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접
접근
접촉
가까움
이웃
근교
근처
d라이브러리
"
근접
"(으)로 총 526건 검색되었습니다.
외로운 목성지기 갈릴레오 짝을 맞다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보낼 예정이다. 이 외에도 갈릴레오는 단독으로 목성의 최대 위성인 가니메데에 두차례
근접
비행을 시도할 계획이다.과학자들은 갈릴레오가 임무를 완수한 후 어떻게 최후를 맞아야 할지에 대해 여러가지 시나리오를 작성하고 있다. 그 하나가 목성이나 이오 위성과의 충돌이다. 그러나 에우로파 ... ...
1. 태양계의 행성에 다다른 우주선들
과학동아
l
2000년 04호
비행해 1965년 7월 15일에는 화성으로부터 최저 9천7백78.8km 떨어져 지나가며 22장의
근접
사진을 찍어 지구로 보내주었다. 이 사진은 인류가 만든 탐사선을 지구 이외의 다른 행성에 보내 찍은 첫 번째 것이었다. 이로써 처음으로 화성의 표면이 달과 같이 많은 분화구로 돼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 ... ...
따뜻한 겨울 뒤에 라마마있다.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통용되고 있지 않은 용어이다.라마마 주범인가 공범인가이 라마마 현상은 한반도와
근접
한 서태평양 지역의 수온변화이기 때문에 특히 우리나라의 기상과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라니냐를 감싸는 듯한 말굽형의 고수온대는 엘니뇨 시기였던 1997년 12월부터 발달하기 시작했다. 이 ... ...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김호성 사무관에 따르면 "프로테오믹스는 다른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선진국 수준에
근접
해 있기 때문에 단기간 내에 경쟁력 확보가 가능하다"고 한다.늦은 출발의 대가하지만 선진국보다 늦게 시작한 '대가'는 분명히 존재한다. 기초자료가 없기 때문이다.DNA칩을 국내에서 개발해 간암을 ... ...
기름 3L로 100km달리는 3리터카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연료분사 압력이 높으면 높을수록 연료와 공기와의 혼합이 촉진되기 때문에 완전연소에
근접
하게 된다. 우수한 연비 및 낮은 배기가스를 실현하도록 한 것이다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그리스 신화 트로이 전쟁에 나오는 영웅의 이름을 따서 트로이 소행성군이라 한다.지구
근접
소행성과 공룡의 멸망대부분의 소행성은 화성 궤도 밖을 돌고 있으나 이심률이 큰 소행성은 지구 궤도 안쪽을 지나가므로 지구에 가깝게 접근할 확률이 높다. 실제로 지름 1㎞의 소행성이 수십만년에 ... ...
초고속 광통신망 실현 앞당긴 전자동 광증폭기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시대다. 우주의 역사가 1백50억년 됐다고 말할 수 있고, 28년 뒤 소행성 하나가 지구로
근접
할 것이라는 것도 빛을 매개로 한 정밀한 천체 관측으로 가능한 것이다. 모든 정보는 빛에 실려 각 가정은 물론 전세계의 연구소로 흘러들어가 미래 사회의 원동력으로 작용할 것이다. 멋진 신세계는 빛의 ... ...
디지털TV의 안방 혁명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영상의 경우 해당 화소의 밝기를 어둠, 조금 어둠, 조금 밝음, 밝음의 4단계 중 가장
근접
한 단계로 만드는 것이고 음성의 경우는 0.5 미만의 크기를 가지는 신호는 0으로, 0.5 이상의 크기를 가지는 신호는 1로 만드는 식이다. 이 때문에 필연적으로 원래 신호와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데, 정해진 양자화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사람들이 봤다고 주장한 불칸은 무엇이었을까. 학자들은 레카보가 본 것은 아마도 지구
근접
소행성(NEO)이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소행성이 태양 앞을 통과하는 것을 불칸으로 생각했다는 것이다. 그러한 소행성들은 당시에는 알려져 있지 않았다. 스위프트와 왓슨은 개기일식 촬영에서 몇몇 별을 ... ...
Ⅰ. 행성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태양계 탐사선이 행성과 위성표면에 착륙하거나 그 주위를 선회하고 또 가까이
근접
통과하면서 조사한 탐사자료가 많이 축적되고 있다. 이들 자료는 지상관측에서 얻을 수 없는 상세하고 정밀한 것으로 태양계 기원을 설명하는데 매우 귀중하게 쓰인다. 앞서 살펴본 태양계의 특성들도 이러한 현지 ... ...
이전
29
30
31
32
33
34
35
36
37
다음
공지사항