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중
곱
뉴스
"
2배
"(으)로 총 6,370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탐사 무한경쟁·사람세포 배양하는 쥐 탄생…네이처가 뽑은 2020년 과학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국제학술지 '네이처'가 2020년 새해에 과학계에서 일어날 특별 이벤트를 공개했다. 그 중 하나로 내년에는 미국과 중국, 유럽, 아랍 등에서 화성 착륙 탐사에 도전할 예정이다. 사진은 NASA에서 내년 7~8월쯤 발사할 예정인 화성 탐사선 '마스 2020 로버'. 소형 드론을 띄워 화성 표면 곳곳에 있는 암석 샘 ... ...
월성1호기 ‘영구정지’ 의결…감사원 감사·수명연장 취소 소송 변수(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월성 1호기 전경-한국수력원자력 제공 원자력안전위원회가 24일 격론 끝에 월성원자력발전소 1호기(월성 1호기) 영구정지를 의결했다. 하지만 경제성 평가를 통해 월성 1호기 조기폐쇄를 원안위에 요청한 한국수력원자력(한수원)에 대한 감사원 감사 결과가 나오기 전 원안위에서 의결됐다는 점에 ... ...
난소암·자궁암 맞춤형 치료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4
특정 단백질(ID2)이 발현된 환자에게서는 치료 효과가 나타나는 기간이 약 8.73개월로
2배
가량 더 길었다. ID2 단백질은 면역세포인 T세포의 활동에 관여한다. 연구팀은 환자의 p53 변이 유무와 ID2 발현 정도를 보면 PARP 억제제를 썼을 때 치료 효과가 어떨지 예측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정원 ... ...
[인류와 질병]알레르기의 진화
2019.12.21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알레르기를 가진 사람이 점점 늘고 있다. 지난 수십 년 간 알레르기성 천식과 아토피성 피부염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주로 산업화된 국가에서 두드러진다. 미국의 경우 인구의 10%가 알레르기성 비염을 앓고, 알레르기성 천식을 앓는 사람도 3%에 달한다. 급속도로 산업화된 ... ...
수분 더 먹고 전기 덜 쓰는 제습기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백재현 에이올코리아 대표(왼쪽)와 최원춘 한국화학연구원 부원장이 차세대 에너지 절약형 제습공조기술 기술이전 및 공동연구 협약식을 하고 있다. 화학연 제공. 시중 제습기보다 전력을 40% 이상 덜 쓰면서도 제습 성능이 50% 이상 향상된 국산 초절전 제습·환기 시스템이 내년 하반기 선보인다. ... ...
올 과학계 최대 사건은 '블랙홀 촬영'
동아사이언스
l
2019.12.20
블랙홀의 그림자/ETH/네이처 인류 역사상 처음으로 성공한 ‘블랙홀’ 촬영이 올해 과학계를 뒤흔든 최고의 연구 성과로 선정됐다. 현생인류는 물론 네안데르탈인과도 다른 제3의 인류인 ‘데니소바인’의 얼굴을 추정한 연구와 태양계 생성 당시의 상황을 보존하고 있는 우주의 방랑자 소행성 ... ...
1000배 빨라진다…마이크로LED 공정 개선기술 세계 첫 상용화
동아사이언스
l
2019.12.19
파동에너지극한제어연구단 원세정 박사(오른쪽)와 정현준 박사가 마이크로LED를 전사하는 장비를 운영하며 마이크로LED를 확대해 보고 있다. 메타물질은 다양한 곳에 생각하지 못했던 효용을 창출하고 있다. 사진제공 홍덕선 작가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에 이어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자로 주목 받고 ... ...
정밀 3D프린팅 기술로 높이 7μm 짜리 구조물 쌓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9
100만분의 1m) 짜리 나노 구조물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기존 한 층짜리 나노 구조물보다 7
2배
나 더 높게 쌓은 것이다. 제1저자인 박양석 연구원은 "제설에도 쓸 만큼 저렴하고 흔한 염화나트륨을 이용해 가장 쉽고 효과적으로 근거리 전기방사 방식을 향상시켰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은 고현협 ... ...
슈퍼커패시터 충전용량 높인다…그래핀 제조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2.19
김명종 KIST 책임연구원. KIST 제공. 전기전도성이 뛰어난 ‘그래핀’을 축전기 원리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슈퍼커패시터’ 충전용량을 높이는 데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제시됐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김명종 기능성복합소재연구센터 책임연구원과 김남동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 ...
50살 맞는 대덕특구, 글로벌 혁신성장 거점으로 도약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9
방안으로는 대덕특구 1지구에 기업이 입주할 수 있는 공간을 현재 75만㎡에서 150만㎡로
2배
늘리는 계획이 검토된다. 이를 위해 활용률이 떨어지는 연구기관의 부지 활용과 혁신파크 건립이 추진된다. 빅데이터를 활용한 연구혁신 플랫폼 구축을 위해서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거점 둔곡 지구를 ... ...
이전
335
336
337
338
339
340
341
342
3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