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있는 지지대가 모두 평행하게 보이는 위치를 찾아야만 신기한 미끄럼틀을 볼 수 있다는
점
잊지 마세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당신의 눈을 속이는 착시 설계자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사진 제공 및 도움 : 커트 베너, 데이비드 맥도날드, 이스트반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레시피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1. 원에서 같은 길이의 현 잇기아래와 같이 종이 위에 1부터 32까지 원 모양으로 32개의
점
이 찍혀 있는 도안을 학생들에게 나눠 준다.
점
1과
점
8을 자를 대고 연필로 긋는다. 이렇게 같은 방법으로 똑같은 길이의 현을 그어 한 바퀴를 돌리면 어떤 모양이 될지 학생들과 질의응답을 통해 예상해 본다. ... ...
[지식] 물감의 혼돈, 잭슨 폴락의 그림엔 프랙탈이 있다!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그렸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위조품이라고 결론짓지는 않았다. 게다가 24
점
중 6
점
만 분석해 위조품 여부를 결정하는 것은 더욱 무리다.폴락의 진품 그림을 가려내는 뚜렷한 방법은 아직도 찾지 못한 상태다. 하지만 언젠가 혼돈의 규칙을 담아냈던 폴락의 그림을 가려낼 방법을 찾게 되지 않을까. ... ...
[소프트웨어]앱으로 나를 소개하자!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말이지요!❶ 디자인 노트 만들기새로운 친구를 만나 자신을 소개할 때 아쉬웠던
점
은 무엇인가요? 아래 예제를 보고 자신이 하고 싶은 이야기를 담아 디자인을 해 보세요. 버튼의 종류와 개수를 원하는 대로 바꾸고,사진과 함께 위치를 정해 보세요.❷화면에 버튼과 사진을 추가하기이제 디자인한 ... ...
[수학동아클리닉]우주를 품은 정십이면체!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같은 입체도형이다. 차이
점
은 각 꼭짓
점
에 모이는 면의 개수가 정다면체와 다르다는
점
이다. 대표적인 준정다면체인 ‘깎은 정이십면체’는 오각형 12개와 육각형 20개로 이뤄진 3차원 입체도형으로 축구공과 비슷한 모양이다.이처럼 여러 수학자가 연구했던 정다면체에 대해 알아보고 실생활에서 ... ...
[에디터 노트]새로운 인생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것. 종이도 더 고급스러운 것을 썼고 사진과 일러스트도 좀더 신경 썼다. 활자도 다시
점
검했다.내용도 혁신을 이어간다. 흥미롭고 유익한 과학 정보를 발굴해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세상과 사회를 과학의 눈으로 보고 비판적으로 다시 생각하는 기사도 꾸준히 게재한다. 과학과 기술은 사회와 그 안의 ... ...
[News & Issue]디웨이브, 진실을 말해줘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연구를 촉진하는 자극제가 되고, 기존 컴퓨터에 비해 월등한 연산 속도를 달성했다는
점
에서 의미 있는 연구”라면서도 “양자컴퓨터라는 주장을 뒷받침할 학문적 근거는 아직 부족하다”고 말했다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1.8g 정도로 가볍다. 뿐만 아니라 미세관을 통해 서로 다른 네 가지 약물을 특정한 지
점
에 동시에 전달할 수도 있다. 연구팀은 이 장치를 활용해 실험용 쥐가 선호하는 장소를 기억하게 만드는 데도 성공했다. 정 교수는 e메일 인터뷰에서 “약물을 충전해 넣을 수 있도록 개량해 사용시간을 늘리고, ... ...
Part3.‘표준모형 너머’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거라고 생각한다. 표준모형으로는 모든 힘을 통일해서 설명할 수 없다는 뜻이다. 이런
점
들이 물리학자들을 불편하게 만든다. 어쩌면 인류는 다시 한번 자연을 바라보는 시각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할지도 모른다.그래서 최근 물리학자들은 표준모형을 포괄하는 더 큰 이론인 표준모형 이후의 물리학 ... ...
[재미]동아리 탐방-인천 가좌고 ‘PAPER’ 딱딱한 통념을 접다
수학동아
l
2016년 01호
좀 더 정확하게 개선했다.공식은 완벽하다는 생각을 접다공식을 만들기까지 가장 어려운
점
은 무엇이었을까? 갤리번의 공식과 실제로 종이를 접었을 때의 차이를 눈으로 확인하고 공식을 좀 더 정확하게 만들어 보자고 제안했던 조민지 학생은 “계산은 그렇게까지 어렵지 않았다”며 수줍게 ... ...
이전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