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인
자신
자기
자아
내
d라이브러리
"
나
"(으)로 총 8,153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참석자 중 세 명이 노벨상을 받게 된 것이다. 정보가 어떻게 쓰이는지는 아직 미지수
나
는 영국 옥스퍼드대에서 학부 전공으로 수학을 공부했다. 대학원에 가서 전기신호가 어떻게 정보처리에 쓰이는지 흥미를 느껴 전공을 바꿨다. 마침 장소세포 연구는 뇌 정보처리 이론을 연구하기에 가장 ... ...
[과학뉴스] “신종헌터는 생물역사의 기록자”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과학 지식에 목마른 일반인과, 현장의 최전선에서 활동하는 과학자가 직접 만
나
대화를
나
누는 과학 토크콘서트다. 매달 개최되며 (참가비 1만 원), 과학동아 정기구독자 및 서포터스는 무료다 ... ...
[hot science] IQ떨어지는 인류, 혹시 바보가 되는 중?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미친다. 머리 덜 쓰는 경향이 몇 만 년 뒤 미래의 지적 능력에영향을 미칠 가능성은 언제
나
열려 있다. 비록 ‘아직까지는’ 뚜렷한 흔적이 보이지 않지만 말이다. 폭발적인 디지털 문명이 이런 경향을 가속화할까. 답은 후대 인만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럴 지능이 남아 있다면 ... ...
[life & tech] 거대한 빛을 체험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하려면 1인당 각각 1500원을 추가로 부담하면 된다.자세한 사항은 (062)960-6210으로 문의하거
나
국립광주과학관 홈페이지(sciencecenter.or.kr)에서 확인하면 된다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내에서 결맞음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다. 더구
나
양자 중력까지 등장하는 그의 이론은 지
나
치게 앞서 갔다는 평가가 많다. 양자 중력은 아직 아무도 알지 못하는 물리학의 성배이기 때문이다.진화의 역사를 보라. 양자역학이 생존에 이익이 된다면 생명은 이를 반드시 이용했을 것이다. 아직 이용하지 ... ...
[life & tech] 피노키오는 아이들의 거짓말을 줄였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연구들이 있다. 반대로 말하면 착하고 정직하게 사는 게 정서적으로
나
물질적으로
나
손해인 사회에서는 교육만으로 선한 사람을 만들기 어렵다. 아이는 어른의 거울이라고 했다. 우리가 만든 가치관과 교육 방식이 곧 아이들의 모습이 된다는 점을 중요하게 기억해두자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원래 한 대륙으로 붙어있던 지 역들이 갈라지면서 민물에 사는 생물들이 여러 대륙으로
나
눠 진 것이다. 민물고기였던 폐어의 화석이 남반구 전역에서 발견 된 사례도 대륙이동설을 뒷받침하는 강력한 증거로 쓰였다. 귄 터는 살아서는 진화론을 괴롭혔지만, 죽어서는 지구의 거대한 변화를 증명한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싶기도 하고 감 추고 싶기도 한 이율배반적인 인류의 마음 때문이 아닐 까. 그렇다면 하
나
더. 미래의 얼굴은 어떻게 변할까. 아 마 미래 사회가 어떤 식으로 흘러가느냐에 따라 다를 것 이다. 믿고 소통하는 사회일지, 혹은 서로 불신하며 속 마음을 숨겨야 하는 사회일지에 따라 말이다.▼관련기사를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게 도리일 것이다. 그 전에 함부로 ‘태양계의 끝을 벗어났다’고 말하지 말라. 더구
나
그대들은 경계 너머의 경계가 또 있을지 모르지 않은가…. 영화 ‘동사서독’ 이야기로 시작했으니 그 이야기로 끝을 맺자. 모래 언덕 너머 무엇이 있는지 보고자 길을 떠난 주인공이 지평선의 끝에서 만난 것은, ... ...
[hot science] 충격! 화성에도 과학동아 독자가?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제시하는 증거는 허무맹랑합니다. 어차피 NASA가 공개하는 사진을 가지고 상상의
나
래를 펼치는 아마추어가 NASA의 전문가보다 뛰어날 확률도 지극히 낮지 않을까요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