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상 인터뷰] 억센 털이 자라는 점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교수팀은 멜라닌 세포 모반에서 길고 억센 털이 자라도록 돕는 분자를 발견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 연구팀은 모반 내부의 노화한 멜라닌 세포에 주목했어. 털이 많이 자라는 모반을 가진 쥐를 관찰한 결과, 연구팀은 모반 속의 노화 멜라닌 세포가 정상 멜라닌 세포는 만들지 않는 ... ...
- [DAY4 홍콩 중문대학교] 미래 먹거리는 콩이 책임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잘 자랄 수 있는 개량 콩을 만들었어요. 비가 잘 오지 않는 남아프리카에서 실험한 결과, 개량 콩은 잘 자랐지요. 렘 홍 밍 교수는 전 세계 곳곳을 다니며 개량 콩을 심고 있습니다. 지난 5월 렘 홍 밍 교수팀은 콩에서 추출한 미생물을 중국의 화물 우주선 톈저우 6호에 실어 우주로 보냈습니다. 이 ... ...
- [통합과학교과서] 벼락 맞은 집을 지켜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국립해양대기청(NOAA)에서 운영하는 정지궤도위성 고스(GOES)-17의 데이터를 분석한 새로운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위성에 탑재된 번개 분석 데이터를 이용해 통가 화산이 분출할 때 반경 약 140km 내에서 19만 2000번의 번개가 발생한 사실을 확인했지요. 또한 1분당 최대 2615번 섬광을 만들어 냈고, ... ...
- [만화 뉴스] 지하수 사용, 해수면 상승시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달라지면 지구의 회전축도 바뀌죠. 연구팀은 1993~2010년 지구 자전축 변화를 분석한 결과, 지하수 사용으로 자전축이 약 64.16cm 기울었다는 사실을 발견했어요. 서기원 교수는 “지구 자전축 변화로 지하수 고갈이 해수면을 높였다는 것을 증명한 연구”라고 말했습니다 ... ...
- [4컷 만화] 공벌레는 로봇의 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조세핀 갈리폰 교수팀은 살아있는 동물이 로봇의 그리퍼로 활용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공벌레와 해양 연체 동물인 군부에 주목했어요. 공벌레는 몸을 공 모양으로 만들어 물체를 가둡니다. 군부는 발로 물체를 강하게 붙잡는 특징이 있죠. 연구팀은 로봇의 팔 끝에 ... ...
- [질문하면 답해ZOOM] 시력은 좋아질 수 없나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고기압에서 저기압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선풍기 튜브 안쪽으로 바람이 흐릅니다. 그 결과 우리는 날개 없이도 시원함을 느낄 수 있게 된답니다. 용어 설명근(원)시 : 안구가 길어(짧아) 초점이 망막 앞(뒤)에 맺히는 현상. 먼(가까운) 곳은 잘 보이지 않는 특징이 있다 ... ...
- [DAY3 미생물 혁신센터] 장 속 미생물로 자폐를 진단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지난 2021년 자폐 스펙트럼이 있는 3~6살 어린이 128명의 장내 미생물을 조사했어요. 조사 결과 자폐 스펙트럼이 있는 어린이들은 다른 어린이보다 신경전달물질 활동과 관련된 미생물을 훨씬 적게 갖고 있었습니다. 또 다른 어린이들에게는 없는 5개의 독특한 미생물을 갖고 있었지요. 연구팀은 ... ...
- [사막 생물 탐구생활] 시민과학으로 사막거북 지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거북의 활동량이 줄어드는 겨울에는 달에 한 번씩 거북의 위치를 기록했습니다. 추적 결과, 소노란사막거북은 한 주에 100~200m 정도 이동하며 약 0.02km2 정도 넓이의 땅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간혹 몇 마리는 2~5km 정도 이동해 보호구역을 벗어나 민가에 가기도 했어요. 어떤 거북은 ... ...
- 바둑이 넌 어디서 왔니?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가지고 있고, 우리나라 토종개들이 어디서 유래되었는지 밝혀낼 수 있었습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약 1만 5천 년 전 개는 늑대와 종이 분리되어 사람과 함께 살았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 천연기념물로 등록된 토종개는 삽살개, 진도개, 동경이 총 세 종이에요. 그중 삽살개는 지금의 티벳 ... ...
- [가상 인터뷰] 뮤온 입자, 지하 길을 밝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4호
- 기준으로 사람이 들고 있는 수신기가 감지한 뮤온 입자의 상대적 좌표를 확인했지. 그 결과, 지하에서 사람이 이동한 경로와 뮤온 입자의 경로가 거의 비슷하게 나타나 높은 정확도를 달성했어. GPS와는 어떤 점이 달라? 일반적으로 위치를 확인하는 데는 GPS가 사용돼. GPS는 4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