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여러"(으)로 총 12,601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서서히 드러나는 비밀과학집단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순환되면서 산소가 잘 공급된답니다.*밀도 : 물질의 질량을 부피로 나눈 값. 밀도가 여러 가지인 물질이 섞여 있을 때 밀도가 큰 물질은 가라앉으려고 하고, 밀도가 작은 물질은 위로 뜨려고 한다.하지만 중력이 거의 없을 때는 따뜻해진 공기가 밀도만 낮아질 뿐 순환되지 않아요. 그래서 ... ...
- Part 2. [생체열쇠 - 하나] 지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그리고는 지문의 융선을 선 형태의 정보로 만들어 컴퓨터로 전달하지요. 컴퓨터는 여러 가지 융선 중 구부러진 부분, 끊긴 부분, 점이나 실선이 있는 부분 등을 특이점으로 잡고, X, Y, θ, T 로 표현하지요.X, Y는 특이점이 있는 위치를 나타내요. 전체그림을 격자 모양으로 자른 뒤, 특이점이 위치한 ... ...
- 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생체 인식 분야에서는 얼굴을 인식하는 기술이 활발하게 연구되고 있으며, 그 방법도 여러가지로 개발되고 있어요.그 중에서도 얼굴의 특징을 추출해서 판별하는 방법이 많이 사용되고 있어요. 원리는 홍채 인식 기술과 비슷해요. 일단 카메라로 얼굴을 촬영한 뒤, 얼굴의 높이에 따라 생기는 명암을 ... ...
- [과학뉴스] 펼치지 않아도 책을 읽을 수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분석했어요. 그 결과 종이보다 잉크에 부딪혀 돌아온 파동의 파장이 짧았지요. 이후 여러 장이 겹쳐진 문서에 테라헤르츠파를 쏴서 그 파동이 돌아오는 시간을 분석했어요. 그렇게 종이의 두께와 책장 사이의 간격을 알아내 9장에 적힌 글자들을 각각 구분할 수 있답니다. 헤쉬마트 박사는 “손상된 ... ...
- Part 1. 우리 뇌는 ‘감각 통합’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나는 소리야.감각기관이 보고하고 뇌는 합치고!사람은 다양한 형태의 정보를 받아들이는 여러 감각기관을 갖고 있어요. 눈, 코, 귀, 피부 등의 감각기관 이 각각 시각, 후각, 청각, 촉각 형태의 정보를 받아 뇌로 전달하죠.이 정보들을 잘 버무리는 건 뇌의 몫이에요. 대뇌의 안와전두피질, 각회 등의 ... ...
- Part 2. 착시도 감각통합의 결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통합이 일어나지만 이것을 직접 느끼긴 어렵죠? 그래서 간단한 실험 3가지를 준비했어요. 여러분의 감각이 얼마나 살아 있는지 알아볼까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거꾸로 보면 작아 보인다?!Part 1. 우리 뇌는 ‘감각 통합’ 중!Part 2. 착시도 감각통합의 ... ...
- [출동! 섭섭박사] 지진의 원인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않고 수평으로 움직이는 경우도 있는데, 이를 ‘주향이동단층’이라고 부른답니다.여러 단층이 한꺼번에 생기기도 해요. 예를 들어 이번 경주 지진은 역단층과 주향이동단층이 섞인 형태로 일어났어요.땅이 힘을 받아 모양이 바뀌며 단층이 생기듯, 지구에 있는 땅은 아주 조금씩 움직이고 있어요.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가 변한 ‘주검 시(尸)’와 ‘일찍 증(曾)’으로 이루어져 있어요. ‘일찍 증(曾)’은 여러 층으로 된 찜통 모양을 나타내서 ‘겹치다’라는 뜻이 있지요. 따라서 ‘층 층(層)’은 ‘집이 층층이 쌓여 있다’ 라는 뜻이랍니다.‘대륙(大陸)’은 말 그대로 ‘큰 땅덩어리’를 뜻하는 한자어예요. ... ...
- [창간 12주년 인터뷰] 리틀 뉴턴 이끄는 열혈 과학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하고, 과학대회를 준비해 큰 상도 받았답니다. 2년째 거의 매일 같이 과학실에 모여 함께 여러 활동을 계획하고, 매주 함께 전국을 누비면서 이야기를 나누다 보니 서로 친해질 수밖에 없지요.주말마다 동아리원 4~5명을 선발해 돌아가면서 민물고기 탐사를 가요. 지금까지 약 100종 3000마리의 ... ...
- Part 3. 사이좋게 함께 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0호
- 흙 위에 구멍이 뽕 뚫려 있으면 다들 그 구멍을 피해서 가잖아요. 그래서 저는 여러가지 물건을 쌓아놓고 서식굴 입구가 아닌 것처럼 위장해 둔답니다. 그리고 굴속에 숨어 있다가 먹이가 지나간다 싶으면 샤샤샥 밖으로 튀어나와서 잽싸게 먹이를 낚아채지요. 후훗! [털보집갯지렁이 서식굴에서 ... ...
이전3353363373383393403413423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