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마스크
탈
복면
선잠
옅은 잠
페르소나
가장
d라이브러리
"
가면
"(으)로 총 1,147건 검색되었습니다.
[fun] 신선한 우리 작가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일반인이 보기엔 난해한 글을 쓰기 쉽다는 이야기다. 비전문가들은 생소한 분야를 배워
가면
서 책을 만들다 보니 이런 부분에서 조금 더 이해하기 쉬운 글을 쓸 수 있다는 설명이 덧붙여졌다. 최 대표와 최 편집장 역시 ‘진화’와 ‘양자물리’를 공부하느라 고생했다는 후문이다.이제는 작가들이 ... ...
봉 지아, 브라질 월드컵!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성적을 내려면 먼저 브라질 현지에 잘 적응해야 해요.비행 시차 적응하기먼 곳으로 여행
가면
낮에는 졸리고 밤에는 잠이 오지 않는 시차증후군을 겪어요. 몸속에 있는 생체리듬이 깨지기 때문이에요. 심하면 소화불량이나 두통, 현기증도 겪을 수 있지요.영국 에든버러수면연구소의 크리스 ... ...
얼굴 읽어 주는 수학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미인이라고 볼 수 있다. 실제로 마릴린 먼로나 안젤리나 졸리와 같은 미인의 얼굴에 이
가면
을 덧씌우면 거의 일치한다. 이는 ‘마쿼트 마스크’가 현재 아름다움의 기준에 어느 정도 부합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후 마쿼트는 동양인과 흑인에 대해 더 조사해 인종에 맞는 여러 종류의 ... ...
[과학뉴스] 밥이냐 여자친구냐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전화가 왔다. 집에 가는 길이 무섭다며 빨리 역으로 데리러 오라는데, 여자친구를 만나러
가면
라면은 붇는다. 어떻게 해야 할까. 몸이 원통형으로 생긴 선형동물인 예쁜꼬마선충(사진) 수컷은 이 경우 무조건 여자 친구를 선택한다. 영국 로체스터대 더글라스 포트먼 교수팀의 실험 결과에 따르면, ... ...
PART 3. 생리의학상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것을 알아냈다. 2004년에는 내비피질에도 해마의 장소세포처럼 특정 장소에
가면
반응하는 신경세포가 있다는 것도 확인했다. 이 신경세포는 장소세포와 달리 하나의 넓은 공간을 혼자서 처리했다. 넓은 원형 박스 안에서 쥐를 돌아다니게 하고 전기신호를 측정했더니 하나의 내비피질 세포가 여러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그런데 비행기가 하늘로 둥~둥~ 뜨는 이유는 뭐야? 저렇게 크고 무거운데?그건…, 저기로
가면
알 수 있을 거야! 물체가 하늘에 뜨는 원리를 알려 준대~.비행기는 물체가 앞으로 나가는 ‘추력’과 물체를 하늘로 떠받치는 ‘양력’으로 날아요. 추력은 강력한 제트엔진으로 만들어 내지요. 연료를 ... ...
5th 마틴 가드너의 퍼즐 캠프
수학동아
l
2014년 10호
퍼즐을 만들었다. ‘더블릿(doublet)’이라는 이름의 이 문자퍼즐은 알파벳을 하나씩 바꿔
가면
서 처음 단어를 새로운 단어로 바꾸는 퍼즐이다. 가장 적은 단어를 사용해 새로운 단어로 바꾸는 것을 더 좋은 풀이로 본다. 예를 들어 COLD라는 영어단어를 WARM으로 바꾸는 더블릿에는 중간에 총 3개의 ... ...
[2030 인류, 화성에 가다]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딱 좋다는 말과 함께였다. 똑같은 고추장을 지구에서 맛본다면 꽤 짤 텐데…. 우주에
가면
중력이 약해 혈액 등 체액이 머리로 쏠리기 때문에 식품의 맛과 향을 느끼는 신경이 무뎌진다. 그래서 우주식품은 지구보다 20% 정도 짜고 맵게 만든다. 화성도 비슷하다. 물론 내게도 지금은 이 정도 맛이 딱 ... ...
알쏭달쏭 자연의 기준이 궁금해!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둬서 꾸준하게 관측하고 있지. 이들의 공식적인 개화시기가 궁금하다면 기상관측소에
가면
되는 거야. 목록에 없는 철쭉 같은 꽃은 어떻게 하냐고? 철쭉은 기준이 없어 개화여부를 공식적으로 말하지 않아. 대신 철쭉이 많은 소백산과 지리산, 한라산 세 곳 군락지의 개화 상태를 관측해서 알려 주고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점검하는 데만 모든 팀원들이 꼬박 밤을 새야 한다. 아무리 꼼꼼히 점검해도 막상 바다에
가면
꼭 말 썽이 일어난다.앞으로는 실제 로봇을 통한 검증뿐만 아니라 야외의 어떤 환경에서도 똑같이 작동하는 군집 알고리듬 연구 가 필요하다. 처음에 말한 드론 군집 비행도 실험실에 서 여러 대의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