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토지
지면
육지
대지
흙
대륙
뭍
d라이브러리
"
땅
"(으)로 총 3,793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화론만이 옳다는 독선은 버려야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다윈의 주장과 상반되는 것이다.그런데 이 이론도 생물간의 간격이 커질 경우 설
땅
을 잃게 된다. 예를 들어 개와 늑대, 쥐와 생쥐 사이의 간격도 상당하지만 육지에 사는 포유동물의 조상이 어떻게 도약적인 진화를 해서 바다의 포유동물인 고래의 조상으로 변할 것인가. 더구나 연체동물의 조상이 ... ...
뭘 먹느냐가 성격을 결정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8호
노고에 감사하는 정도다.좀 더 생각해 보면 그 이유가 도출된다. 중국이나 우리나라는
땅
이 비옥하고 비가 때 맞춰 내리기 때문에 벼농사가 발달했고 밀 보리도 잘되는 편이었다. 흉년이 가끔 들기는 해도 유럽과 같은 그런 혹독한 흉년이 들지는 않았다. 또 목축보다는 논 밭농사가 주였기 때문에 ... ...
1백m를 10초내에 주파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두배로 되기 때문에 체적은 여덟배(2×2×2)가 된다고 했다. 반면 몸을 유지하는 다리가
땅
을 디디는 면적은 폭과 길이만이 변하기 때문에 네배만 증가한다. 따라서 동물의 크기가 증가하면 점점 몸을 움직이기 힘들다고 밝히고 있다.아무튼 알렉산더는 갈릴레이 이후 가장 공학적인 방법을 활용해 ... ...
정말 사진현상소를 사라지게 할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있다. 만일 1천만개의 화소를 가진 영상칩이 개발된다면 종래의 은염카메라는 설
땅
을 완전히 잃어버리게 될 것이라고 전망하는 전문가들도 있다. 텔레비전형 인간한편 전자스틸카메라의 밝은 앞날을 장담하는 사람들은 다른 의견을 내세우고 있다. 오늘날의 일반소비자들은 텔레비전에 익숙한 ... ...
인류의 남자조상은 아프리카 피그미족?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역으로 따져 인류 최후의 공동조상이 살았던 시기를 추정해 낸 것이다.이렇게해서 이
땅
에 성경이 아닌 과학적 설명으로 인류의 조상 아프리카인 이브가 처음으로 등장하게 됐다. 하지만 기쁨을 함께 나눌 동반자가 없다면 이브의 국제적인 명성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과학자들은 곧 남자조상 ... ...
해왕성 Neptune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6℃로 낮으나 이곳에서 분연(噴煙)을 뿜어내는 화산이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이 극한의
땅
에 어떻게 화산이 존재할 수 있는가는 수수께끼다. 그러나 이 문제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설명은 가능하다. 즉 이 온도에서 질소는 가스 상태가 아니라 암석과 같이 굳어진 상태로 존재한다. 표면으로부터 20~30m ... ...
하와이의 대형망원경 맹활약 기대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천문학자들은 하와이를 축복받은
땅
으로 생각한다. 마우나케아 천문대를 비롯, 세계적인 대형망원경들이 몰려있는 이 지역에 오는 7월11일 개기일식현상이 일어나기 때문이다.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개기일식은 지난 90년 핀란드 요엔수에서 선보인 후 1년만에 장소를 옮겨, 멕시코 등 중남미 ... ...
동물계의Mr. 클린 오소리 "나와 너구리를 같이 취급하지 말라"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정도 지나면 멧토끼만하게 자란다.어미는 새끼 스스로가 먹이를 구할 수 있을 때까지
땅
속의 지렁이나 나무뿌리 등을 새끼에게 먹인다. 새끼들은 10월 초 어미의 집을 떠나지만 가끔 어미를 찾아온다. 오소리의 새끼는 약 2년이 지나면 완전히 성숙하며 수명은 12~15년 정도다.오소리의 털은 거칠어서 ... ...
(3) 창조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나무 위로 올라가거나 가지에 매달릴 때도 주로 이것을 사용하며 한 비단뱀(Python)은
땅
위에서 앞으로 전진할 때 이 가시를 이용하기도 한다. 또한 적과 싸울 때에도 이용한다.'흔적'개념은 특정기관의 기능에 대해 잘 모른다는 것이지, 그 기관의 기능이 없다는 의미는 아니다. 따라서 설계상 기능이 ... ...
하늘은 「화끈화끈」
땅
은 「냉랭」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최근 일본과 필리핀에서 숨쉴 사이 없이 터져 나오는 화산분출. 기후학자들은 화산이 기후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를 이번 기회에 확실히 알아내려고 벼르고 있다.1980년대 초의 어떤 저녁 해질 무렵. 수평선을 바라보다 평상시의 붉은 빛 대신 보랏빛 놀을 본 많은 멕시코 사람들은 그 아름다움에 감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