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려대"(으)로 총 615건 검색되었습니다.
- 방송, 이젠 오감을 만족시켜라과학동아 l2009년 12호
- 담당하고 있다. 영상에 더해질 입체 음향과 촉감 정보는 GIST를 비롯한 광운대, 연세대, 고려대,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11개 기관에서 함께 연구하고 있다. 100명에 가까운 사람들이 이 연구센터를 기점으로 공동 연구하고 있다고 하니 국내 최대 실감방송 연구센터임을 ‘실감’케 한다.우리나라 ... ...
- 신종플루 예방 백신 안전할까과학동아 l2009년 11호
- 국내 신종플루 백신 임상시험 결과는 양호한 편이다. 지난 9월 7일부터 고려대 구로병원, 고려대 안산병원, 가톨릭대 수원 성빈센트병원은 녹십자가 생산한 신종플루 백신 ‘그린플루-에스’의 임상시험을 했다.각 병원은 19세~64세 사이의 성인 임상시험 참가자와 65세 이상의 노인 참가자 총 474명을 ... ...
- 파동에서만 보이는 현상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장규인·gyu-inj@hanmail.net 고려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연세대에서 물리학으로 박사과정을 밟고 있으며 파인만학원에서 심층연구센터 부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자연을 보고 느끼고 관찰하는 능력을 키우고 자유로운 사고와 폭넓은 독서를 통해 창의력을 키우는 것이 과학의 중요한 덕목이라고 ... ...
- kipa. 창의인재 육성에 적극 나선다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시작한 지식재산권 교육은 2007년 디자인 대학으로 확대됐으며, 2009년 현재 서울대, KAIST, 고려대, 연세대 등 전국 58개 대학에서 약 1만 8000명의 대학생이 사이버국제특허아카데미(www.ipacademy.net)의 콘텐츠로 지식재산권 교육을 받고 있다.특히 전국대학발명경진대회에서 대학생들이 ‘발명 아이디어 ... ...
- 열 나는 반도체, DNA로 해결한다과학동아 l2009년 11호
- 1년에 2배씩 증가한다”고 역설해 반도체 기술의 성장 흐름을 진단했다.지난 10월 3일 고려대 연구실에서 만난 황 교수는 바로 실리콘에 의존하는 현재 반도체의 패러다임을 DNA 분자로 확대하는 연구의 선봉에 선인물이다.실리콘 나노와이어에 DNA 분자 ‘철썩’반도체 집적도는 선폭을 줄일수록 ... ...
- 세포 및 미생물공학과학동아 l2009년 11호
- ‘생물’이 들어간 학과들에서 유사한 커리큘럼을 갖고 있다. 서울대의 화학생물공학부, 고려대의 화공생명공학과, 연세대와 한양대의 생명공학부, 아주대의 응용화학생명공학부가 그 예이다.4. 뭘 배우나요?기초 과목인 일반생물학, 세포 생물학, 미생물학, 생화학, 분자생물공학을 배우고 이를 ... ...
- 한국 10대(代) 과학자들의 연구결실 뽐낸다과학동아 l2009년 11호
- 대부분 장학금을 받고 국내외 이공계대에 진학했다. 지난해 논문을 낸 이단비 양은 올해 고려대 생명과학계열 학부에 진학했는데, “당시 논문심사과정에서 받은 질문이 대통령과학장학생 심사 때 받은 질문과 비슷했다”며 “논문 덕분에 대통령과학장학생에 뽑혀 전액 장학금을 받게 된 ... ...
- 언어가 사고를 지배하는가과학동아 l2009년 10호
- 하는 신기한 체험을 언어가 제공해 준 것이다. 언어의 힘은 여기에 있다.이재호 교수는 고려대에서 언어심리를 전공해 박사학위를 받았다. 인간의 언어학습과 사고, 지각에 관한 인지심리와 사회문화적 현상이 주요 관심사다. 현재 계명대 심리학과에 재직하고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한글, 21세기를 위한 15세기 발명품과학동아 l2009년 10호
- 8개로 추정되는데, 8세기 가나가 발명되면서 언어의 8분의 3이 사라졌다”고 주장했다.고려대 심리학과 남기춘 교수는 “사람은 태어날 때 모든 소리를 식별할 수 있지만 모국어를 습득하면서 그 능력을 잃는다”며 “따라서 일본어처럼 사용하는 음이 적을 경우 다양한 음을 식별하거나 정확히 ... ...
- 마스크와 손 씻기 신종플루 예방효과는?과학동아 l2009년 10호
- 콧속으로 들어갈 확률은 매우 낮다”고 말했다. 일반 마스크에 힘을 실어주는 의견이다.고려대 예방의학과 천병철 교수도“바이러스는 혼자 공기 중에 떠다닐 수 없고 만약 떠다닌다 해도 극히 미세한 침 입자에 섞여 있는 형태일 텐데, 이 정도 크기의 입자는 금방 증발하므로 크게 우려할 필요가 ... ...
이전29303132333435363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