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도살
살해
살육
살륙
모살
유혈
폭행
d라이브러리
"
살인
"(으)로 총 330건 검색되었습니다.
AIDS 왜 동성연애자에 많은가
과학동아
l
198703
한다.이 가능성은 미국에서 보통 사람이 교통사고로 사망할 가능성이 5천분의 1이고,
살인
범에게 살해될 가능성이 1만분의 1, 심지어 벼락에 맞아 죽을 확률이 60만분의 1이라는 통계와 비교해보면 그리 높은 것이 아니다.예방법일반적인 AIDS예방법은 절대로 안전한 상대 이외에 특히 AIDS환자, ... ...
거짓말탐지기에서 DNA식별법까지 현대의 과학수사
과학동아
l
198703
불안과 죄의식을 구별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실제 우리나라의 경우 박상은양
살인
사건 용의자에 대한 거짓말탐지기상의 증거를 법원에서 받아들이지 않은 예가 있었다.개인식별로 앞으로 유용하게 쓰일 판별법은 앞에서 나온 DNA 지문식별법, 유전자의 특성은 손가락의 지문처럼 각 ... ...
마약보다 부서운 각성제 청신착란에까지 이르는 히로뽕의 정체
과학동아
l
198701
생긴다. 귀에서 이상한 소리가 들리며 헛것이 보이기도 하는데 그것을 쫓기 위하여
살인
, 방화, 파괴 같은 범죄를 저지르게 된다. 이 경우 어떤 특정한 대상에 위해를 가하는 것이 아니고 아무 인연도 없는 불특정한 상대에게 위해를 가하는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다.만성중독의 공통적인 현상은 ... ...
살인
도 하는 수면중의 무의식 행동
과학동아
l
198608
있다. 그도 재판에서 '의식없는행위'라는 이유로 무죄석방이 되었지만 이밖에도
살인
까지 가지는 않았더라도 자다가 옆의 사람을 심하게 때리던가 목을 눌러 숨막히게 하는 경우는 무척 많다. 자다가 용수철처럼 벌덕 일어나서 중얼 중얼하는 경우는 나이트테러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이런 사람은 ... ...
비상걸린 청소년의 정신질환
과학동아
l
198606
진단검사는 생명을 구해준다는 잇점을 갖고 있다. "자살은 청소년들에게 있어 제3의
살인
마입니다. 이 연령층의 자살에 대한 가장 중요한 위험요인의 하나는 치료받지 못한 정신질환 입니다." NIMH의 행동의학 과장인 '수잔 블루멘탈'은 이렇게 말하면서, 자살을 감행하는 청소년들의 적어도 3분의 1이 ... ...
레이저를 이용한 신무기들
과학동아
l
198604
시작하여 79년에 실전 배치되었다.■레이저 파괴 병기(
살인
광선)엄청난 파괴력을 가진
살인
광선으로서의 레이저가 이제 실용화를 눈 앞에 두고 있다. 가까운 장래에 적의 탱크 비행기 유도탄 등을 증발시킬 수 있는 레이저 파괴병기가 등장하여 모든 값비싼 재래식 무기를 무력화시킬지 모른다. 이미 ... ...
21세기는 레이저로 밝힌다
과학동아
l
198604
소설에서 '
살인
광선'으로 소개되었던 레이저. 이제 생활 구석구석을 밝히는 문명의 이기가 되고 있다.'레이저 메스'로 출혈없는 수술을 하는가 하면 대기오염을 측정하고 피부에 남긴 지문도 거뜬히 검출해 낸다. 미래의 에너지원인 핵융합의 불을 당기는 레이저는 또'별들의 전쟁'도 가능케 했다 ... ...
20세기의 위험 평범한 사고가 무섭다
과학동아
l
198602
연유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살인
이라고하면 엄청난 사건으로 생각하고 있는데 단순히
살인
으로 희생된 사람의 숫자만을 본다면 당뇨나 위암, 심장마비로 죽는 사람보다 훨씬 적은것이다. 그런데도 사람들은 당뇨같은것을 대수롭지 않게 생각해서 예방을 게을리한다. 작은 고통을 피하려다 크게 ... ...
소련의 전략무기와 군사과학
과학동아
l
198602
운동에너지(Kinetic Energy) 무기분야에서 여러가지의 연구를 해 왔다.예컨대 '
살인
기계'를 제작하기 위해 질량의 고속 충돌을 일으키는 것 등이다.60년대에는'텅스텐'이나'몰리브데눔'같은 중금속의 분자를 초속 25㎞(진공에서는 60㎞)의 빠른 속도로 쏠수있는 소총을 시험적으로 만들기도 했다. 90년대 ... ...
20세기의 페스트 AIDS
과학동아
l
198601
오랜 세월 동안 인간을 괴롭혀온 결핵은―아직도 제3세계에서는 맹렬하다―코흐가 '
살인
병'이라고 부른 것인데 시인 '쉴러'를 앗아갔는가 하면 '쇼팽', '파가니니'같은 음악가의 목숨을 빼앗았다. '괴테'도 결핵에 걸렸으나 그의 강인한 의지로 살아 남았다.파스테르나 코흐 같은 의학자들의 줄기찬 ... ...
이전
29
30
31
32
33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