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원
후원
원조
옹호
승인
시인
변호
d라이브러리
"
지지
"(으)로 총 3,718건 검색되었습니다.
사라진 태양 중성미자는 어디에?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태양의 중성미자가 이론과는 달리 크게 부족하다는 이전의 실험결과를 보다 확고히
지지
해 줄 것이라고 과학자들은 기대하고 있다. 장비나 분석방법 검토해야태양내부의 핵융합에 관한 현재까지의 이론에 따르면 융합결과 일정한 양의 중성미자가 형성되며 그 중 상당량이 지구를 관통한다. ... ...
오른뇌를 자극하라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학습습관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되는 심상훈련을 권한다. 심상훈련은 한두번으로 익숙해
지지
않는만큼 하루에 몇분씩 할애해 꾸준히 계속하는 것이 좋다.[예1] 공부가 잘되는 장소"조용히 눈을 감고 심호흡을 서너 차례 하세요. 이제 당신이 시험공부를 하고 있다고 상상해 보세요. 당신이 공부가 잘 ... ...
아리스토텔레스 Vs 데모크리토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1-2. ① 데모크리토스는 모든 물질은 원자로 돼 있고 그 물질은 없어지거나 새로 만들어
지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따라서 수소는 일정한 무게를 지닌 입자로 구성돼 있으므로 진공 속에 들어가면 일정한 무게를 나타낼 것이다.2. ③ 데모크리토스와 아리스토텔레스가 직접 이런 실험을 해보고 논쟁한 ... ...
남극의 얼음이 줄고 있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백년 전까지는 1세기에 약 3.6m씩 상승했다는 것. 그러나 녹은 얼음이 어디 것인지는 밝혀
지지
않았다.NASA에서는 레이저측정기를 갖춘 위성을 통해 얼음의 부피와 표면 측정을 해 얼마만큼의 얼음이 줄어들고 있는지를 관측하고 있다.현재까지 조사된 바에 따르면 연평균 기온의 상승이 남극의 얼음을 ... ...
과학대중화의 청신호인가?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출발하는 과학'을 강조한다. "우리들 누구나 갖고 있는 과학적 호기심이 제대로 키워
지지
않는 이유는 자신의 경험과 과학자의 체계적인 지식이 맞물리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과학책이 재미있고 쉬우려면 독자들의 호기심이 어디에서 출발하는가부터 밝혀 여기에 체계적인 지식으로 살을 붙여줘야 ... ...
불꽃놀이의 과학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일과 발사하는 일은 아직 인간의 손을 요구하고 있다. 예를 들어 포탄의 포장을 풀어서
지지
대 위에 올려 놓는 일 그리고 스위치를 누르는 일 등은 사람이 직접 해야 한다.포탄이 발사대에 놓이면 폭죽쇼를 위한 모든 것이 준비되어진 셈이다. 드라마틱하고 이중(二重)시각적인 효과를 노릴 때는 ... ...
양자중력이론으로 우주의 실체에 접근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빠지는 통로, 즉 웜홀(worm hole, 벌레구멍)에 대한 이론적 접근은 아직 완벽하게 이루어
지지
않았다.아직은 미지수대학원시절부터 27년 동안 몸의 운동신경이 점점 마비되는 루게릭병(근위축성측색경화증)에 시달려온 호킹은 아직도 케임브리지의 루카시안 석좌(碩座)교수로 재직하면서 우주론에 대한 ... ...
정리(定理)속에서 문제의 실마리를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아는 과정이 '지겨운' 일이 되서는 안된다. 수학에 재능이 없는 학생도 '부담'이 지워
지지
않는다면 수학을 '논리적 사고'를 키우는 수단으로 삼아 흥미있게 다가설 수 있을 것이다 ... ...
잠의 건강학 수면시간의 「적정선」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끝난다.그러나 잠을 안자는 행위가 정신병을 일으킨다는 속설은 아직 정설로 받아들여
지지
않고 있다. 예로 미국의 한 학생(17세)은 2백64시간동안 깬 상태로 자신에게 부여 된 과제를 마쳤다. 이 불면의 시간내내 그는 대화도 조리있게 잘 했고 게임을 하는데도 능숙한 솜씨를 보였다. 뿐만 아니라 ... ...
한글편집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것이 편리하다. 이것은 키를 누르면 '도표 보호'상태가 되어서 선이 지워
지지
않기 때문이다. 또 그릴 선의 종류도 선택할 수 있는 데 이것을 잘 모르는 사용자가 의외로 많다.선그리기 상태로 들어가기 위해서는 〈Alt+D〉키를 누른다. 그러면 (그림5)와 같이 화면 아래에 선을 그리는데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