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뉴스
"
신호
"(으)로 총 3,646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한민국 이공계 박사 연 평균 소득 ‘7613만 원’
2014.09.25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제공 대한민국 이공계 박사의 2012년 연평균 소득이 7613만 원으로 조사됐다. 전년보다 276만 원 오른 수치다. 미래창조 ... 있다는 점에서 그동안 대학이나 연구소에 치우쳐 불균형적인 인력 유동성을 해소하는 데 긍정적인
신호
로 보인다”고 밝혔다. ... ...
냄비 속 만두는 왜 뱅뱅 돌까?
2014.09.14
로버트 윌슨는 남들이 소음으로 치부해버렸던
신호
를 붙들고 1년 동안 고민한 끝에 이
신호
가 우주 빅뱅의 흔적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둘은 우주배경복사를 발견한 공로로 1978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저자는 두 과학자가 우주배경복사를 발견한 모든 과정을 생생하게 재현하기 위해 ... ...
스트레스 받지 마세요~ 세포가 삐뚤어져요
2014.09.12
만들어진다는 점이다. 만약 기형 단백질이 만들어지면 세포는 이 단백질이 내보낸
신호
를 인식해 단백질 생산 속도를 늦추면서 불량 단백질을 제거하는 작업에 착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세포에 ‘탑시가르긴’이라는 스트레스 유발 물질을 넣고 배양한 뒤 정상 그룹과 비정상 ... ...
'더도말고 덜도말고' 추석처럼 폭식하다가는
동아사이언스
l
2014.09.06
은 체지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호르몬이다. 위에 적정한 양의 음식이 차면 신경이
신호
를 보내 이 호르몬을 뇌로 보내고 포만감을 느끼게한 먹는 행동을 멈출 수 있다. 그런데 한번 폭식을 하면 이를 소비하는 시간이 오래 걸리기 때문에, ‘렙틴’호르몬이 적게 분비되고 포만감을 느끼는 ... ...
눈 깜박임 알아내 졸음운전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9.05
교통사고의 주요원인 중 하나는 '졸음운전'이다. - 동아사이언스 제공 설이나 추석 등 민족의 대명절에는 장시간 운전을 하는 경우가 많다. 문제는 장시간 운전을 ... 쫓아내는 기술도 실제 차량에 도입되고 있다. 운전자가 졸면 의자를 진동시키거나 계기판에
신호
를 띄워 경고하기도 한다 ... ...
과학의 향기, 예술의 향기를 만나다
2014.09.05
있다. ● 뇌파로 아이디어 주고받아 김 센터장은 뇌 전문가다. 뇌에서 발생하는 자기
신호
를 측정해 뇌 상태를 확인하는 뇌자도 시스템이 그의 전문 영역이다. 그런데 지난해 부부 설치미술가 ‘로와정’(노윤희, 정현석 작가)이 연구원에 입주해 작품 활동을 시작하면서 이들과 만날 일이 ... ...
바이오디자이너는 뭘 디자인 할까?
2014.09.05
내는
신호
를 인식해서 그
신호
를 차단하는 물질을 생산하는데, 정상세포는 해당
신호
를 내지 않기 때문에 안전성에도 문제가 없다. 이 바이러스는 현재 미국에서 임상시험 중이다. 바이오디자인은 생명체를 재설계한다는 점에서 위험성 논란이 일 수 없다. 이에 대비해 연구단은 세포 공장을 처음 ... ...
“하루 만이라도 머리 좋아지게 해주세요”
2014.08.29
장치로 뇌를 자극하는 ‘경두개 자기자극법(TMS)’에 주목했다. 이 방법은 뇌 속 전기
신호
를 안전하고 간단히 조절할 수 있다는 점에서 미국식품의약국(FDA)이 우울증 치료법으로 승인하기도 했다. 연구진은 TMS로 머리의 각 부위를 자극하면서 해마와 기능적으로 가장 잘 연결된 뇌 부위가 ... ...
영하 50도 북극엔 인공섬…6000m 심해엔 유인 잠수
2014.08.29
러시아에서 쇄빙 능력을 갖춘 액화천연가스(LNG)선 10척을 수주하며 이 분야에 청
신호
가 켜진 상태다. ●해저 6000m 누빌 유인 잠수정 해저 6000m에서 곳곳을 누비며 자원이 묻힌 곳을 찾아낼 로봇 잠수정 기술도 중요하다. 인공 섬을 세워 해저 자원을 채취하려면 어느 곳에 자원이 얼마나 묻혀 ... ...
세상에서 가장 가는 ‘금바늘’
2014.08.27
뇌에서 발생하는 전기
신호
를 가장 정밀하게 읽어낼 수 있는 고성능 탐침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뇌 탐침은 아주 가는 전극을 신경에 접속할 때 이용하는 ... 금나노 탐침을 이용한 뇌 신경 분석결과. 기존의 텅스텐 탐침에 비해 훨씬 정밀한 뇌
신호
를 얻었다. - KAIST 제공 ... ...
이전
334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