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제한
국한
규제
특정
일정
조건
유한
d라이브러리
"
한정
"(으)로 총 795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 인간 배아줄기세포 지원 의미
과학동아
l
200109
이미 파괴된 인간 배아에서 추출해 장기배양 중인 기존의 60개 줄기세포주(柱)로
한정
한다”고 말했다. 줄기세포주는 폐기된 배아에서 줄기세포를 뽑아낸 다음 더 이상 분열하지 않고 계속 증식만 하도록 만든 세포를 말한다.그러므로 줄기세포를 얻을 목적으로 배아를 만드는 연구는 정부의 지원을 ... ...
당신의 이메일이 감시당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107
친구에게 이메일을 보내거나 전화를 걸 수 있다. 그런데 그 접근 경로는 단 두가지로
한정
된다. 바로 해저 광케이블과 인공위성이다. 즉 에셜론은 이 두가지 정보의 통로를 감시함으로써 대륙을 오가는 거의 모든 정보를 가로챌 수 있는 것이다.미국의 심해 잠수사들은 대서양을 통과하는 수중 ... ...
2백60억원짜리 최초 민간우주여행
과학동아
l
200106
계속 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물론 아직까지는 거액을 지불할 수 있는 일부층에
한정
되는 이야기다. 일례로 데니스 티토의 우주여행 즈음 미국 USA 투데이, 영국 BBC 등의 외신은 티토에 이은 두번째 민간 우주여행자가 블록버스터 타이타닉의 제작자 제임스 카메론이 될 것이라는 내용을 앞다투어 ... ...
① 가혹한 환경 극복한 미지의 생존자
과학동아
l
200106
해양의 수온은 시간과 장소에 따라 다양하다. 그러나 이것은 어디까지나 표층수에
한정
된 얘기다. 심해의 경우 계절이나 위도에 상관없이 수온이 0℃ 내외로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는 점이 특징이다.관심을 끄는 심해의 또다른 특징은 높은 수압이다. 물리적으로 바다속으로 10m 깊이를 내려갈 때마다 ... ...
1. 깜찍한 센스 갖춘 기계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106
경우는 어떨까. 사람의 귀로 들을 수 있는 소리의 범위는 주파수가 보통 20Hz-20kHz로
한정
된다. 만일 소리의 주파수가 20kHz가 넘어가면 사람에게는 들리지 않게 된다. 이런 소리를 초음파라고 한다. 초음파는 박쥐나 돌고래와 같은 동물들 사이에서 소리를 주고받는 수단으로 쓰인다.청각센서 중에는 ... ...
관측 최적기 맞은 화성 100% 즐기기
과학동아
l
200106
남극의 극관은 한여름에도 쉽게 없어지지 않는 점이 특징이다.화성 표면에는 때때로
한정
된 범위를 가진 노란색의 먼지폭풍이 나타난다. 이들 먼지폭풍은 햇빛의 반사도 차이에 의해 이미 친숙해져 있는 화성표면의 지형 위를 빠른 속도로 변화하면서 움직인다.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지점에서 충이 ... ...
우주탐험의 지상관문 세계의 우주센터
과학동아
l
200104
이제는 비용도 크게 줄었으며 평범한 일상생활의 일부가 됐다. 우주비행 또한 지금은
한정
된 몇몇 사람들만이 지구의 우주기지에서 하는 환상적인 일로 보이나, 지금까지의 항공기 기술개발과 같은 속도로 개발이 진행된다면 앞으로 수십년 내에는 우주여행도 지금의 비행기 타는 일과 같이 ... ...
② 지능ㅣ제갈길 알아서 찾아가는 로봇
과학동아
l
200104
암기하고 있다. 따라서 공장과 같이 단순한 환경에서 동일한 작업을 반복하는데 응용이
한정
될 수밖에 없었다. 가정이나 병원, 사무실 등에서 인간과 함께 살면서 청소나 심부름 등 다양한 작업을 하기는 불가능하다는 얘기다. 이런 로봇들은 산업용 로봇처럼 수학적 모델을 구하기 어려울 뿐만 ... ...
유전자 차별시대 펼쳐지는 디스토피아 가타카
과학동아
l
200104
머리카락 하나에서 나올 수 있는 유전자 양은 제한돼 있고, 어떤 목적을 갖고 실험하는
한정
된 부분만 만족시킬 수 있을 것입니다.의준_ 그렇다면 어디에서 비교적 많은 데이터를 뽑아낼 수 있나요.홍박사_ 질환 등을 알아내고자 한다면 혈액이 가장 많은 유전자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죠.미경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
과학동아
l
200102
아직까지 광통신은 정보를 광신호로 변환시켜 광섬유를 통해 단순히 이동시키는 범위에
한정
돼 있다. 광신호의 방향을 바꾸거나 광신호를 나누고 합치는 기술은 아직 상용화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 신소재의 등장과 나노 단위의 기술 개발로 광신호를 자유자재로 다루는 핵심부품이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