떨어지는 것처럼 보이지요. 2013년 11월에는 보름달보다 15배나 밝은 ‘C/2012 S1’라는 혜성의 우주쇼가 예정돼 있답니다행성행성은 항성 주위를 돌면서 스스로 빛을 ... ...
[생활] 수학탐정 M 로슬린 성당의 비밀을 밝혀라!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드리겠습니다.영국 스코틀랜드 로슬린 마을에 위치한 로슬린 성당은 15세기에 지어진
작은
성당입니다. 사실 이 성당의 정식 명칭은 ‘성 마테오 대성당’이지만, 사람들은 흔히 지역 이름을 붙여 ‘로슬린 성당’이라고 부릅니다. 로슬린 성당은 1446년, 당시 유럽에서 가장 영향력 있던 가문인 ... ...
[화보] 종이로 만든 입체 예술 , 팝업아트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입체감과 원근감을 살리기 위해 종이의 높낮이를 다르게 붙였다. 보고 있으면 신비로운
작은
숲이 떠오른다. 360°에서 볼 수 있는 화려한 성영국의 페이퍼 아티스트 폴 존슨의 작품이다. 영국 맨체스터 예술전문대학의 교수였던 그는 현재 북 아트 교육에 힘쓰고 있다. 화려한 색감과 함께 종이를 ... ...
[생활] 통계로 생각을 바꾸면 과학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3년 04호
않으면 큰 일이 벌어질 거예요. 키가 큰 사람들의 자식들은 점차 키가 더 커지고
작은
사람의 자식들은 더 작아져서, 오랜 시간이 지나면 거인과 난장이가 사는 세상이 될 테니까요.회귀분석이라는 말을 처음 사용한 건 골턴이었지만, 이것을 지금의 통계적 표현으로 나타낸 건 영국의 수학자이자 ... ...
PART 2. Sixth Sense Mobile!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것은 상당히 불편하다”며 “키보드 없이 쓰기만 해도 검색이 된다면 모바일 기기의
작은
화면 전체를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필적 감정을 구글에 의뢰해도 될까기본적으로 필기 인식은 좌표를 이용한다. 사용자가 터치 화면에 글을 쓰면 x축과 y축에 대응하는 좌표로 변환한 후 그 정보를 ... ...
PART 1. 잘 때 입술이 마르는 이유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심는 게 중요하다. 잔디는 보기에는 좋지만 대기 순환에 전혀 효과가 없다. 나무는
작은
그늘만으로도 기온을 떨어뜨려 바람을 만들 수 있다.도시 사막화라는 눈에 보이지 않는 변화가 서울 기후를 이미 지배했다. 피부가 건조해지고 입술이 바짝바짝 타는 서울, 10년 후에는 어떤 모습일까. ...
공명 이용한 저전력 정보처리의 길 열려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연구팀은 위상차가 일정한 서로 다른 자기펄스를 연속적으로 가해 공명현상을 일으켜
작은
전력으로 스핀소용돌이 핵의 회전운동을 일으키고 신호를 증폭시켰다. 이를 X-선 현미경을 이용해 관찰한 결과 스핀소용돌이 핵의 회전운동 진폭이 약 4배 증가했다. 이 운동을 통해 저전력 고효율 정보신호 ... ...
로봇은 자폐아의 친구
과학동아
l
2013년 04호
로봇 몸체는 프랑스에서 만든 휴머노이드 로봇 ‘나우(NAO)’를 이용했다. 나우를
작은
방 앞에 있는 테이블에 세우고 평면 디스플레이를 방 옆벽에 부착했다. 그 뒤 아이가 앉는 의자는 로봇과 눈높이를 맞출 수 있도록 높이를 조절했다. 아이의 머리에는 LED 조명이 부착된 야구모자를 쓰게 하고 ... ...
이전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