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이종교배 - 네안데르탈인은 사라졌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동굴에서 화석이 발굴되는 모습. 2010년, 이곳에서 발견된 화석의 유전체를 분석한 결과 새로운 종류의 고인류로 밝혀지면서 ‘데니소바인’이라는 이름을 얻게 되었다. 현재 데니소바인의 화석은 손가락뼈와 어금니 등 일부만 발견된 상태이다. 호모 사피엔스, 어디서 왔을까? 현재 남아있는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구석기기술실험실의 디트리히 스타우트 교수는 직접 석기를 만들며 실험한 결과를 바탕으로, 인간의 뇌가 석기를 만들면서 발달했다고 주장했답니다. 1780년, 영국의 약사 윌리엄 배시는 배를 움직이는 기계를 만들고 특허를 신청했어요. 이 장치에는 3개의 날개가 달려있어, 물속에서 회전하면서 ... ...
- [에디터노트] 수소가 경제가 되려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최대 609km를 달린다. 마법이라고 했지만 기술이고, 노력이고, 이를 위해 흘린 땀이 모인 결과다. 수소가 경제가 되려면 수소를 둘러싼 기술과 그 기술을 만드는 기초과학이 바탕이 돼야 한다. 그 화려함 뒤에 가려진 ‘기초’와 ‘기본’을 잊지 않았던 것이 33년을 걸어온 과학동아의 힘이었음을 ... ...
- [과학뉴스] 움직이는 후각 유전자가 냄새 구별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수 있는 기술(In situ Hi-C)을 이용해 쥐의 후각 세포에서 유전자 활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후각 세포의 분화과정에서 서로 다른 18개 유전자에 흩어져 있던 후각 수용체 유전자들이 서로 뭉쳐서 상호 작용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롬바르다스 교수는 “유전자 활성을 조절하는 인핸서(enhancer) 그룹이 ... ...
- [이달의 PICK] ‘파리협약’ 본고장 파리의 실험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이 자리에서 온실가스 감축을 투명하게 이행하기 위해 동일한 기준과 방식으로 결과를 보고하자는 데 합의가 이뤄졌다. 개발도상국에 온실가스 감축 기술을 이전하는 등 세부 이행지침도 마련됐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은 “이번 총회는 기후변화를 극복하기 위한 마지막 기회”라고 ... ...
- [검시관의 사건 노트] #02 조용한 겨울의 살인마 일산화탄소과학동아 l2019년 02호
- 뿐, 수사팀은 사고 원인을 더욱 확실하게 규명해야 했다. 일산화탄소의 위험성과 그 결과를 사람들에게 알릴 필요도 있었다. 이를 위해 수사팀은 사고 발생 열흘 뒤인 2월 27일 오전 11시, 사고가 발생했던 고창 선운산도립공원 캠핑장에서 당시 상황을 재현했다. 사망자들처럼 텐트 안에서 난방 ... ...
- [10대의 약] 매사에 공격적이고 예민해요 ‘중2병’일까요, 우울증일까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이런 두려움 때문에 항우울제 처방이 줄어들어 오히려 자살률이 증가했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우울증은 빨리 발견해서 치료할수록 좋습니다. 10대 후반에 발현한 우울증을 방치했다가는 성인이 돼서도 우울증에 시달릴 수 있고, 자해나 자살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죠. 우울증으로 의심된다면 ... ...
- [프리미엄 리포트]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유전자 편집 기술의 명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것”이라고 말했다. 생식세포(정자, 난자)와 수정란의 유전자를 편집하는 경우에는 그 결과가 후대로 고스란히 유전될 위험이 있다. 그래서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합법적인 임상시험의 경우 대부분 T세포 등 체세포로 제한하고 있다. 이런 제약에도 불구하고 유전자 편집 기술은 계속 연구될까. 김 ... ...
- [이소연이 만난 우주인] ‘금수저’ 색안경 벗겨낸 노력파 세르게이 볼코프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힘들지만 가장 빛날 때 떠난다고 말하는 것처럼, 열정과 에너지를 모두 쏟아 부었기에 그 결과에 만족하고 떠나기로 했다”며 “우주 비행을 기다리는 후배들에게 기회를 더 주고 싶기도 했다”고 말했다. 보통 첫 비행까지 10~15년을 기다리는데, 그 시간이 얼마나 힘든지 잘 알기에 내린 결정이었다 ... ...
- [수학뉴스] 머신러닝에도 괴델의 정리가?수학동아 l2019년 02호
- 1931년 오스트리아 수학자인 쿠르트 괴델은 연속체 가설이 수학적으로 참 또는 거짓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을 밝힌 ‘불완전성 정리’를 발표합니 ... 만약 연속체 가설이 참이 아니라면 문제를 풀 수 없다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1월 7일자 ‘네이처 인공지능’에 실렸습니다 ... ...
이전3353363373383393403413423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